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부안정화운동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민간경호원의 규칙적인 척추안정화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근기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Program on Muscle Function and Gait Ability for Private Security Guard)

  • 김경태;조지훈
    • 시큐리티연구
    • /
    • 제24호
    • /
    • pp.33-5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호원의 규칙적인 척추안정화 운동프로그램 적용 유 무에 따른 근기능 및 보행능력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척추안정화 운동프로그램과 관련된 근기능의 변화에 있어서 최대 요부신전근력 및 요부굴곡근력의 경우 운동그룹에서는 처치 전 후 요부신전근력과 요부굴곡근력 모두 증가되었고 비운동그룹에서도 처치 전 후 요부신전근력과 요부굴곡근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처치전에는 두그룹간 차이가 없었으나, 처치후에는 운동그룹과 비운동그룹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척추안정화 운동프로그램과 관련된 근기능의 변화에 있어서 요부 굴곡 신전근 비율의 경우 운동그룹과 비운동그룹 모두 처치 전에는 요부 신전근의 기능적 소실을 나타냈으나, 처치 후 운동그룹은 정상적으로 회복되었고, 비운동그룹은 요부 신전근의 기능적 소실을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척추안정화 운동프로그램과 관련된 근기능의 변화에 있어서 요부안정화근력의 변화에 있어서 총 8가지 방향으로 요부안정화근력을 분석하였으며, 운동그룹에서는 각도별로 요부 안정화근력이 증가하였고 비운동그룹에서는 각도별로 요부안정화근력이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척추안정화 운동프로그램과 관련된 보행능력의 변화에 있어서 10m 보행검사를 이용하여 최대 보행시 속도와 보폭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척추안정화 운동프로그램 적용 유 무에 따른 운동그룹에서 비운동그룹 보다 보행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민간경호원에게 규칙적인 척추안정화 운동프로그램 적용은 요부신전근력, 요부 굴곡근력, 요부 굴곡 및 신전근 비율, 요부안정화근력, 보행능력 등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척추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민간경호원들의 요통의 완화 및 근력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환자들의 빠른 회복으로 보다 빠르게 사회로의 복귀를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호원들을 대상으로 예방적인 또는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처방 프로그램으로 활용가능하다고 생각한다.

  • PDF

미세 현미경 레이저 요추 디스크 절제술 환자의 요부안정화운동과 SEBT 트레이닝이 등척성 요부근력과 동적균형능력,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mbar Stabilizing Exercise SEBT Training on Isometric Lumbar Strength, Dynamic Balance Ability and Range of Motion in Open Laser Lumbar Microdisectomy Patients)

  • 전호민;김정훈;이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12-220
    • /
    • 2020
  • 본 연구는 미세 현미경 레이저 요추 디스크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전통적 재활플그램인 요부 안정화 운동에 SEBT 프로그램을 적용한 재활운동이 등척성 요부근력과 동적균형능력 그리고 관절가동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미세 현미경 레이저 요추 디스크 절제술을 받은 후 6주간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요부안정화운동(Lumbar Stabilizing Exercise Group, LSG, n=7)과 SEBT+요부안정화운동그룹(SEBT Exercise +Lumbar Stabilizing Exercise Group, SLSG, n=7)을 8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요부의 등척성 근력 비율(72°와 0°)은 LSG(p=.007)와 SLSG(p=.024)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동적균형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Y-balance test의 세 방향 도달 거리에 대한 결과는 SLSG와 LSG의 모든 방향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동적균형 능력은 좌측(LSG, p=.010; SLSG, p=.002)과 우측(LSG, p=.002; SLSG, p=.002)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관절가동범위는 LSG(p=.006)와 SLSG(p=.017)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8주간의 재활운동 후, 전통적인 요부안정화 운동과 요부안정화운동에 SEBT프로그램을 추가한 재활운동 모두 등척성 요부근력과 동적균형능력 그리고 관절가동범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후에 SEBT 프로그램만의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요부 안정화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다열근 단면적, 정적자세조절,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multifidus muscle cross-sectional area, static posture control and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김대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23-229
    • /
    • 2021
  •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요추의 구조와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요부 안정화운동과 근력강화운동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과 요부 근력강화운동만 적용한 운동 프로그램의 다열근 단면적, 정적자세조절, 요부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만성요통환자 28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운동그룹으로 나누워 주 3회씩 8주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t-test를 활용하여 그룹 운동프로그램 적용전과 적용후, 그리고 각각의 그룹간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다열근 단면적, 정적자세조절, 요부통증 등 각각의 그룹내 운동프로그램 적용전과 적용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p<.05), 각각의 그룹간에는 요부 안정화운동과 근력강화운동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05). 결론적으로 요부 안정화운동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운동 프로그램이 다양한 요추의 구조와 기능을 향상시키고, 요부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부안정화운동이 요부불안정성을 가진 산업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관련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Pain-related Functions of Industrial Worker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Lumbar Instability)

