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부강화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9초

요부 안정화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다열근 단면적, 정적자세조절,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multifidus muscle cross-sectional area, static posture control and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김대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23-229
    • /
    • 2021
  •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요추의 구조와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요부 안정화운동과 근력강화운동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과 요부 근력강화운동만 적용한 운동 프로그램의 다열근 단면적, 정적자세조절, 요부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만성요통환자 28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운동그룹으로 나누워 주 3회씩 8주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t-test를 활용하여 그룹 운동프로그램 적용전과 적용후, 그리고 각각의 그룹간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다열근 단면적, 정적자세조절, 요부통증 등 각각의 그룹내 운동프로그램 적용전과 적용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p<.05), 각각의 그룹간에는 요부 안정화운동과 근력강화운동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05). 결론적으로 요부 안정화운동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운동 프로그램이 다양한 요추의 구조와 기능을 향상시키고, 요부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요통환자의 복합재활운동이 통증과 정적균형, 재위치감각인지에 미치는 영향 (Lumbar Combined Rehabilitation Exercise for Lumbar Reposition Sense, Static Balance and Pain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김대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96-201
    • /
    • 2019
  •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적용한 복합운동이 정적균형, 요부 재위치감각인지, 요부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만성요통환자 30명을 복합운동그룹과 안정화운동그룹 등 두 그룹으로 나누워 8주간 주 3회씩 운동을 실시하였다. t-test를 이용하여 그룹전, 후와 그룹간을 비교한 결과 정적균형, 요부 재위치감각인지, 요부통증 모두 두 그룹 운동전, 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지만(p<.05), 그릅간에 있어서는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적용한 복합운동그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실시한 복합운동이 요통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만성요통 여성노인에 대한 요부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Strengthening Program for Lower Back in Older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 형희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902-91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a strengthening program for the lower back in older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6 older women and the control group, 14, all of whom had experienced low back pain for at least 3 months. The strengthening program for the lower back include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and education on pain management in daily living. For an 8 week period, exercises were done 3 days a week and on one day education was also given. Results: Pain and disability scor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lexibility, life satisfaction and lumbar muscle strength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Low back pain and disability can be relieved, and flexibility, muscle strength, and life satisfaction increased through a program to strengthen the lower back. It is suggested that a program to strengthen the lower back w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older women with low back pain.

요통이 있는 여성을 위한 수지요법과 요부강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효과 (Effects of the Hand Acupressure and Lumbar Strengthening Exercise on Women with Lower Back Pain)

  • 전은영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9권2호
    • /
    • pp.63-7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hand acupressure and lumbar strengthening exercise on young adult women with back pain. Methods: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consisted of 37 female young adults (19 pers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persons in the control group). The hand acupressure and strengthening exercise for lower back wer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and a hand acupressure expert.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is program 5 days a week for 4 weeks. The visual analog scale, back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quality of life were used as measurement instrum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SPSS 18.0. Results: In this study, the hand acupressure and strengthening exercise showed siginificant effects on the back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back pain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is program can be applied for the women with low back pain in order to enhance the back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quality of life.

경호원들의 코어프로그램 수행과 요추부 기능개선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re Exercise Program on the Low Back Function in Private Guard and Security)

  • 강민완
    • 시큐리티연구
    • /
    • 제21호
    • /
    • pp.1-18
    • /
    • 2009
  • 인간의 요추는 똑바로 선 자세에서 골반 위에 있는 근육과 인대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인간이 움직일 때 마다 중심을 잡아주고, 근 골격계 구조를 적절히 유지시키는 요추부근육들을 효과적으로 스트레칭하고, 강화하여 노화로 인한 '건강의 약화'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요부안정화근육 강화는 요추부 재활과 운동 수행능력까지도 증가시킨다. 이 연구는 척추 강화 운동 요추 안정화 운동을 요추부의 근력, 유연성 및 균형, 요추 기능에 (코어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민간 경비 회사에 등록된 18명을 선정했다. 각 운동 그룹(n=9)은 무작위로 무선 표집하여 선정됐다. 이 연구의 방법으로 요추부 근력 측정 장비 BTE, 눈금자 줄자, 유연성, 균형과 요추 기능을 사용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아래에 요약하였다. 굴곡근력 요추 안정화 운동 (핵심 운동) 단체(p<.05)을 개선했다. 신근 근육 강도가 요추 안정화 운동 (코어 프로그램) 그룹(p<.05)을 개선했다. 요추부 유연성 강화 운동 그룹과 요추 안정화 운동 그룹 (p<.05)을 개선했다. 척추의 균형 능력을 강화하는 그룹과 요추 안정화 운동 그룹 (코어 프로그램) 그룹에서 개선되었다(p<.05). 위의 결과에 따른 이 연구에서는 각 개인 경비 및 보안에 척추 강화 운동 요추 안정화 운동의 효과를 보여주어 지속적인 코어프로그램의 활성 방안을 고려해보아야 겠다.

