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욕실디자인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7초

근미래 욕실 디자인 트렌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bathroom design for near future)

  • 강형모;이순종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3-68
    • /
    • 2006
  • 욕실이라는 특수한 공간은 경제발전과 사회기반시설의 확충, 주거형태의 변화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발전해왔다. 즉, 욕실은 그 자체가 별도로 존재하는 공간이라기 보다는 주거공간, 생활공간의 일부로써 발전해왔고, 따라서 이와함께 다루어야만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의 욕실 디자인 트렌드를 예측하기 위해서 정치/경제, 사회/문화, 기술환경, 주거환경 등의 추세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욕실환경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근미래의 욕실 디자인 트렌드는 (1)주거공간에 완전히 편입된 밝고 건조한 실내휴식공간으로의 변화, (2)기술의 발전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부가기능이 설치된 편리한 공간, (3)건강을 위한 환경친화적 소재와 기능, (4)절제된 직선 위주의 미니멀한 디자인과 고급화, (5)다양성이 반영된 개성적 공간으로의 연출 등을 예측하게 되었다. 트렌드 예측은, 사회/문화 및 정치경제 현상을 폭넓게 반영하고 비교적 긴주기를 가지는 확실성만을 바탕으로한 결과를 내놓게 되므로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들의 반복이 될수도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그러나 이 트렌드 예측이 향후 새로운 욕실환경과 그에 적합한 욕실기기를 제안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연구가 활용할 수 있었으면 한다.

  • PDF

유니버셜 디자인 된 욕실설비에 대한 미국/한국 노인소비자 견해 (An American/Korean Older Consumers' Perceptions of Universally Designed Bathing Fixtures)

  • Shin, Kyoung-Joo;White, Betty-Jo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49-163
    • /
    • 2000
  • 노인소비자들은 나이와 함께 기능적인 능력이 감퇴하면서 주택내의 환경이 그들의 한계와 장애를 보완해 줄 수 있게 좀 더 지원적이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노인그룹을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며, 편리한 생활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유니버셜 디자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으로 개발 된 혁신적인 욕실용품들, 즉 높이가 조절되어 앉거나 서서 사용하는 장점 등을 갖춘 세면대와 높이조절이 되는 이동식 샤워기가 장착된 걸어서 들어가며, 접이식 의자가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 욕조에 대한 소비자 의견의 검토이다. 피험자는 미국에 사는 미국노인과 한국노인(50세이상-79세까지)으로 합계 58명이었다. 실험장소는 미국서부소도시 대학의 유니버셜 디자인 연구실로, 이 대학의 협력으로 이곳에 장착된 신개발 설비를 이용하였다. 실험시기는 1997년 5월부터 11월 사이(봄, 가을)로 소비자 의견조사는 3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 설문조사에서는 피험자 거주주택의 욕실환경, 피험자의 목욕방법, 건강과 안전, 새로운 욕실설비에 대한 소비자 의견 등이 조사되었다. 2단계는 실제로 선정 된 욕실설비의 사용실험으로 피험자가 옷입은 상태에서 목욕을 가정하여 선택된 설비의 사용동작을 하면서(비디오 촬영) 조사자의 조사표에 의한 질문에 답하였다. 3단게는 2단계의 사용실험 후 유니버셜 디자인 된 욕실설비의 가정 내 도입의사 등의 조사를 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3단계의 소비자 의견조사 및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미국거주 미국노인과 한국노인의 비교에서 한국노인의 평균 신장이 3cm정도 작았고, 2개이상의 욕실을 가진 비율과 학벌, 독신거주비율은 미국노인이 다소 높았고, 욕조 소유율은 한국노인이 높았다. 2) 새로운 욕실 설비에 대한 소비자 의견은 미국과 한국노인 모두 유니버셜 디자인된 새 설비의 장점을 인정하였다. 욕조와 세면조가 매력적이라 평하였고 샤워조작기가 색상구분으로 도운물과 찬물인지가 편하며, 접이식 의자가 유용하며, 문 달린 욕조의 안전 손잡이와 욕조가장자리를 잡고 안전하게 출입한다고 했다. 그러나 욕조길이와 높이에서 두 나라간에 차가 있어 앞으로 치수에 대한 것이 연구과제로 지적되었다. 3) 욕실 설비 개발 시 유니버셜 디자인 용품에 요구되는 목표는 안전하게 쓸 수 있고, 가령에 따른 신체장애요소가 커버되어 스스로 사용가능하고, 사용상 번거로움이 없어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지않는 것이어야 하겠다. 4)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표준치수의 현 욕조위치에 장착이 가능하여 앞으로 현 주택에의 교체가 가능하였다. 5)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인체치수와 문화가 다른 두 나라 노인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앞으로의 국제적 보급이 기대되었다.