  • 정대인;고대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79-48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요부안정화운동이 요부 불안정성을 가진 산업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관련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업체 만성요통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10명씩 할당하여 신체기능은 배근력, 유연성, 균형능력을 측정하였고, 통증은 visual analog scale(VA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두군 모두 운동 후 배근력과 균형능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통증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군간 비교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균형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통증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요부안정화운동은 요부 불안정성을 가진 산업체 만성요통환자의 균형능력을 향상시키고 통증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8주간의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천장관절 증후군 남성의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l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o Muscle Body Type and Subjective Pain Degree of Men Who Have Sacroiliac Joint Syndrome)

  • 백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51-658
    • /
    • 2014
  • 본 연구는 천장관절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중년남성 17명을 대상으로 슬링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이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에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의 효과성을 증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S정형외과에서 X-Ray 등의 검사를 통하여 천장관절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6개월 이상의 병력이 있는 만성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을 8주간 주 3회씩 1회 30분 통 24회 실시한 후 3차원 Moire 근체형검사기를 사용하여 근체형의 변화와 변형된 VAS통증 자각도를 이용하여 주관적 통증정도의 전 후 변화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근체형의 변화는 운동전과 운동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됐고 주관적 통증정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은 천장관절 증후군 환자의 근체형 및 통증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8주간의 요부안정화운동 시 여성노인의 균형능력 및 복횡.다열근 두께의 변화 (Changes in Balance Ability and Muscle Thickness of the Transverse Abdominis and Multifidus of Elderly Females after Eight Weeks of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 고대식;김권영;이철갑;이경일;김찬규;정대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89-696
    • /
    • 2009
  • 이 연구는 여성노인의 낙상 예방을 위하여 요부안정화운동을 실시하고 요부 등척성 근력, 복횡근과 다열근의 근두께, 자세안정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요양원에서 여성노인 21명을 대상으로 8주간 운동 후 요부 등척성 근력, 복횡근과 다열근의 근두께, 자세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요부 등척성 근력은 페가수스 근력 측정장치(3D Pegasus system, Germany), 복횡근과 다열근의 근두께는 초음파영상 계측장치(Sonoace 6000C, Korea), 자세안정성은 BBS 균형측정장치(Biodex Balance System SD, USA)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요부 등척성 근력 중 굴곡, 신전, 좌회전과 복횡근 이완(횡)두께는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자세안정성변화에서 전체 좌우 전후균형지수 모두 운동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요부안정화운동이 근력 및 자세안정성에 영향을 미쳐 여성노인의 낙상 예방에 효과적이다 라는 결론을 얻었다.

