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주부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건물의 외주부 존에 대한 동적 부하모델 이용 피크냉방부하 저감효과 분석 (Evaluation on Reducing Peak Cooling Load Based on Dynamic Load Model of Building Perimeter Zones)

  • 이경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1-8
    • /
    • 2011
  • In this paper, inverse building modeling was applied to building perimeter zones which have different window orientation. Two test zones of east-facing and west-facing zones in ERS(Energy Resource Station) building, which is representative of small commercial building, was used to test performance of cooling load calculation and peak cooling load reduction. The dynamic thermal load model for the east and west zone was validated using measured data for the zones and then i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ak cooling load reduction by adjustment of indoor cooling temperature set points during on-peak time period. For the east zone, the peak load can be reduced to about 60% of the peak load for conventional control even without any precooling. For the west zone, PLR is nearly independent of the start of the on-peak period until a start time of 1pm. Furthermore, PLR has a small dependence on the precooling duration. Without any precooling, the peak cooling load can be reduced to about 35% of the peak load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control.

초고층 건물의 입상배기관을 통한 환기성능 (The ventilation performance of a vertical exhaust duct in a high-rise building)

  • 김신도;김경분;황의현;김형수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5-376
    • /
    • 2001
  • 건축 기술의 발달과 도시토지 이용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초고층 건물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초고층 건물은 에너지 절약적인 설계로 높은 기밀성을 가질 뿐 아니라, 외주부 또한 개폐할 수 없는 유리벽에 의하여 구획되므로 자연 환기에 열악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초고층 건물의 경우 배기시스템으로 중앙집중배기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중앙배기시스템은 배기입상덕트의 형상 및 규격, 흡출기의 성능, 그리고 기상조건 등 여러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중략)

  • PDF

중심외주시 훈련 후 주변시야에서의 대비감도 변화 (Change of Contrast Sensitivity in Peripheral Vision Following Eccentric Viewing Training)

  • 서재명;이기영;임용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9-104
    • /
    • 2014
  • 목적: 중심외주시 훈련 전후 대비감도를 검사하여 망막 주변부의 기능적 개선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시각을 가진 14명의 성인 남녀의 우안을 대상으로 중심와에서 $20^{\circ}$ 이측으로 떨어진 망막 주변부의 대비감도를 검사했다. 60분간 영상을 21일 동안 중심외주시 훈련 후 대비감도를 다시 검사하여 사후 검정했다. 결과: 시간적 가중에 따른 임계점 분석에서 중심외주시 훈련 전 0.7 cpd에서 임계점은 2.67(467 ms)이었으며 훈련 후 2.79(616 ms)로 증가했다 (p<0.05). 훈련 전 3.0 cpd에서 임계점 역시 2.53(341 ms)이었으며 훈련 후 3.04(1102 ms)로 증가했다(p<0.05). 결론: 중심외주시 훈련시 선명하고 작은 글씨체의 문자로 훈련하는 것을 권장하며 짧은 시간동안 자주 반복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아울러, 저시력 환자에 대한 각 병변별 시재활훈련을 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초고층 공동주택 RC 공사의 생산성 및 타워크레인 가동율 분석 (Productivity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Works and Tower Crane Working Ratio for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 권지훈;허영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55-62
    • /
    • 2021
  • 초고층 건설사업의 골조 공사를 대상으로 철근, 형틀 작업의 생산성을 분석하고 타워 크레인(Tower Crane; TC)의 실질적인 가동률을 조사하였다. 코어부의 형틀작업 생산성은 지하 및 지상·저층부(1~7F) 구간에서는 평균 12.0~8.7(㎡/인·일)로, 기준층 구간(8~75F) 으로 진행될수록 11.9~20.7(㎡/인·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코어와 외주부의 기준층 생산성을 비교해보면 코어 생산성이 약 11%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준층의 코어부위 철근작업 생산성(평균 1.02 ton/인·일) 대비 외주부(기준층 평균 1.12 ton/인·일)의 생산성은 대략 9.6%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TC 세 대의 평균 가동률은 63.49%로 조사되었으며, 비가동일의 원인으로는 우천 6.1%, 강풍 6.1%, 휴무 17.8%, TC 인상작업 5.8%, 기타 고장 및 수리 등이 0.07%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초고층 골조 공사의 공정을 계획하고 관리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난방 온실의 지중열 교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Heat Exchange in Heating Greenhouses)

  • 신현호;남상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8-223
    • /
    • 2016
  • 온실의 난방부하 중 지중전열부하는 산정방법이나 적용여부가 제각각이고, 온실의 규모에 따라 각각의 방법에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보다 정확히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예시설의 난방부하 산정방법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치와 규모가 다른 3개의 연동 플라스틱 온실에서 난방기간 동안 지온분포와 토양열류를 실측하였으며, 온실의 지중전열부하 산정방법을 검토하고 난방설계에 필요한 기준자료를 도출하였다. 난방중인 온실의 지온분포를 실측하여 실내기온과 비교한 결과 온실의 중앙 부분에서는 지온이 실내기온 보다 높고, 온실의 끝부분과 모서리 부분에서는 지온이 실내기온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온실의 중앙 부분에서는 지중열이 공급되고, 온실의 측면 부분에서는 외주부를 통해서 열손실이 발생하며, 온실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물의 외주부를 통한 열손실 개념을 도입하고, 온실의 규모를 반영하여 수정한 온실의 지중전열부하 산정방법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토양열류센서를 이용하여 실측한 지중전열량은 실내외 기온차에 비례하여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중전열량 분석 결과로부터 지중전열의 방향이 바뀌는 기준온도차를 도출하였으며, 국내 온실의 난방설계에서 대규모 온실은 $10^{\circ}C$ 내외, 소규모 온실은 $12.5{\sim}15^{\circ}C$를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중열류 실측 결과로부터 온실의 외주부 단위길이당 열손실계수를 도출하였으며, 대규모 온실은 $7.5{\sim}10W{\cdot}m^{-1}{\cdot}K^{-1}$, 소규모 온실은 $2.5{\sim}5.0W{\cdot}m^{-1}{\cdot}K^{-1}$를 설계기준 자료로 제안하였다.

