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욕실디자인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251초

소가구(小家口)를 위한 욕실 디자인 경향 (A Study on Bathroom Design for Small Households)

  • 신인철;최경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8-103
    • /
    • 2013
  • Households of today tend to gradually change from a large household to a small one. The tendency starts from urb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with modern industrial society. Small-sized households have rapidly increased with the following three reasons: (i) one-person households with aging society, (ii) individualistic pursuit of happiness, and (iii) emergence of single households due to high prices and a decline in the quality of life. With these social changes, various products for small-sized households have been created and there have also been changes in dwelling patterns with small-size housing and one rooms increasing. Current small-sized living space has combined space of a living room, a bedroom and a kitchen, which makes a house compositive space. A bathroom, however, requires a differentiated suggestion from existing one since it is special space where water is used. Based on this issu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bathrooms in small-sized living space.

  • PDF

대전시 노인의 욕실 및 이동공간 디자인에 대한 선호 (A Bathroom, Stairway and Entrance Design preferred by the Elderly in Daejeon City)

  • 이지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
    • pp.133-136
    • /
    • 2003
  • This study was purposed of finding housing characteristics, especially bathroom and preferred by the Elderly in Daejeon City. Collected By housing expenses and an administrative district, the Elderly over 65 were interviewed by well-trained investigators and 583 case was analyzed through SPSS PC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y have a little emphasized emergency bell and convenience of a balustrade and have layed stress on non-slip floor in bathroom and stairways. Non-slip floor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ing for safety by the elderly.

  • PDF

고령화시대 욕실공간에서의 가구 및 제품 디자인방향 (Design Direction of the Furniture and Products in the Bathroom Space in Aging Societies)

  • 김지민;최경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7-298
    • /
    • 2011
  • In this study, I wanted to propose the design direction of the furniture and products in bathroom space so that the elderly's life is well supported to meet such aging societies that are getting older. Therefore, I have drawn the elders' needs by investigating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used such needs as a frame of analysis to analyze the bathroom furniture and products made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First, the elders need entertainment, health care, environment-friendly, convenience, good accessibility, chair-based bath and space separation; second, both Korean-made and foreign-made bathroom products are difficult to be controlled, invisible of font, hard to sustain the elders' bodies, inconvenient to be used and etc; and third, the design to solve such problems should be with intuitive user interface, easy control, better accessibility, the elders' moving patterns and living habits considered, health care, pro-environmental product.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e reflection of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in designing bathroom furniture & items for aging society and requires more bathroom products with various designs in the foreseeable future.

  • PDF

고급연립주택의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in Luxurious Row-Houses)

  • 라윤주;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209-216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빌라'로 통칭되는 고급연립주택의 사례조사를 통해 그 평면의 특성을 파악해 보는 것이 목적으로 1980년에서 2001년까지 서울과 분당지역에 건설된 지상 4층 이하, 연면적 660$m^2$ 이사인 연립주택 중 전용면적 50평 이상의 고급연립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분양자료와 건축, 주택, 인테리어 관련잡지, 인터넷에서 평면 135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연립주택의 평면 특성은 평형이 대형화 될수록 개 실의 수가 증가하기 보다는 새로운 기능의 공간이 거주자의 개성에 맞게 구성되며, 복층형 구조의 평면유형이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시도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고급연립주택의 공동공간의 특성은 구성방식에 있어 거실분리형(L-DK)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평형이 커질수록 개방형은 거의 보이지 않고 거실분리형, 부엌분리형의 순으로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고급연립주택의 부부전용공간의 특성은 안방의 기능 분화가 시작된 80년대부터 현재까지 안방-드레스룸-욕실-부부침실의 공간구성이 일반화되었다는 것이다. 넷째, 고급연립주택의 가사작업공간의 특성은 주부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해 다용도실의 가사실을 하나의 개실로 구성하여 부엌과 인접하여 배치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고급연립주택의 출입공간의 특성은 현관진입형, 마당진입형, 부출입구진입형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현관진입 형에서 현관문에 중문이 이중으로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 PDF

농촌 고령자주택 사례조사에 근거한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 분석 (An Analysis on Rural Housing Standard Plans for the Elderly based on Case Studies of Elderly Housing in Rural Area)

  • 이윤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122-130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roblems associated with Rural Housing Standard Plan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12 houses belonging to elderly people (60's and over) living in rural areas and engaged in farming activitie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he methods employed were a field survey wi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ns were deemed inappropriate to prevent the possible accidents in entrance area such as slippiness and falls because the eaves are not long enough. Second, the area of foyer and the volume of foyer storage in the Plans are not enough to accommodate the subject's behaviors and their rural life. Third, rather than using the sink, many subjects preferred to wash simply in the shower while sitting, so the planning of a bathroom can't meet the subject's needs and behaviors. Fourth, the subjects prefer L + DK to LDK but the Plans were designed in the manner of LDK only. Fifth, the subjects have needs for bathrooms belong to the master bedrooms, but only one case of Plans satisfied their needs. Six, bedrooms with the exception of the master bedroom are used as storage in order to make up for a lack of storage space, but many storage space such as dressing rooms and pantries wa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Plans. Lastly, the planning of storehouses does not meet the subjects' using behaviors for storehouses and the level of desirable capacity of goods.

IPA 분석기법을 통한 공동주택의 무장애공간 인증기준 적합성 분석연구 (A Study on the Barrier-Free Space through IPA Method for the Elderly in Multi-family Housing)

  • 김주환;김원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87-194
    • /
    • 2020
  • 노인이 되면 시지각 인지장애 및 치매까지도 수반하게 되어 지지적 공간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전 및 생명에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지지는 연령이나 성별, 신체·정신적 한계를 포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IPA기법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거주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현행 무장애 공간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기준 적합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교차분석결과,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남성보다는 여성그룹의 무장애 공간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은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위생시설의 일부인 세면대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또한 계단 및 승강기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제시되었다. IPA 분석결과, 14가지 인증항목 중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BF인증지표는 세면대, 욕실, 샤워실 경보 및 피난시설로 도출되어 위생시설에 대한 보다 면밀한 시설계획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evelopment of an Immersive Virtual Reality-Based Bathroom Self-Remodeling System

  • Mi-Young S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63-72
    • /
    • 2024
  • 최근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테리어 및 셀프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홈 인테리어 시장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베스룸 리모델링은 대부분 오프라인 인테리어 업체에 의뢰한 후 최종 완성 단계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고객이 불만족하더라도 재시공이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에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는 VR 기술을 접목하여 설계 단계부터 최종 단계까지 공간과 디자인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몰입형 가상현실 기반 베스룸 셀프 리모델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베스룸 구조는 미리 정의된 베스룸 공간의 기본 구조를 선택할 수도 있고, 베스룸 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가구 용품은 베스룸의 필수 요소인 세면대, 변기, 욕조, 샤워부스와 기타(장착대, 쓰레기통, 손잡이)를 선택할 수 있다. 타일 텍스쳐는 다양한 텍스처를 선택하여 원하는 벽의 위치에서 선택된 타일의 텍스처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와 시공자의 니즈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수평, 수직, 경사 방향을 선택하여 벽 타일의 질감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향후 연구과제로 이 시스템을 통해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 간의 실내 공유를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여 가상 공간에서의 직접 체험, 구매 연결, 견적 요청 등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