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적 기호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Representation as a symbol of the rhythm of the movie (표현기호로서의 영화적 리듬에 관한 연구)

  • Wang, z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94-496
    • /
    • 2010
  • 영화의 리듬은 최종적으로 편집 테이블 위에서 이루어지며 편집 시에는 주요하게 형식상으로 리듬을 처리한다. 형식상 영화 리듬은 내적 리듬과 외적 리듬으로 분류하며 따라서 이 글에서는 주로 영화 내적 리듬과 외적 리듬을 분석하는 각도에서 영화 리듬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The heuristic function of mathematical signs in learning of mathematical concepts (수학 개념의 습득에 있어 기호의 발견법적 기능)

  • Cheong, Kye-Seop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2 no.3
    • /
    • pp.45-60
    • /
    • 2009
  • Mathematical thinking can be symbolized by the external signs, and these signs determine in reverse the form of mathematical thinking. Each symbol - a symbol in algebra, a symbol in analysis, and a diagram which verifies syllogism - reflects the diverse characteristic of cogitation in mathematics and perfirms a heuristic function.

  • PDF

A Survey on Menu and Plate Waste of Selected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in Daegu Area (대구 지역 한정식 업소의 메뉴 및 고객이 남긴 음식에 대한 조사)

  • 이인숙;최봉순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05a
    • /
    • pp.135-135
    • /
    • 2003
  • 우리의 고유 음식으로 채식과 육식이 조화를 이루고 영양적인 면도 우수한 식단인 한식은 외식산업에서도 점포 종목의 50%를 차지하며, 창업 인기종목이다. 그러나 반찬 수, 가격, 맛 또는 품질의 불균형 등 메뉴와 관련된 내적인 문제점은 과다 점포 경쟁, 소비자의 기호도 변화에 따르지 못함 등의 외적인 문제점과 함께 한식의 경쟁력 약화 요인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Study on Control of Suppling Amount of Nutrient Solution for Fruit Reduction of Higher Sugar Content of Tomato in Hydroponics (양액재배시 공급량 조절에 의한 고당도 토마토 생산에 관한 연구)

  • 김학헌;이환구;임엄량;우인식;이영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169-173
    • /
    • 1999
  • 90년대에 접어들면서 전국적으로 시설 토마토 재배면적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재배 기술의 향상은 미흡하여 일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토마토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가 다양화되면서 토마토의 선택 기준이 색택 이나 모양 등의 외적 품질에서 맛을 중시하는 내적 품질로 바뀌었다. 특히 당도가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The Kiho Academic and debate on the mind in the Late Joseon Korea - Focusing on the Situation of Kiho Academic and the Development of Debate (한말 기호학계와 심설논쟁 - 기호학계의 상황과 심설논쟁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

  • Yoo, JIwoong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9
    • /
    • pp.39-63
    • /
    • 2018
  • Kiho Academic in the late Joseon Korea, the negative effect of the Horak debate is amplified and the division within the academic is accelerated. However,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field put forth efforts to unify the academics with the same sense of responsibility to end the schism. Nevertheless,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have shown various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Neo-Confucianism, which creates new schools. Therefore, Kiho Academic in the late Joseon Korea coexisted with various schools with different academy positions. Some of the representative groups are Hwaseo, Nosa, Ganjae, Yeonjae, and Uuidang Schools. In addition, through the scholarly differentiation and the school division of the Kiho Academic, the debate on the mind that characterizes Neo-Confucianism of the late Joseon Korea has developed. However, there was a common value that everyone pursued in the middle of the debate: the construction of a moral ideal society, the ultimate goal of Neo-Confucianism. In conclusion, though the purpose they pursued was not fulfilled, it can be seen from the debate on the mind that they fiercely demanded that these requests were urgent in the late Joseon Korea This paper, therefore, the situation of the Kiho academic in the late of Joseon Korea,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and the issue and development of debate on the mind.

A Study for Structure of Meaning in Emotional Design (감성디자인의 의미전달 구조에 관한 연구)

  • Song, Man-Yong;Choi, K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91-94
    • /
    • 2007
  • 현대의 디자인에서 가장 주목할 특징은 Convergence, 즉 융합적 사고 전개이며 그 외적형식이 감성디자인이다. 즉 감성의 지표인 니즈를 통하여 디지인 기획단계에서부터 최종 소비까지 사용자의 감성을 고려한 총체적 메카니즘을 말한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은 감성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 감성은 직관적이지만 모호한 것이었다. 그러나 학제간의 연구성과에 힘입어 감성은 이성의 상반적 개념으로 지각, 쾌감과 감정을 외연으로 갖으면서 인간지성을 매개하는 심의의 능력인 것이다. 이때 감성은 니즈의 통계학적 분석에 의한 평균값이 아니라 기호해석의 구조적 강제성에 의하여 보편성을 획득하게 되어 실천적 행위로써 디자인 프로세스를 거쳐 다시 감성의 출발지인 소비자에로 이행하는 순환적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것인 감성디자인의 의미전달의 구조이다.

