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오드계 소독제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요오드 소독제에 침전된 고무인상재의 체적안정성 (Dimensional stability of rubber impression materials immersed in iodophor disinfectant)

  • 최미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1호
    • /
    • pp.23-27
    • /
    • 2014
  • 목적: 요오드계 소독제의 고무인상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폴리설파이드, 실리콘, 폴리이써 고무인상재를 이용하여 72개의 인상체를 채득하였다. 이를 요오드계 소독제인 iodophor 수용액에 각각 10분, 30분간 침적시키고 모형을 제작하여 대조군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체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고무인상체는 0.5% 미만의 체적변화를 보였으나 30분 침적은 10분 침적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량이 증가하였다(P < 0.05). 결론: 요오드계 소독제에 고무인상재를 침적시 10분정도의 시간경과가 고무인상재의 체적변화에 영향이 적었다.

Headspace - GC/ECD를 이용한 수중의 미량 요오드계 트리할로메탄류 분석 (Analysis of Trace Levels of Lodinated Trihalomethanes in Water Using Headspace - GC/ECD)

  • 손희종;송미정;김경아;염훈식;최진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5-41
    • /
    • 2014
  • 소독부산물의 일종인 트리할로메탄류(THMs)는 정수처리 공정에서 소독제로 사용되는 염소와 수중에 잔존하는 유기물질이 반응하여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염소계 및 브롬계 THMs는 일반적인 수돗물에서 검출되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으나, 요오드계 THMs (I-THMs)의 경우는 수중에 요오드 이온이 존재할 때 생성된다. I-THMs는 약품취를 유발하며, 또한 염소계나 브롬계 THMs에 비해 인체독성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I-THMs 분석을 위한 공인된 분석법은 없는 실정이다. 10종의 THMs 분석을 위해 headspace 전처리장치와 GC/ECD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분석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분석법에 의한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12 ng/L~56 ng/L 및 38 ng/L~178 ng/L로 나타났다. 강물, 해수 및 하수처리장 최종방류수의 matrix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별도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치 않아 간편하고 빠르며 자동화된 방법으로 수중에 미량으로 함유된 I-THMs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Vibrio parahaemolyticus 표준 및 식품분리 균주에 대한 살균소독제 유효성분별 감수성 평가 (Assessment of Both Standard and Isolated Vibrio parahaemolyticus on Efficacy of Commercial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 김일진;김용수;김형일;최현철;전대훈;이영자;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7-131
    • /
    • 2007
  • 본 연구는 표준 및 식품분리 V. parahaemolyticus균에 대한 주요 유형별 살균소독제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살균소독제는 에탄올, 요오드, 염소계(무기, 유기) 각 2종, 4급 암모늄, 산, 과산화초산계, 과산화수소를 선정하였다. 시험균주는 표준균주 4종과 자연에서 분리한 10종의 V. parahaemolyticus를 정량적 현탁액 시험방법(유럽 EN 1276)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에탄올(75, 95%), 요오드계 25ppm, 4급 암모늄 100 ppm,산, 과산화초산계 145 ppm은 청정조건과, 오염조건 모두에서 $5log_{10}CFU/mL$ 이상의 생균수 감소율을 보였다. 유기염소계의 시험 결과는 $5log_{10}CFU/mL$ 이상의 생균수 감소율을 보였다. 청정조건에서 요오드 15 ppm 처리구는 분리균주 4종과 표준균주 1종을 제외하고 $5log_{10}CFU/mL$ 이상의 생균수 감소율을 보였다. 또한 오염조건에서 요오드 15 ppm 처리구는 $5log_{10}CFU/mL\;(0.93{\sim}3.73log_{10}CFU/mL$ 이하의 생균수 감소율을 보였다. 1,100 ppm의 과산화수소는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청정, 오염조건에서 $0.29{\sim}3.86 log_[10}CFU/mL$의 생균수 감소율을 보였으므로 소독력이 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에탄올, 요오드(25 ppm), 무기염소계, 4급 암모늄계, 산, 과산화초산계 살균소독제가 V. parahaemolyticus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에어로졸 형태의 상업적 살균소독제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해효과 평가 (Inhibitory Effect of Aerosolized Commercial Sanitizer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이선영;정진호;진현호;김영호;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5-242
    • /
    • 2007
  • Aerosolization 기술은 미생물 제어를 위한 살균처리에 있어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식품과 식품가공을 위한 시설 및 설비 등에 새로운 살균처리 방법으로의 이용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5종류의 상업적 살균소독제를 aerosol 형태로 model cabinet에서 처리하여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에 대한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과산화수소계와 4급암모늄계를 aerosol 형태로 처리했을 때 세 가지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가장 높은 살균력을 관찰하였으며 반면에 다른 종류의 살균소독제인 염소계, 요오드계, 알콜계는 세가지 병원성 미생물을 거의 저해하지 못하거나 아주 약한 저해를 나타냈다. 과산화수소계는 세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우수한 살균력(> 4 log reductions)을 나타냈으며 L. monocytogenes에 대하여는 특히 aerosol형태의 4급암모늄계가 강한 살균력을 나타내어 9 log 이상의 저해를 나타내었다. 1.6 MHz와 2.4 MHz 진동자를 비교하였을 때 살균소독제의 종류와 처리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처리 효과와 특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Aerosolization 기술은 새로운 살균기법으로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나 응용되는 살균소독제의 종류에 따라서 살균효과에 차이가 크고 미생물이 오염되어 있는 물질 및 표면 등의 처리조건의 차이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 기술의 응용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조건과 다양한 미생물의 종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수처리에서 염소 처리시 요오드계 트리할로메탄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Iodo-Trihalomethanes during Chlorin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 손희종;염훈식;김경아;송미정;최진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542-5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염소처리시 요오드계 트리할로메탄(iodo-trihalomethanes, I-THMs)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염소를 소독제로 사용하여 염소 투입농도, 수온, pH, 브롬이온과 요오드이온 농도, 염소 접촉시간, 암모니아성 질소농도 및 용존 유기물질의 특성 변화에 따른 I-THMs 6종에 대한 생성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중의 요오드이온과 브롬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I-THMs의 생성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염소 투입농도 및 수온에 따른 I-THMs 생성에서는 염소 투입농도 및 수온 상승에 비례하여 I-THMs 생성농도도 증가하다가 염소 투입농도 3 mg/L 및 수온 $30^{\circ}C$ 이상의 조건에서는 오히려 I-THMs 생성농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시료수의 pH가 상승할수록 I-THMs의 생성농도가 증가하였다. 수중의 $NH{_4}{^+}-N$ 농도가 증가할수록 염소와 반응하여 생성된 클로라민에 의해 I-THMs 생성농도가 증가하였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휴믹산 조제수, 조류유래 유기물질 함유수 및 4개의 낙동강 시료수(고령, 매리, 하구 및 진천천)와 같은 7개의 시료수의 유기물질과 I-THMs와의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하수처리장 최종방류수가 I-THMs와의 반응성($12.31{\mu}g/mg$)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휴믹산 시료수($4.96{\mu}g/mg$)로 나타났고, 조류유래 유기물질이 가장 낮은 결과($0.99{\mu}g/mg$)를 나타내었다. 또한, $SUVA_{254}$값과 I-THMs 반응성과의 상관성을 평가한 결과에서 상관계수($r^2$)가 0.002로 매우 낮게 나타나 $SUVA_{254}$값과 I-THMs 생성과는 연관성을 찾기가 어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