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상 후 스트레스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응급실 간호사와 응급구조사의 외상성 사건의 경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회복탄력성 (Experiences of traumatic events, knowledge and attitudes concern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silience among nurses and paramedic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 홍선우;방경숙;방활란;현혜진;이미영;정유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6-9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exposure to traumatic events, knowledge and attitudes concern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he level of resilience among nurses and paramedic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2 to June 12, 2022, using a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comprised 135 nurses and 80 paramedic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d an analysis of variance with Scheffé's test. Results: Compared with emergency room nurses, paramedics were more positive about the government's spending on job opportunities for people with PTS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regarding government strategies and people with PTSD between nurses and paramedics. Paramedics had higher scores on the effective treatment for PTSD, while emergency room nurses showed higher scores on effective psychotherapy. General knowledge of PTSD differed according to sex (t=-2.33, p=.021) and education level (F=3.21, p=.042). Resilience scor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t=2.02, p=.045), education level (F=4.10, p=.018), self-reported economic state (F=10.34, p<.001), and self-reported health (F=11.57,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that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nd paramedics are in need of self-care programs to support their mental health and indicate that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resilience in emergency department professionals.

외상성 뇌손상 후의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 김영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1호
    • /
    • pp.46-54
    • /
    • 2000
  • 외상성 뇌손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강박장애, 공포장애 등의 불안장애가 비교적 흔히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빈발하는 불안장애인데 비해 의사들로부터 적절하게 관심을 받지도 못했으며 치료받지도 못하였다. 외상성 뇌손상 후 불안장애는 뇌손상 자체에 의해, 뇌손상과 기능상실에 대한 환자 또는 간호인의 반응에 의해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지속되기도 한다. 의사는 이들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뇌손상의 기전과 양상에 대해 지식이 있어야 하며, 불안증상을 호소하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이해하고 수용하고 지지해주는 태도를 취해야 하며, 불안증상이 뇌손상에 의한 것인지 통상적인 불안 증상인지 확인해야 한다. 이들 뇌손상 환자들은 약물의 부작용에 아주 취약하기 때문에 약물치료시에는 약물의 작용기전은 말할 것도 없고 부작용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 PDF

닭고기 비품(외상계)에 대한 대책

  • 정용운
    • 월간 닭고기
    • /
    • 통권138호
    • /
    • pp.122-127
    • /
    • 2006
  • 도계장에서는 항상 비품이 발생한다. 골절, 피부병변, 착색이상 등 여러 가지 상태의 계육이 비품으로 분류되어 큰피해를 입고 있다. 가까운 예로 미국의 경우 이에 대한 피해액이 연간 5천만 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문제 때문에 육계 담당 부서에서는 항상 비품에 대해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이 정말 스트레스가 되는 원인은 사육 중에 발견되기보다는 도계 후에 발견되며, 이에 따라상품가치가 현저히 감소하고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일 것이다. 대부분의 회사들이 이 문제를 접하게 되면, 주로 곰팡이 독소 흡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일한 대책인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경우엔 약품에 대한 효과는 잘 모르겠지만, 필자의 느낌으로는 일정한 시간이 흘러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과정을 걷는 듯 하며, 관련 부서에서는 이 약제의 효과에 대해 판단하기보다는 일단 직면한 문제가 해결되었 다고 결과론적으로 만족하는 듯 하다. 필자는 이 지면을 통해 그 동안의 관점과는 다른 측면에서 이런 문제의 원인과 그 대책에 대해 간략히 논하고자한다. 도계장에서는 항상 여러 가지 비품들이 발생한다. 이 모든 것들을 논하기에는 너무 범위가 넓기 때문에 여기서는 독자들의 이해를 위해 비품들 중에서 등 부위의 상처와 복부의 상처(배꼽 닭)에 대해 국한하도록 하겠다. 아마도 이 부분외의 다른 비품들은 대부분 그 원인을 쉽게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독자들에게 질문하고 싶은 것이 있다. 이러한 비품들의 직접적인 원인은 무엇인가? 앞서 얘기한 것과 같이 각 회사들의 대책으로 이용되는 곰팡이 독소 흡착제를 보면, 곰팡이 독소가 가장 직접적인 원인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직접적인 원인은 외상이다. 즉, 외부의 물리적인 작용에 의한 상처인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외상이며, 이 외에 깃털발육 이상(혹은 저하), 바닥상태 불량 등과 같은 사양관리 이상과 면역 억제성 질환 및 지혈능력의 저하 등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인한 문제들을 더욱 악화시키는 간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

  • PDF

단순 및 복합외상 유형 집단의 자기-와 타인-개념의 차이: 자극 제시시간에 따른 정보처리 편향을 중심으로 (Differences in Self- and Other-concept in the Single and Complex Trauma Type Groups)

  • 김예슬;이종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33-24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외상 유형(단순 외상과 복합 외상)에 따라 PTSD 증상의 심각도와 자기 및 타인개념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166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 중 단순 외상(n=31)과 복합 외상(n=30)으로 분류된 참여자들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포함하였다. 참여자들은 생활사건 체크리스트(LEC), 개정된 사건 충격 척도(IES-R)와 E-prime으로 제작된 정서 스트룹 과제를 수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 외상 집단보다 복합 외상 집단에서 더 높은 수준의 PTSD 증상이 나타났다. 둘째, 스트룹 과제에서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반영하는 단어를 2초 제시한 조건에서 복합 외상 집단이 단순 외상 집단보다 반응시간이 더 길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 외상 집단과 단순 외상 집단이 적어도 PTSD 증상 및 자기개념에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 위기 소방관에 대한 단기간 음악치료의 효과 (Effects of Short-Term Music Therapy in Fire Fighters with Post-Traumatic Stress Risk)