만성요통환자의 복합재활운동이 통증과 정적균형, 재위치감각인지에 미치는 영향 (Lumbar Combined Rehabilitation Exercise for Lumbar Reposition Sense, Static Balance and Pain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김대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96-201
    • /
    • 2019
  •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적용한 복합운동이 정적균형, 요부 재위치감각인지, 요부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만성요통환자 30명을 복합운동그룹과 안정화운동그룹 등 두 그룹으로 나누워 8주간 주 3회씩 운동을 실시하였다. t-test를 이용하여 그룹전, 후와 그룹간을 비교한 결과 정적균형, 요부 재위치감각인지, 요부통증 모두 두 그룹 운동전, 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지만(p<.05), 그릅간에 있어서는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적용한 복합운동그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실시한 복합운동이 요통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만성요통환자에서 PNF 기법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부 심부근 두께 및 기능적 활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PNF Techniques on Thickness of Lumbar Deep Muscle and Functional Activ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 김기도;이윤정;최완석;이동우;정대인;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33-243
    • /
    • 2012
  • 본 연구는 만성요통환자에서 PNF 기법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부 심부근의 두께 변화와 기능적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성 요통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을 세군으로 10명씩 무작위 할당하였다; 실험군I은 일반물리치료군(n=10), 실험군II는 일반 요부안정화운동군(n=10), 실험군III은 PNF 기법을 이용한 요부안정화운동군(n=10)으로 나누었다. VAS를 사용하여 통증 변화를 측정하였고, 초음파 장비를 사용하여 4주간의 각 운동에 따른 요부 심부근들(복횡근, 외복사근, 다열근)의 근 두께 변화를 알아보았고, ODQ, RMDQ를 사용하여 기능적 활동 수준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실험 전 후에 실험군II와 실험군III의 비교에서 VAS와 근 두께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 검정 결과, 실험군III에서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ODQ, RMDQ 검사 결과에서는 실험 전 후에 실험군II와 실험군III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 검정 결과, 실험군III에서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NF 기법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운동은 일반 요부안정화운동에 비해 통증경감 및 요부에 위치한 심부근들의 두께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능적 활동수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치료용 공과 전신진동기를 이용한 교각운동이 체간근의 근활성도와 자세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idging Exercise Using Swiss Ball and Whole Body Vibration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Postural Stability)

  • 김택훈;김은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48-356
    • /
    • 2009
  • 본 연구는 요부안정화에 도움이 되는 불안정 기저면의 운동인 공운동, 전신진동운동, 매트운동을 선택하여 각 운동조건의 체간과 하지의 근 활성도(%RVC)를 비교한 결과, 배속빗근은 전신진동기조건에서 매트조건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넙다리곧은근과 장딴지안쪽갈래근은 공과 전신진동기조건에서 매트조건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오금안쪽갈래근은 공조건에서 매트조건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세 가지 운동방법으로 4주간 안정화운동프로그램을 진행시킨 결과, 세 운동군 모두 운동전보다 운동 후에 각 방향에서 안정성한계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5). 각 운동군의 운동 전 후의 안정성한계의 차이 값을 비교한 결과, 각 운동군에서 네 방향(전 후 좌 우)의 안정성한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교각자세에서의 요부안정화 운동방법 중에서 체간근과 하지근육의 근활성도는 공과 전신진동기 운동에서 더 증가되었지만, 안정화운동 4주후에는 세 운동 모두 자세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면의 상태에 따른 요부안정화운동 적용 시 산업체 근로자의 심혈관기능 변화 (Change of Cardiovascular Function of Industrial Workers Apply to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ccording to the Floor Type)

  • 김찬규;채윤원;김명훈;이정훈;고대식;정대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225-232
    • /
    • 2009
  • 연구는 심박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말초혈관 산소포화도 알아보고자 바닥과 스위스 볼상에서 요부안정화운동(LSE)에 따른 심혈관기능에 미치는 연구를 하였다. 대상자는 K 산업체 재활센타를 이용한 근골격계 근로자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남성 18명을 실험1군 바닥 적용군에 9명, 실험군 2군 스위스볼 적용군에 9명으로 분류하여 심박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말초혈관 산소포화도를 비교하였다. 심박수는 휴대용 심박 측정계(RS400sd, Finland)로, 혈압은 혈압계((FC-110, Japan)로, 말초혈관 산소포화도는 누리텍 체력 측정장치((TF-300-5, Korea)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두군 모두 운동실시 후에 말초혈관 산소농도가 점차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수축기혈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요부안정화운동에 따른 자세변동이 심혈관기능에 영향을 미치지만 지변의 상태에 따른 차이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