  • PDF

등척성 요부 근력강화 운동과 요부 안정화운동이 요부 근력과 신전 범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and Isometric Lumbar Strengthening Exercises on Lumbar Strength and Extension Range in Healthy Young Adults)

  • 김인섭;김창용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9-48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LSE) and isometric lumbar strengthening exercise (ILSE) on lumbar strength and lumbar extension range in healthy young adults. Method : Ten healthy young adults (six males and four females) volunteered to carry out the LSE and ILSE program for two week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the LSE group (n=5) and the LSE plus ILSE group (n=5). The LSE consisted of 20 minutes of exercise related to lumbar stabilization, and the ILSE was composed of five minutes of isometric stabilization exercise with a specific device. Each group exercised three times per week for two weeks. Assessment tools were made using the subjects' isometric lumbar strength and lumbar extension rang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Results :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sometric lumbar strength and the lumbar extension r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in each group (p<.05). Also, the lumbar extension range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LSE plus ILSE group compared to the LS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isometric lumbar strength (p>.05).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 that ILSE might be feasible in clinical settings by offering benefits for lumbar function. Future studies will be continued.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이 임산부의 신체구성, 요부근력, 요통 및 임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 Weeks Pilates Mat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Lumbar Muscle Strength, Low Back Pain and Pregnancy Stress in Pregnant Women)

  • 조나영;장용철;조준용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59-267
    • /
    • 2020
  • 임신 기간 중 임산부는 체중 증가 및 근골격계 변화로 요통과 골반 통증을 유발한다. 필라테스는 유, 무산소성 복합운동으로 자세 교정 및 근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필라테스 매트 운동이 임산부의 신체구성, 요부근력, 요통 및 임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임신 중기(16~25주) 임산부 19명을 대상으로 필라테스 매트 운동 실험집단(n=11)과 비교집단(n=8)으로 구분하였으며, 실험집단은 하루 60분, 주 2회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실시하였다. 신체구성 중 체수분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및 기초대사량에는 집단 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실험집단에서는 골격근량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요부근력의 경우 엉덩이관절 신전근과 요추 신전 가동범위는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수행한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요통 수준과 임신 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필라테스 매트 운동은 임산부의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요부근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어 임산부에게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Fin 수영 선수의 족부, 요부 및 견갑부의 등속성 근 기능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Isokinetic Strength on Ankle, Lumbar and Shoulder in Fin Swimmer)

  • 김선호;구민;민범일;이홍민;고영호;윤영복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6-164
    • /
    • 2005
  • Fin 수영 선수의 등속성 근 기능을 분석하여 선수 선발 및 트레이닝에 활용하기 위하여 fin 수영 선수군과 일반 수영 선수군의 족부, 요부 및 견감부의 등속성 근 기능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족관절의 족저굴곡력은 좌 우측의 각 속도 $30^{\circ}/sec$$180^{\circ}/sec$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각각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좌 우측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족관절의 족배굴곡력은 우측의 각 속도 $30^{\circ}/sec$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요부의 신전근력은 각 속도 $60^{\circ}/sec$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견갑부의 굴곡근력은 우측의 각 속도 $60^{\circ}/sec$$180^{\circ}/sec$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영집단의 굴곡근력은 각 속도 $60^{\circ}/sec$$180^{\circ}/sec$에서 좌 우측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볼 때 fin 수영군은 족부와 요부에 유의하게 높은 등속성 근 기능을 보이고 있어 선수 선발 및 이들 부위의 근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트레이닝 방법을 적용한다면 경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요부신전강화 운동프로그램이 단순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의 요부근육 및 통증 그리고 사회복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umbar extensors strengthening program on low back muscle power and mass, pain, return to work of patients who took laser operation for herniated lumbar disc)

  • 황성수;김명준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5-56
    • /
    • 2004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effects of the postoperative lumbar extensor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back muscles strength and volume, pain, and the time of return to work. METHODS: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of lumbar extensor exercise program in patients who underwent microdiscectomy or percutaneous endoscopic discectomy for prolapsed lumbar intervertebral disc. Seventy-five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exercise group (20 male, 15 female) and non-exercise group (18 male, 22 female). Six weeks after surgery, patients in exercise group undertook a 12-week lumbar extension exercise (MedX) program. Assessment of spinal function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on postoperative 6 weeks, 18 weeks. The assessment included measures of lumbar extensor power, muscle mass of erector spinalis. All patients complete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for evaluation of pain, and return to work. RESULTS: In muscle pow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between pre and post test on muscle power in exercise group.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muscle power in non-exercise group. In muscle ma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 on muscle mass in exercise group.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muscle mass in non-exercise group. In the pai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between pre and post test on both group.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fatty tissue and obesity in non-exercise group. The percentages of return to work in postoperative 4 month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non -exercise group. CONCLUSIONS: Postoperative lumbar extensor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appears to be more beneficial to the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for prolapsed lumbar intervertbral disc.

  • PDF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20대 성인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Effects of Abdominal Bracing Exercise on Respiratory Function of Normal Adults)

  • 장혜리;황보각;이도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36-241
    • /
    • 2019
  • 요부안정화 운동은 척추 주변 근육과 복부 근육을 강화시켜 최근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운동 방법이지만 호흡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요부안정화 운동인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정상 성인의 호흡기능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대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각각 복부 브레이싱 운동을 25분간 실시하는 실험군과 일상생활을 25분간 하는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호흡기능의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과 최대호기유속을 통해 폐기능 검사를 하였고, 호흡압력의 변화량을 알아보기 위해 최대 호기압력과 최대 흡기압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실험군에서 폐기능과 호흡압력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최대 흡기압력을 제외한 나머지 수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결과는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호흡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운동으로 제시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