• 제목/요약/키워드: 욕창 예방 태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간호사들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욕창예방실무지식, 욕창예방실무 미준수 위험, 수행도 간의 상관성 (Correlations among Attitude toward Pressure Ulcer Prevention, Knowledge and Non-compliance Risk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Practice and Degree of Nursing Performance)

  • 강명자;김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08-41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와 지식, 욕창예방실무의 미준수 위험과 욕창예방실무 수행도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4개의 병원에서 3개월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근무중인 39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욕창예방실무에 대한 지식과 지식에 대한 확실성, 욕창예방실무 수행도를 조사하였다. 욕창예방실무 지식과 지식에 대한 확실성 간의 차이값을 욕창예방실무의 미준수 위험으로 정의하여 변수로 활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서술적 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artial Pearson correlation을 활용하였다. 욕창예방실무지식의 정답율은 79% 이었고, 욕창예방실무수행도는 $2.46{\pm}0.31$점이었다. 욕창예방실무의 미준수 위험이 가장 높은 문항은 (실금기저귀는 실금피부염을 예방한다) 이었다. 욕창예방실무 미준수 위험은 욕창예방실무지식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25, p<.001)가 있었고, 욕창예방간호수행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성(r=-.13, p=.009)이 있었다. 욕창예방실무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과 욕창예방 실무가이드의 비치가 수행되어 욕창예방실무에 대한 지식과 확실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계획적 행위이론에 근거한 간호사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및 욕창예방 행위에 관한 연구 (Nurses'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 Regarding Pressure Ulcer Prevention Behavior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박준호;장연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12-223
    • /
    • 2019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가 종합병원 간호사의 욕창예방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도의 4개 종합병원에서 총 111명의 간호사가 연구에 참여하여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및 욕창예방 행위와 관련된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체 대상자뿐만 아니라 대상자를 각각 학력수준, 근무병동 및 병원규모로 나누어 집단별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는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주관적 규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간호사의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반면에 집단별 분석 결과에서는 '학사이상'이거나 '3차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임상경험이 많을수록 행위 수준이 높았고, '외과병동 및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또한 '학사이상'인 간호사는 주관적 규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간호사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의 수준을 개선함으로써 욕창예방 행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교육수준, 근무부서, 병원규모를 고려한 개별화된 맞춤형 중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상급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욕창 사정 및 예방 간호 수행도와 관련 변수 간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ressure Ulcer Assessment, Preventive Nursing Performance, and Related Factors of New Nurses at Tertiary Hospitals)

  • 정혜빈;김민주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30권2호
    • /
    • pp.188-196
    • /
    • 202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visual differentiation ability for pressure ulcer (PU), knowledge of the pressure injury classification system, attitudes, and ability to perform PU assessment and preventive nursing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54 new nurses working at tertiary hospitals in B metropolitan city. Results: Both visual differentiation ability for pressure ulcer and the performance of PU assessment and preventive nursing perform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knowledge of the pressure injury classification system and attitudes toward pressure ulcer preven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veloping visual educational content, such as photographs and case studies, may improve visual differentiation ability for pressure ulcers. Ad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implementing evidence-based nursing is recommended.

임상간호사의 욕창예방간호에 대한 태도와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Attitudes and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among Nurses)

  • 박승미;양남영;최정실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5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s and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among hospital nurses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at April, 2011 in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A total of 140 hospital nurses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attitudes and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Spearmans rho,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via SPSS/WIN 20.0. Results: Levels of attitudes and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were average 3.65 out of 5 and 2.19 out of 3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by area of practice ($x^2$= 43.35, p<.001), frequency of pressure ulcer care ($x^2$=10.72, p=.013), and experience of wound care education (Ζ=4.73, p=.030). The attitudes toward pressure ulcer prevention were positive correlated to preventive practice among nurses (rho=.190, p=.049). Area of practice, attitude toward pressure ulcer prevention and experience of wound care education explained 48% of variance in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 Conclusion: For improving quality of ca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educations to change nurses attitudes toward preventive practice of pressure ul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