  • 심규식;김남송;방성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040-4047
    • /
    • 2015
  •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발생 가능성이 높은 소방관에게 단기간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해 외상 후 스트레스(post-traumatic stress; PTS) 수준의 변화와 음악치료 효과의 지속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3개 지역의 소방관 42명을 실험군(21명)과 대조군(21명)으로 임의배정 하고 5일간 1일 2회기(120분)씩 총 10회기의 음악치료를 적용하였다. PTS 수준은 음악치료 종료 직후, 4주 후, 12주 후에 변화를 측정 하였다. 연구결과 음악치료 전 PTS 수준은 $26.52{\pm}2.32$점 이었으나 음악치료 직후 $8.90{\pm}4.55$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사후 PTS 수준은 4주 후 $11.95{\pm}4.57$점, 12주 후 $13.76{\pm}5.62$점으로 4주 및 12주 후까지 효과가 유의하게 지속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는 PTSD 고위험군인 소방관에게 PTS 수준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접근 방법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소방관의 정신건강 관리를 위해 음악치료가 정규적인 프로그램으로 적용된다면 현장 업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일개 지역사회 재해 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정도와 관련요인 분석 (A Field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 Community after Typhoon Rusa)

  • 이인숙;하양숙;김기정;김정희;권용희;박진경;이나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29-838
    • /
    • 2003
  • Purpose: In South Korea, as growing the need of psychological support in disaster situ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on stress after disaster is important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coping, and to plan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Method: The volunteers of Korea Redcross who live around K city, and the research team visited all homes at Jirye town, one of the high-impact area, 4 month after the typhoon. One of the family members who is over 18 years old, answer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osed of disaster experience, damage, exposure to traumatic event, and posttraumatic stress with IES-K (Impact of Event Scale-korea) He also, described his family members symptom related to re-experiencing, hyper-arousal, and avoidance. Six hundreds households were surveyed. Result: The prevalence of moderate to severe PTSD symptom was 36% of the subjects. The severity of PTSD was affected by gender, economic status and affected by damaged property, physical injury, worsening existing disease, getting infectious disease, amount of experienced traumatic event before disaster, warning, taking shelter, and subjects revealed differences in somatization as severity of PTS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community members had re-experiencing, hyper-arousal and avoidance. Conclusion: At a rural area, South Korea, community members have suffered from psychological distress after disaster. So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re required as affecting factors and also to plan for warning and shelter in disaster situation is needed for preventing PTSD.

간호사의 직장폭력 경험에 따른 분노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on Anger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urses)

  • 이혜련;문현숙;신미경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0-24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on anger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urse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a random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questionnaire with 477 nur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and logistics regression. Results: The incidences of total violence, verbal,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were 31.2%, 28.7%, 6.3%, 3.6% of the nurses, respectively. Ange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erbal violence (OR: 2.34, CI: 1.40~3.91) and physical violence (OR:4.85 CI: 1.67~14.13).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erbal violence (OR: 15.99, CI: 9.58~26.69) and physical violence (OR: 5.37, CI: 1.66~17.40). Conclusion: To promote psychological health in nurses,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evention programs to decrease workplace violence and to develop programs supporting psychological aspects of verbal violence that nurses experience.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서 해마용적과 기억기능 (Hippocampal Volume and Mem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정문용;정화용;유현;정혜경;최진희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1호
    • /
    • pp.131-139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TSD on memory function and hippocampal volume, and to identify major variables correlated to hippocampal volume and memory function. Thirty four Vietnam veterans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among whom eighteen were PTSD patients and sixteen were combat control subjects. The author used Impact of Event Scale(IES), Combat Exposure Scale(CES),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DR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Korea Memory Assessment Scale(K-MAS) was assessed for memory func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was used to measure hippocampal volu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TSD and Non-PTSD veterans in IES, HDRS and BDI.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verbal memory and total memory of K-MAS between PTSD and Non-PTSD vetera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pocampal volume between PTSD and Non-PTSD veterans. Short term memory, verbal memory and total memory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hippocampal volume. Hippocampal volume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IES, HDRS, and BDI. These results suggest that PTSD severity be associated with hippocampal atrophy and memory dysfunction. Reduced or smaller hippocampal volume may be preexisting risk factor for stress exposure or the development of PTSD on combat exposure.

  • PDF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신경인지기능 (Neurocognitive Function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김선국;이강준;이승환;남민;정영조
    • 생물정신의학
    • /
    • 제10권2호
    • /
    • pp.147-158
    • /
    • 2003
  • Objective:The differences of various neurocognitive functions, including attention, memory, motor function, and higher cognitive function were compared between PTSD patients and normal control subjects. Also, correlation with PTSD symptom severity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were evaluated between PTSD patients and normal control subjects. Method:We assessed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by computerized neurocognitive test(CNT) batteries. The visual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and digit span test, finger tapping test and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were executed.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 was used in the evaluation of the severity of PTSD. Result:The PTS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impaired neurocognitive performance in all of the item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subjects. The relation between impairment in neurocognitive functions and symptom severit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Conclusion:These results imply that PTSD patients have impaired neurocognitive functions concerning with specific brain areas, especially the frontal area. For the thorough evaluation of further neurocognitive functions, more detailed evaluation items of neurocognitive functions and brain imaging studie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