  • PDF

중규모 아파트 거주자의 욕실디자인 만족도와 선호도 분석 - 수도권 브랜드 아파트 거주자의 연령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Rates of Bathroom Design in Mid-class Apartment Residents - Focused on Residents's age of Brand Apartm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

  • 신경주;황윤정;이지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2-2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fundamental sources and guidelines of bathroom designs of brand apartments in Korea. The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conditions of bathroom, satisfaction rates, and preference rates of residents in Mid-sized apartment units of the top five brand apartments based on construction capacity and brand popularity. A total of 427 samples, acquired via internet survey,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computer program SPSS PC+ window version 15.0. The conclusions of the article are as follows: 1) Fixtures and products which fulfill various behaviors, as well as multi-functional space programming, are demanded. 2) Developing clear standards of basic bathroom fixtures and environments is also required in further research and to be applied to practical bathroom design. 3) The bathroom fixtures and environments ought to accommodate all age groups. 4) Respondents preferred a separated dry floor, either toilet or sink portion, to a full-dry or full-wet floor. 5) Respondents of all age groups considered bathroom as a private space, thus it should facilitate various privat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adequate and sound bathroom design as key information.

뇌졸중 환자가 선호하는 주거공간의 욕실 환경 특성 (Preference of Stroke Patients for Bathroom Environment in Residential Space)

  • 이경민;김유선;윤수정;홍기훈;이춘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40
    • /
    • 2014
  • 목적 : 뇌졸중 환자가 요구하는 주거공간의 욕실 환경 특성을 알아보고 욕실 환경을 개선할 때 필요한 욕실 디자인 특성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4년 2월 24일부터 3월 13일까지 부산지역의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97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욕실 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 조사 결과 미끄러움 방지 타일 설치($3.63{\pm}1.29$)와 욕조의 안전바 설치($3.46{\pm}1.39$)가 높게 나타났고 남자에 비해 여자의 요구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욕실디자인 특성 선호도 조사에서 뇌졸중 환자들은 미닫이문, 미닫이형 손잡이, 편의시설형 샤워부스, 미끄러움 방지 타일, 붙박이 수납장, L자형 안전바, 자연환기(창문), 바닥 난방, 들어가기 쉬운 욕조, 안전바가 설치된 욕조, 기울어지거나 물 온도가 표시되는 세면대, 안전바형 변기, 목욕 의자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욕실 환경에 대한 개선요구와 욕실디자인 특성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뇌졸중 환자들이 요구하는 욕실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아파트 모델하우스 욕실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 연구 - 서울 강남 및 신도시(분당)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athroom Design in Apartment Model House - Focused on the south area of the Han river and new town area(Boon-dang) -)

  • 송윤경;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2호
    • /
    • pp.36-4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bathroom through the latest apartment model house, an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design element in bathroom space, that is equipment material, measurement, and shape. Also, this study compare the changes in bathroom investigated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and understand the general design characteristics of modern bathroom. Design characteristics of bathrooms of 19 apartment model houses that are 30pyong to 60pyong model in the south area of the Han river and new city area, Boon-dang were analy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 most remarkable change of bathroom can be found in equipment. The type of bathroom equipment, materials, forms, size have been changing diversely. 2) In addition, the function of bathroom has been changing. Bathroom is not only sanitary place but also place for rest, health-care, beauty-care, storage, and it is possible to add health improving function. 3) On the other hand, $\ulcorner$washstand + toilet + shower booth$\lrcorner$ type is common for family-bathroom, and separate type of $\ulcorner$washstand + toilet + bathtub + shower booth + Powder room + dress room$\lrcorner$type is most common for master-bathroom.

다양한 가족유형에 따른 욕실디자인 만족도와 선호도 분석 - 수도권 중규모 브랜드 아파트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Rates of Bathroom Design in Variety Family Type - Focused on Mid-size Brand Apartm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

  • 신경주;황윤정;이지헌;이현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52-62
    • /
    • 2008
  • This research is a follow-up study of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rates in bathroom design relevant to age variable. This project examines th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rates relevant to the variety a family type. Mid-sized apartments most favored by the mid-class families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of the research so that they represent the present conditions in Korean bathroom designs most comprehensively. In order to maintain consistency in research objects, this article limited them to the top five brand-name apartm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brand popularity and construction capability. The method of the research was surveys; we were able to retrieve and analyze 427 copies through internet. The data were processed by SPSS PC+ windows version 15.0 program and were analyzed using the means, crosstabs statistics, One-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variety a family type is the existence of senior citizens in the household. 2) The preference of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is mostly determined by elements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children. 3) Th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rates are closely related to family types of each household. We sincerely hope that this article will provide guidelines for customized bathroom designs based on the ages, life cycles,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residents so that the desings will answer to the needs of each household.