  • PDF

The Design of Economic Production Quantity Model Considering Customer Waiting Cost (고객의 대기비용을 고려한 경제적 생산량 모델 설계)

  • Choi, Sung-Hee;Yang, Kwang-Mo;Kang, Kyung-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9 no.3
    • /
    • pp.70-78
    • /
    • 2006
  • 제조업에서는 보다 합리적으로 생산량을 결정함으로써 고객에 대한 납기 준수는 물론, 기업 내부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합리적인 생산량의 결정은 기업 내적으로는 낭비를 제거하고, 생산 흐름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주며, 기업 외적으로는 공급사슬 전체의 자재흐름을 원활히 해주고 고객의 기호 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논문은 보다 높은 고객 만족도와 비용의 절감을 위해서 재고 유지비용과 생산준비비용만을 고려하는 기존의 생산량 결정 모형에 고객의 대기 비용을 추가한 다품목 경제적 생산량 모델을 제시하였다.

An Implementation of Android Content for Managing Social Meeting Information (안드로이드기반 소셜미팅콘텐츠의 구현)

  • Park, Ju-Yeon;Hwang, Jin-Hwa;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61-1563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의 이용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다양한 응용이 새로운 이슈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소셜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앱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주관적인 성향을 객관화시켜 사용자의 능동적인 방식을 요구하는 목적으로 콘텐츠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기획하여 제안하는 콘텐츠는 "윈어팩션 앱(Winaffection Application)" 이라고 부른다. 제안하는 콘텐츠는 외적인 면과 더불어 성향, 기호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이상형에 근접한 결과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개인적인 공간, 회원들 간의 공개적인 공간을 활용하여 맞춤이성을 찾는데 도움이 되도록 기획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성향과 취향에 맞는 이성을 만나 사회적 상호 관계성를 형성하는 초기에 발전적으로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Textuality and Reader′s Interpretation mentioned in The AD - especially on innisfree advertisement- (광고에 나타난 텍스트성과 수용자 해석에 관한 연구 - 이니스프리 광고를 중심으로 -)

  • 김민수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2
    • /
    • pp.189-19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understand decoding process of the Advertising - text to users a various aspects of semiotic approaches. Further more, through this study, show the sign- structures of the ad-tex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chosen about the AD of publication of constant period that explore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access the audience's meaning - structures. Through this analysis , grasp the point of internal and external linked struc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ㆍ The AD were applied using the transformational signifier of sign-system rather than the reflection of life's quality and products itself. Moreover to show itself meaning, the ad should do selection of transformation of thought than information-oriented. ㆍ The AD-text can be produced its productive efforts as well as decoding process of audience through various linked channel. Association, structured linking, audience's decoding, thematic structures are very important points in order to read the AD.

  • PDF

제과$\cdot$제빵 산업

  • 김한수
    • Food Industry
    • /
    • s.180
    • /
    • pp.10-26
    • /
    • 2004
  • 제과$\cdot$제빵분야는 대표적인 내수업종이고 보수적 업종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연간 성장률이 $30\~40\%$대의 고성장을 구가하던 과거의 좋은 시기도 있었다. 현재 우리가 처한 $\$1$만 소득에서 $\$2$만 소득으로 가는 길목에서 이 분야는 기호식품으로 완전히 변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저성장 내지 마이너스 성장도 올 수 있는 시대에 이미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 소비자의 기호를 적극적으로 반영치 못한 제품은 시장에서 생존이 어려운 시대를 이미 맞고 있고, 이러한 현상은 차후 더 심하고 세차게 진행되어 질 것이다. 엄밀히 말해 기존의 제품운영계획 그대로 진행하면 그런 기업은 퇴보하게 되어있다고 생각된다. 또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이제는 제과$\cdot$제빵 산업은 과감한 변신이 없다면 이미 사양산업화 되어지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과감한 변신은 무엇일까? 소비자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부응한 제품운영계획을 충실하게 세워 시행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1) 제품내용물에 좋은 기능성을 도입시키는 것이다. 소위 건강에 좋다는 각종 원료성분들을 사용한 제품을 개발하여서 생산, 판매하는 전략이다. (2) 제품의 포장의 질을 좋게 하고 고급화 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BT를 응용한 첨단 포장기술 도입실행이 필요하다. 소비자에게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고, 포장본래의 기능 제품보호가 완벽해야 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3) 외국 제품들과의 경쟁은 필수적이다. 가공식품 분야는 이제 거의 $100\%$ 시장이 개방된 상태를 맞고 있다. 외국의 고기능성 내지 고급화제품들과의 경쟁은 피할수 없는 현실을 맞고 있다. 외국시장의 정보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은 물론 더 나아가서 외국제품을 능가 할 경쟁력있는 제품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R&D 분야에 투자를 필연적으로 늘여야만 한다. 국내 식품사들의 Ramp;D 투자금액이 구미선진국이 1/10이하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이 오늘날 우리들의 실정이기 때문이다. 일본 등과 FTA 협정쳬결 논의가 국가적과제로 추진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이에 대한 우리업계의 대응전략을 지금부터 착수하여야 할 때라고 판단된다. 기본부터 철저히 우리의 장점을 살린 실질적 대응책 마련에 많은 지혜를 발휘할 때 우리 식품산업이 대내외적으로 경쟁력을 가질수 있다고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을 미루어 볼때에 고부가가치 제품을 창출 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안을 기업과 학계 그리고 정부가 종합적으로 강구하여야 할 때인 것이다. 필자는 이에 관한 몇 가지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