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양서비스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25초

사회적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Whether Individuals Ar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Accident Type)

  • 김영애;김문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51-361
    • /
    • 2017
  • 우리나라는 노령인구의 급증에 따라 노인의료시설과 요양보호사 인력소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요양보호사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많은 신체적 정신적 소진으로 인해 요양보호사를 기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을 보강하기 위한 자원탐색과 대안 모색을 위해 요양보호사 284명을 대상으로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혼여성이 미혼여성에 비해 환경적, 사회적 삶의 질 수준이 높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요양보호사가 종교가 없는 요양보호사에 비해 환경적, 심리적, 사회적 삶의 질 수준이 높고, 연봉이 2000만원 이상 집단이 2000만 원 미만 집단 보다 환경적, 심리적, 신체적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둘째, 상사 지지는 요양보호사의 환경적, 신체적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동료 지지는 사회적, 신체적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요인은 상사 지지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회복탄력성 중 자기효능감과 낙관성, 원인분석력은 삶의 질에 각각 상이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상사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심리적, 사회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요양보호사 인력소요가 증가하는 최근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적 수준을 높여 고품질 서비스를 증진시켜, 청년 일자리 창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A Study on Emotional Labor of Home Elderly Welfare Center Certified Nursing Assistants

  • Jung Seo,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03-110
    • /
    • 2023
  • 재가노인복지센터 요양보호사들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복지센터의 운영과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K시와 J도 소재 재가노인복지센터 소속 요양보호사 13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을 이용하여 신뢰도 Cronbach's α 계수산출, t-test, 분산분석, Pearson 적률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재가노인복지센터 요양보호사들의 감정노동 차이는 치매 교육, 근무경력, 고용 형태, 학력, 나이순으로 감정노동 정도가 더 높았다. 둘째, 조사대상의 소진 정도는 근무경력, 치매 교육, 고용 형태, 나이순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업무 스트레스, 감정노동은 업무소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요양보호사들의 업무소진 방지를 위한 체계적인 감정조절 경험사례와 치매 교육, 서비스 대처 방법에 관한 업무 환류와 업무 스트레스 완화를 근무 여건 개선 대책 연구가 필요하다.

재가노인의 장기요양예방과 자립지원에 관한 연구: 예방·자립지원 모형설계 방안제언 (A Study on a Prevention of Long-term Care self-reliance Support for the Elderly in Home: Proposal of an Prevention and Support for Self-reliance Support Model)

  • 김현실;황성자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359-1375
    • /
    • 2010
  •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 따른 장기요양재가노인 인구의 증가 현상을 예견하면서, 요양급여 의존 증을 최소화하고, 예방·자립지원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예방·자립지원 모형의 기초를 제시함으로 예방·자립지원의 실천적 함의를 얻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이론적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기요양노인에게 예방·자립지원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며, 둘째,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와 연구대상자가 소속된 노인복지센터의 장기요양급여 관련문서 분석을 통하여 예방·자립지원에 저해하는 요소를 분석하고, 셋째, 요양급여 이용자들의 요양급여이용실제에서 예방·자립지원을 저해하는 요소와 실제 욕구를 조사하여 이 세 가지의 질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방·자립지원 모형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예방·자립지원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따라서 D시에 있는 주간보호센터와 노인복지센터의 사업자와 전문사회복지사의 협력과 승낙을 얻어 문서자료 수집과 연구 참여자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헌연구에서는 장기요양 예방·자립지원은 장기요양급여노인에게도 자신이 삶의 주체가 되어 살아가도록 이용자의 권리를 지원하는 '이용자 중심의 지원체계의 강화'로 전개되어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서분석에서는 보건의료와 관련한 급여제공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고, 예방·자립지원을 위한 사회적지지체계의 미비 등이 나타났으며, 심층면접조사결과에서 장기요양급여이용노인의 예방·자립과 관련된 서비스의 강화가 요구되었으며 예방·자립을 위한 요양급여이용노인의 절실한 욕구는 ①고독감, 외로움, 불안, 공포 ② 자녀와 사람에 대한 그리움과 걱정, ③이동, 외출, ④ 보건·의료서비스·재활프로그램, ⑤ 주간보호이용욕구, ⑥주택구조의 불편, ⑦식사메뉴의 욕구, ⑧폐용증후군(disuse syndrome)의 발생 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예방·자립지원모형은 ①이용자 중심의 지원체계의 강화, ②보건의료연계지원체계의 강화, ③사회적지지 체계강화의 3가지 축을 중심으로 예방·자립지원모형설계의 기초를 제시하고자 했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Service Quality of Care Helpers Working for the Elderly in Long Term Care)