산학협동 디자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욕실공간 샤워시스템 개발연구 (Design Development of Shower system for Bathroom through Design Support Program based upon 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

  • 김국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49-156
    • /
    • 2002
  • 산학 연계 디자인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통하여 산업체는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이루고, 학교의 전문 인력은 관련 지식 및 정보와 기술의 사회 환원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나아가서는 국가 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산업체 요구에 합당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주문식 교육체제 구축이 되는 결과물의 교육과정 적용으로 학습효과의 효율성을 높이는 신지식 기반을 이룰 수 있다. 이에 정부 산하 관련 단체의 적극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각 대학에서도 활발한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 주거 공간 내 욕실 공간을 위한 샤워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과 업체의 디자인 개발의지를 반영하여 중소기업청의 산학 협동 연구 개발 사업 지원을 통하여 실질적 제품 개발이 이루어진 산학 연계 지원 체제의 디자인 프로세스에 근거하고 있다. 연구 개발을 위하여 욕실 공간의 개념과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변화하는 욕실의 구성과 목욕 문화에 따른 개발 계획을 세우고 실내 공간 트랜드를 적용하여 제품 경쟁력을 갖는 신제품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결과물의 피드백을 통한 정보활용이 이루어지는 실용적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산학 협동 신제품 개발을 통하여 현장 중심 교육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신지식 기반을 구축하여 사회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욕실의 모듈별 디자인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ule-specific Design Platform for a Bathroom Using Universal Design)

  • 이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66-476
    • /
    • 2019
  •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을 활용하여 고령자, 장애인, 일반인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및 적정 환경에 맞춘 유연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대상별 분석에 따른 최적의 크기, 색상 등을 도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맞은 세부적인 모듈별 디자인 플랫폼을 구축함으로 보다 편리한 환경을 구현하고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니버설디자인의 이해와 욕실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다양한 사용자별 분석으로 디자인 전개를 진행하였다. 결과물을 통해 가상환경을 조성하여 일반인과 장애인등의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1,2 차에 걸쳐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평균 90점 대 이상의 우수한 평가를 얻었으며 이는, 기존 욕실과 비교하여 차별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듈별 디자인 플랫폼 개발로 주거공간에서 욕실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가정환경 조성 및 건강한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리라 판단한다. 향후 이러한 모듈 시스템들이 욕실 내에서만 머무르지 않으며 사람이 머무를 수 있는 다양한 주거 공간에서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감성공학기법을 적용한 욕실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sibility Ergonomics Approach to Bathroom Design)

  • 이한석;정현원;오영근;정아영;김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69-76
    • /
    • 2009
  • As sensibility ergonomics are broadly spread, recently in interior design area, interests on roles of sensibility, sensibility effects for users, and etc has been increased. As a study on sensibility design for interior design area, the study applied sensibility ergonomics technique to bathroom interior design. Sensibility ergonomics technique is integrated into each phase of bathroom design process in order to produce 4 design alternatives. Sensibility evaluation on design alternatives was performed for subject of designers, and analyzed the results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ibility of designers and design factors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designer's sensibility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s found that in the bathroom interior design of sustainable concept, uses of bright colors with white tone and floor tile creates positive sensibility responses such as delight, healthiness, spaciousness, and cheerfulness. Second, designers' sensibility structure about sustainable bathroom is composed of three axles, healthiness, eco-friendliness, and refinement. Third, designers think colors of interior and finished materials is most important, and window, artificial lighting, layout, and space size related to those is important too. The process and approach in the study might contribute to building a fundamental of sensibility design research in interior design area.

한국인의 욕실사용 문화를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The bathroom design guideline considering the usage pattern of Koreans)

  • 이호숭;김미영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47-358
    • /
    • 2010
  • 과거에는 단순한 생리처리 및 위생공간이었던 욕실에 대한 기능이 현대에 들어서는 생활의 활력을 충전하고, 자신만의 욕구와 실현의 공간으로써 활용되는 다기능 공간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의식주에 대한 소비자들의 새로운 욕구와 변화가 나타나면서 현재 '욕실' 공간에서의 행위와 요구사항을 파악할 필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많은 수의 한국인들은 욕실사용에 있어서 서양의 입식(立式) 샤워 방식 외에도 욕조 밖이나 대야 등에 물을 받아 사용하는 등의 욕실사용 행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한국인의 독특한 욕실사용행태를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한국인의 욕실문화가 고려된 욕실구조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욕실공간에 대한 사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인의 욕실사용 정황과 사용 중에 느끼는 불편함과 종합적 감정 등을 조사하여 욕실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도출하며, 욕실 공간계획에 있어서 건강, 위생문제를 해결하는 공간이자, 현대인의 신체특징과 라이프스타일이 반영 가능한 기본적인 설계지침 도출을 연구목표로 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