기액동축 분류의 유동장 및 미립화특성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Flow-field and the Atomization Characteristics of Gas-liquid phase Coaxial Jet)

  • 전흥신;김형택
    • 에너지공학
    • /
    • 제4권3호
    • /
    • pp.394-401
    • /
    • 1995
  • 본 연구는 중심부에 액체, 외주부에 산화제가 흐르는 기액 동축분류의 유동장에 대한 것이다. 기액 동축 분사기는 연료의 분사량이 적은 소형 연소시스템을 고려하여, 실험은 연공비(W1/Wa)가 0.6 이하를 대상으로, 물과 공기를 사용하여 분사조건에 따른 분무특성과 기액 2상 분무류의 기본구조를 조사하여 액적의 확산, 기액혼합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반경방향 기상속도분포 및 액적유속분포는 분구직경 및 분사조건에 관계없이 정규분포에 가까운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각각 식 (2) 및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기상속도는 반치폭은 축방향에 따라 일정한 구배 (≒4.6)로서 증가하며, 기상만의 단상분류의 구배(≒6)에 비해서 완만하다. 액적유속 반치폭은 축방향에 따라 더욱 완만한 구배(≒3.1)로서 증가한다. 무차원 액적유속분포는 축방향에 따라 일정한 구배(n≒1.5)로서 감소한다. 액적의 확산은 상대적으로 기액유량비가 클수록 효과적으라고는 말할 수 없고, 최대 확산을 이루는 최적의 기액유량비가 존재한다.

  • PDF

건물 외피의 열특성과 외주부 깊이에 따른 PAL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L according to thermal characteristic of building skin and perimeter zone depth)

  • 김지혜;김환용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33-38
    • /
    • 2010
  • The perimeter zone is space which receives a significant effect of ambient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hermal performance in order to building energy saving. For this reason, a lot of study about the active approach is being performed, such as perimeter-less air conditioning system. But the performance of the perimeter zone is necessary to improve, through the passive approa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of energy-saving design of perimeter zone, based of the PAL that simulation changing the thickness of insulation and the rate of windows.

외기에 면한 초고층 아파트 천정 내부결로 예측 (Forecast on Internal Condensation at Ceiling of Super-high Apartment Building Faced with Open Air)

  • 안재봉;송영웅;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626-629
    • /
    • 2003
  • 본 연구는 외기에 면한 초고층 아파트 최상층부의 발코니 천장내부에 있는 H-Beam(내화피복+단열재로 구성)과 Parepet 부위 내부결로 발생가능성에 대한 예측을 해 봄으로써 해당공간 거주자의 쾌적한 환경 만족 및 불안을 해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외주부를 성하고 있는 Curtain wall, Stone panel 또는 슬래브 바닥하부 등의 열적 취약공간에 대해 2차원 정상상태(온도평형) 열전도해석 Program을 이용, 온도예측과 온도분포해적을 통해 해당부위의 습기압분포에 따른 내부결로 예측을 실시하였다.

  • PDF

병원 외주부 디자인에 따른 병실모듈 연구 (A Study on the Ward Module according to the External Design of the Hospital)

  • 이현진;박원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71-78
    • /
    • 2021
  • Purpose: It is important to plan the ward module at a time when the size of beds, the floor area, and the construction budget are all set prior to the hospital desig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1) to deriv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ward module, and (2) to analyze the appropriate room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Methods: Design factors related to hospital modules are derived through precedential studies, and the types of ward elevation are classified by reviewing the drawings of 18 case hospitals. And the detailed dimensions and area of the derived elements are analyzed. Results: The X-axis modules of the ward are switched to long span structural columns of 9.9 m, 12.6 m and 13.2 m, but the ward modules still represent 6.6 m. The Y-axis module of the ward shows a dimension of 9 to 9.9m in the process of changing a multi-person room into a four-person room. Type A of curtain wall with columns located on the wall of the room and type B of curtain wall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oom are analyzed due to their variations. The square window type, which forms the elevation of the square window by exposing the columns to the elevation, and the outframe type, which protrudes from the structural columns and beams, have elevation designs limited. There are, however, no obstacles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hospital room, so the wall composition and furniture arrangement are expected to be free. The ward area of Curtain Wall Type A, which can secure an effective area of 5.9m*5.0m, are 52.1m2. The Curtain Wall Type A, Square window type, and the outframe type are 49.8m2. Implications: As part of the hospital standard module plan for economical and reasonable hospital building planning, a type was proposed in this study in conjunction with the external design. It is hoped that it be a base for standard module research linked together to the Central Treatment department, Outpatient department and underground parking 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