  • 이여진;박광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5-153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influencing factors on service quality provided by care helpers working for the elderly in long term car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221 care help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y or home care service cent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7.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depending on the health status, intimacy level, pleasure level, job edu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Factors influencing service quality were gender, intimacy level with elderly, type of working place and job satisfaction with $R^2$ value of 17.3%.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intimacy level (${\beta}$=.249), followed by job satisfaction (${\beta}$=.208), gender (${\beta}$=.170), and type of working place (${\beta}$=.146).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ffort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care helper should be focused on helping intimacy building between the elderly and the care helper. Also, a more effective way to improve service quality would be intervening for care helpers providing institutional care.

장기요양시설 노인에 대한 간호서비스 제공시간 분석 (Care Time of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김은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53-366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are time of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to compare and analysis the care time by staff and facility type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30 elderly over sixty, residing in two long-term care hospitals for dementia, three long-term care hospitals for the elderly and two skilled nursing facilities. Care time for individual residents was measured the total time spent by nurses, aides. Result: The average care time measured by nursing staff was 158.6 minutes a day. The average care time for one resident by nurse was 40.4 minutes, and by aides, 118.2 minutes. The difference of the care tim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long-term care facility types(p<0.001) : average care time for dementia hospital(199.1min) was twice as long as that of skilled nursing facility(94.1m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are time differentiates care time provided to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The study suggests the ne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tandardization of level of staff and service programs by the long-term facilities.

  • PDF

요양병원의 서비스 질 평가 영역 수립을 위한 질적 연구 (Quality Dimension of Long Term Care Hospital)

  • 김춘미;이지윤;고려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3-250
    • /
    • 2009
  • Purpose: This is a qualitative study to identify dimensions of long-term care hospital care quality that provide high-level medical services for long-term care patients in Korea. Methods: Service consumers and providers were interview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o thesis, type and dimension. The focus group method was applied to two provider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 was applied to two persons who had experienced a long-term care hospital.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sumers and providers was integrated into 8 dimensions: physical environment, staff, clinical care and nursing, multiplicity of activity program, atmosphere, interaction with family, nutrition, and quality improvement system. Conclusion: The dimensions of long-term care hospital care quality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of quality indicators. Quantitative studies to test these dimensions are required for establishing quality management systems.

  • PDF

노인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자의 시설 입소 영향 요인 (Factors Related to Nursing Hom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using Home Care Services)

  • 한은정;황라일;이정석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2-525
    • /
    • 2016
  • Purpose: Ageing in place ma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frail elderly and decrease their costs of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using home care services in a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009 Satisfaction survey of Korean long-term care system'. The survey proceeded to use a sampling data based on region, level of long-term care need, and insurance type among the beneficiaries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09. The onset dates of institutionalization of 1,095 participants were ascertain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claim data. This study calculated the hazard ratio through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A total of 176 subjects who were institutionalized in nursing homes were included. There were higher risks in the group that included those who were 85 years and over, had dementia or fracture, used home-visit nursing service, and were not supported by direct fami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olicy implications to supplement the home care service system and postpone nursing hom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치매 노인을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치매에 대한 지식, 일 가치감과 업무수행 자신감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Caregivers' Service Qualit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Focusing on Dementia Knowledge, Work Value, and Job Performance Confidence)

  • 김두리;김광환;이수연;한선희;이기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3-24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service quality provided by caregivers work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214 caregiver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in D c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ervice quality, dementia knowledge, work value, and job performance confidence. For data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depending on the health status. Factors influencing service quality were work value, and job performance confidence with R2 value of 38%. The highly influencing factors were work value, and job performance confide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ffort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caregivers should focus on work value and job performance conf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