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요소명제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alyses on Propositional Connections in the Tex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명제 연결에 대한 분석)

  • Song, Hyewon;Kang, Sukji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79-92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propositional connections and markers for connecting propositions in the texts of the 3rd- and 6th-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 selection of texts from Korean and socia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ose from science textbooks as well. The propositional connections were classified into emphasis, elaboration, exemplification, listing, addition, order, correspondence, causal relation, condition, and purpose types. The markers for the relationship of propositions were classified as demonstrative, using conjunctive, using a comma, using distinctive linguistic elements, and no marker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propositional connections in the texts of the 6th-grade textbooks was lower than that of Korean and/or social science textbooks. However, the frequency of the propositional connections in the texts of the 3rd-grade textbook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social science textbook but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 textbook. The types of order, listing, condition, and causal relation were dominant in science as well as Korean and social science textbooks. Over 40% of the markers for the relationship of propositions were found to be the no marker type, with the ratio of the no marker type being especially higher in the categories of order and causal relation.

비트겐슈타인은 왜 "논고"를 포기했는가?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7 no.2
    • /
    • pp.71-104
    • /
    • 2004
  • 비트겐슈타인이 왜 "논고"를 포기했느냐 하는 주제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조명하는 데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이 글의 일차적인 관심은 비트겐슈타인이라는 한 개인의 실제 철학적 사유 과정보다는, 오히려 "논고"가 포기될 수 있는 모든 가능성들과 경로를 생각하고 추적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논고"의 여러 근본 전제들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한 부류는 직접적 논박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논고"에서 정의에 해당되는 것, 모호한 개념인 "완전한 분석"과 관련된 것, 그리고 유아론과 관련된 것 등이 있다. 다른한 부류는 전자에 비해 어떤 직접적인 논박 가능성의 여지가 있는 근본 전제로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요소 명제들의 상호 독립성을 들 수 있다. "논고"는 소위 "색깔배제 문제"부터 후자에 속하는 근본전제가 직접적인 타격을 입으면서 와해되기 시작했으며, "논고"와는 완전히 다른 패러다임에 서게 됨으로써 비로소 포기되었다.

  • PDF

포트로얄 논리학에 있어서의 계사의 기능

  • Song, Ha-Seo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5 no.1
    • /
    • pp.27-44
    • /
    • 2001
  • 아리스토텔레스 이후부터 프레게와 럿셀의 현대논리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가장 중요한 논리학의 저서는 "포트로얄 논리학"이라고 알려진 "논리학 혹은 사유의 기술" 이다. 이 저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중세의 고전논리학적 요소와 프레게의 현대논리학적 요소를 동시에 지니고 있어 고전논리학과 현대논리학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포트로얄 논리학에 나타난 서술문의 계사에 대한 설명과 그에 대한 대립되는 해석들을 살펴보고 포토로얄 논리학전체 체계에 비추어 볼 때 어떠한 해석이 보다 설득력있는 해석인가를 검토해 봄으로써 포트로얄 논리학이 지닌 고전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를 대비해 보는 것이다. 즉 포트로얄 논리학의 서술문의 계사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그 저서의 한계와 의미를 알아보고, 논리학사에서 그 저서의 정당한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서술문의 계사에 대한 포트로얄 논리학의 설명은 계사는 주어와 술어 사이의 동일성 기호라는 고전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여지를 가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동시에 서술문의 계사는 술어의 속성들의 집합(comprehension)에 속한 성질들을 주어의 외연(extension)에 적용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프레게의 개념과 대상에 대한 설명과 유사함도 보이고 있다. 필자는 포트로얄 논리학의 계사에 대한 설명을 주어와 술어의 동일성 기호로 해석하는 최근의 빠리앙뜨의 주장(1978)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포트로얄 논리학의 계사에 대한 설명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술어의 속성과 주어의 외연 사이의 서술적 기능이라고 보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계사를 동일성 기호로 해석하는 것은 첫째 포트로얄 논리학 전체를 살펴볼 때 빈약한 문헌적 증거밖에 갖지 못하고, 둘째 논리학과 의미론에서 포트로얄 논리학의 가장 중요한 기여라고 평가되는 속성집합과 외연의 구별에 대한 오해를 포함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해석은 같은 술어도 주어가 달라짐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는 주장을 포함함으로써 반직관적이다. 반면에 계사를 서술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포트로얄 논리학의 외연과 내포 사이의 구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에 근거한 것이고 종속절을 갖고 있는 명제에 대한 포트로얄 논리학의 분석에 의해서도 뒷받침됨을 보인다. 그러나 포트로얄 논리학은 주어의 외연이 공집합인 명제에 대한 분석에서 여전히 고전논리학적인 설명을 고수한다. 즉 그러한 면제에 대해 주어의 외연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존재적 관점의 해석만 허락함으로써 전칭명제를 조건적으로 해석하고$[({\forall}x)(Sx{\rightarrow}Px)]$, 특칭명제를 연언적으로 해석함으로써$[({\exists}x)(Sx&Px)]$, 그 문제를 해결하는 현대논리학과는 구별된다. 즉 포트로얄 논리학은 서술문의 계사를 동일성 기호가 아니라 주어와 술어의 외연과 내포사이의 서술적 기능으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고전적인 견해와 구별되지만, 여전히 존재적 관점에서 모든 명제를 해석한다는 점에서 고전적이다. 이것이 바로 포트로얄 논리학의 평가를 위해서 주목해야 할 그 논리학의 가치이며 한계인 것이다.

  • PDF

Preservice Teachers' Writing Performance Producing Proofs and Counterexamples about Limit of Sequence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증명활동과 반례생성 수행결과 분석 : 수열의 극한을 중심으로)

  • Lee, Jeong-Gon;Lew, Hee-Cha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1 no.4
    • /
    • pp.379-398
    • /
    • 2011
  • In learning environment at mathematics education, prove and refute are essential abilities to demonstrate whether and why a statement is true or false. Learning proofs and counter examples within the domain of limit of sequence is important because preservice teacher encounter limit of sequence in many mathematics courses. Recently,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ed evidence that pre service and students have problem with mathematical proofs but many research studies have focused on abilities to produce proofs and counter examples in domain of limit of seque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productions of proofs and counter examples, as participants showed difficulty in writing these proposition. More importantly, the analysis provides insight and understanding into the design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at may improve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in mathematics courses.

  • PDF

A Discourse-Pragmatic Study of Preposing and Inversion in English. (전치문과 도치문의 담화화용론적인 비교)

  • 박원경
    •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 /
    • v.3 no.1
    • /
    • pp.37-5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henomena of preposing and inversion in English from the discourse-pragmatic perspectives. We claim that different types of preposing can be unified to a single process of topicalization. We also show that diverse discourse functions of inversion can be subsumed under the ‘linking’ function with the prior discourse. It is followed a comparative discussion between preposing and inversion to find what similarities the two constructions share and what differences there exist between the two. It is concluded that the choice of a syntactic forms ultimately depends on the speaker's evaluation of the information status of the knowledge store of the hearer.

  • PDF

조합논리 소개

  • Jeong, Gye-Seop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6 no.2
    • /
    • pp.49-67
    • /
    • 2003
  • 조합논리는 기본적으로 정해진 해석이 없는 순수한 형태만을 가지고 추상적으로 연산하는 관점에 관한 논리로서, 논리학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볼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 준다. 조합논리의 특징은 연산자가 피연산자도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으며 그래서 동일한 연산자가 그 자신의 피연산자도 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기본연산자들의 직관적 개념과 형식적 개념을 소개하고 연산자 대수에 내해 검토하고 나서 조합논리와 $\lambda$-연산의 번역가능성에 다해 알아보겠다. 조합논리에 유형의 개념을 추가하면 자연언어 분석에서 아주 효율적인데 기본유형인 대상자 명제 이외의 어떤 요소라도 함수자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들은 조합자의 특수한 경우로서 파생유형들이다.

  • PDF

A Study on the A nalysis and Synthesis in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Euclid's 'The Data' and 'On Divisions' (유클리드의 자료론(The Data)과 분할론(On Divisons)에 기초한 수학교육에서 분석과 종합에 대한 고찰)

  • Suh, Bo-Euk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4 no.1
    • /
    • pp.27-41
    • /
    • 2011
  • This study is the consideration to 'The Data' and 'On Divisions' of Euclid which is the historical start of analysis and synthesis. 'The Data' and 'On Divisions' compared to Euclid's Elements is not interested. In this study, analysis and synthesis were examined for significance. In this study, means for 'analysis' and 'synthesis' were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Data' and 'On Divisions'. First, the various terms including analysis and synthesis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s of the terms were analyzed. Then, analysis was divided into 'external analysis' and 'internal analysis'. And synthesis was divided into 'theoretical synthesis' and 'empirical synthesis'. On the basis of this classification problem presented in elementary textbooks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s were explored.

VTS and Discourse/Conversation Analysis

  • Jeong, Gi-Nam;Seo, Seung-Hyeon;Ha, Y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161-163
    • /
    • 2010
  • 말하기는 곧 행위라는 주장이 화용론의 핵심명제이다. VTS 대화는 선박들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항해를 위해 이루어지는 언어적 상호작용 행위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VTS 화행은 항해행위의 수행에 따른 부수적인 요소가 아니라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점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먼저 화용론에서 다루는 대화의 협력원칙, 공손원칙, 명령화행 및 약속화행의 적정성, 최소대화의 원칙을 VTS 대화 상황에 적용하여 VTS 화행의 특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제 발생했던 해양사고에서 선박 간 담화 또는 대화를 분석함으로써 화용론적 실패가 충돌사고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검토해보았다. VTS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담화 또는 대화분석을 통해 해양사고의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방안과 이의 결과를 항해사 및 관제사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덧붙여서 co-Navigation 개념이 항해안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Spoken Discourse Markers and their Application to Speech Synthesis Systems (담화표지의 음성언어적 특성과 음성합성 시스템에서의 활용)

  • Lee, Ho-Joon;Park, Jong C.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254-260
    • /
    • 2007
  • 음성은 컴퓨터로 대변되는 기계와 사람 그리고 기계를 매개로 한 사람과 사람의 상호작용에서 가장 쉽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인간에게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음성합성 분야에서는 합성결과의 자연스러움과 인식성이 시스템의 주요 평가요소로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자연스러움과 인식성은 합성결과의 정확성뿐만 아니라 발화환경이나 발화자의 발화특징 혹은 감정상태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담화표지는 문장의 명제 내용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으면서 화자의 발화 의도나 심리적 태도를 전달하는 구성 요소를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담화표지가 포함된 대화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담화표지의 음성언어적인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음성합성 시스템에 활용하는 표현방식에 대해 논의한다.

  • PDF

Extracting User Experience Design Elements in Social TV - Focusing on Case Studies - (Social TV 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 해외 Social TV 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Lee, Joung-Youn;Lee, Seong-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811-817
    • /
    • 2009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of two studies on Social TV. In one study, meaning and possibility of TV as social media was theoretically studied and based on this meaning, we reviewed existing social TV systems and literatures. By doing this, we could extract the conditions and issues raised by designing Social TV's user experience. Based on our analysis, we could conclude with elements which are (1) channel communication, (2) Co-viewing experience, (3) Interaction Devices and elements, (4) Personalized contents browsing and selecting, (5) Accessibility and usability (6) User interface desig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