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부 기술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51초

외부 기술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기업의 고용 증대에 미치는 영향: 수출 증대의 매개 효과 (The Impact of the External Technology R&D Collaboration Network Heterogeneity on the Employment Increase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e Mediating Effect of Export Growth)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81-187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 증대와 고용 증대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흐름의 깊이를 심화시키기 위해 외부 기술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기업의 수출 증대와 고용 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모형화 하였으며, 대한민국의 2,200개의 중소기업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 검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2개의 연구 결과를 조명한다. 첫째,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은 기술 개발로 인한 고용 증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소기업의 기술 개발로 인한 수출 증대는 기술 개발로 인한 고용 증대가 외부 기술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에 의해 받는 양(+)의 영향을 부분 매개한다.

외부 연구개발 네트워크가 중소 벤처기업의 수입 대체에 미치는 영향: 기업부설 연구소의 조절 효과 (The Effect of the Exterior R&D Network on the Import Substitution of Small and Medium Venture Firms: The Moderating Impact of Corporate R&D Center)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199-207
    • /
    • 2017
  • 기술 진보 및 융합과 함께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사업 환경은 기업의 성공에 있어서 연구개발(R&D)의 역할을 더욱 더 중요하게 하고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 수준의 683개 중소 벤처기업 데이터를 대상으로 최소 자승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4가지 주요 사항을 새롭게 조명한다. 첫째, 중소 벤처기업의 외부 R&D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은 기술 개발로 인한 수입 대체에 정(+)의 영향을 준다. 둘째, 기업 부설 연구소의 존재는 중소 벤처기업의 외부 R&D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기술 개발로 인한 수입 대체에 주는 양(+)의 영향을 조절한다. 셋째, 중소 벤처기업의 외부 R&D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은 기술 개발로 인한 수입 대체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기업 부설 연구소의 존재는 중소 벤처기업의 외부 R&D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기술 개발로 인한 수입 대체에 주는 양(+)의 영향을 조절한다.

외부 네트워크와 기업성과 : 미국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ocial Network Activity and Firm Performance in the U.S Biotechnology Industry)

  • 노영진;김진웅;이상규
    • 기술혁신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0
    • /
    • 2010
  • 본 연구는 바이오기업의 외부 네트워크 전략을 공동연구 협력, 제조/마케팅/판매 제휴, 자금지원, M&A 등 4가지로 구분하고, 이와 같은 바이오기업의 외부네트워크 전략이 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 바이오기업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첫째, 기술개발 이후의 제조/판매/마케팅 제휴는 단기간에도 모든 기업성과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둘째, 기술개발단계에서의 연구개발협력 중 제약회사와의 협력은1~2년 이후의 기업성과에, 그리고 타 바이오기업과의 연구개발협력은 2년 이후의 기업성과에 정의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가장 장기적이며 기초연구에 주목적을 두고 있는 공공기관 및 대학과의 공동연구 협력은 단기적인 기업성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향후 2~3년이 아닌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조명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외부 네트워크전략을 통하여 기술혁신을 경주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주로 기초기술에 집중된 공공기관과 대학과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경북대학교 이동네트워크 정보보호기술 연구센터

  • 문상재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2-86
    • /
    • 2009
  • 경북대학교 이동네트워크 정보보호기술 연구센터(Mobile Network Security Research Center, MSRC)는 2000년 8월 네트워크 분야의 IT 연구센터(지식경제부지정 ITRC)로 선정되어 2008년 12월까지 8년 4개월간의 연구센터로서의 연구, 개발, 인력양성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경북대학교 문상재 교수를 중심으로 POSTECH, 부경대학교, 호서대학교, 동서대학교, 경남대학교 등 6개 대학 연간 11여명의 교수진과 57여명의 대학원생들은 물론, 국내외 정보보호 분야의 외부 전문가와 관련 산업체들의 활발한 협력 연구 활동으로 논문, 특허, 산학협력, 표준화 등의 부분에서 우수한 연구 실적들을 도출하며, 지식경제부의 IT 대학 육성 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였다.

대구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개별 협력 활동의 영향 분석: 기술역량의 조절효과 (Analysis for Impact of Individual Cooperation Activity o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novation Performance in Daegu :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Capability)

  • 강석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04-413
    • /
    • 2021
  • 중소기업은 기술력과 다양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외부기업이나 기관 등과의 기술개발 관련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데, 자원기반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의 협력 네트워크 형성은 해당기업이 보유한 또 하나의 자원으로 인식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논문은 대구지역에 위치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개별 협력 유형이 혁신활동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역량이 개별 협력 유형과 혁신성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개별 협력 활동 중에서 공동연구개발만이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역량이 우수할수록 개별 협력 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은 제약된 자원에서 야기되는 성장의 걸림돌을 극복하기 위해서 공동의 연구개발과 같이 하나의 자원을 형성하여 외부기업 및 기타 조직과 협력을 해야 한다는 것과 내부적으로 기술역량을 함양하여 개별 협력 활동의 영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활동 특성과 외부 협력 네트워크 분석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Open Innovation Activity and the External Collaboration Network in SMEs)

  • 이희연;이세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7-165
    • /
    • 2012
  • 이 논문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기술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있는 개방형 혁신활동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중소기업들이 기술혁신 과정에서 어떻게 외부와의 협력 네트워크가 구축되며, 실제로 어떤 단계에서 개방형 혁신활동이 이루어지는 가를 분석하였다.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개발을 경험한 3,4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개방형 혁신활동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기술혁신과정의 어떤 단계에서 어떻게 개방형 혁신활동이 이루어지는 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충북테크노파크에 입지한 14개 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심층 인터뷰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 자체의 혁신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아이디어 단계 및 기술개발 단계에서 개방형 혁신활동을 통해 외부로부터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며, 기업이 혁신적일수록 개방형 혁신활동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고, 이직이나 창업과 같은 노동시장의 유연성도 나타나고 있다.

  • PDF

개방형 혁신의 관점에서 외부 지식네트워크가 중소기업의 신기술 개발 역량 및 기술 사업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xternal knowledge network on SMEs' new technology development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in the perspective of open innovation)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49-156
    • /
    • 2016
  • 다양한 분야 간 기술 융복합화와 함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오늘날의 사업 환경에서, 신기술 개발 및 기술 사업화 역량은 중소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중소기업으로부터 수집된 2,000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개방형 혁신의 관점을 기반으로 개발된 연구 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협력 네트워크와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기업의 기술 사업화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정(+)의 영향은 중소기업의 신기술 개발 역량에 의하여 완전 매개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특히 기업가정신을 추구하는 중소기업의 경영자들의 관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IT중소기업의 R&D시스템 효과성에 관한 실증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R&D Effectiveness of IT SMEs)

  • 신진교;황수정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4호
    • /
    • pp.109-129
    • /
    • 2009
  • 본 연구는 R&D시스템의 효율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R&D투입(R&D투자, R&D인적자원관리), 과정(R&D계획, 외부네트워크 및 내부협력) 및 산출(기술혁신)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대구경북지역 154개 IT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자료의 분석결과 IT중소기업의 R&D 인적자원관리는 R&D계획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R&D계획은 외부네트워크, 내부협력, 그리고 기술혁신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협력 역시 기술혁신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R&D투자가 R&D계획에 미치는 영향과 외부네트워크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IT 중소기업들에 있어서 R&D 인적자원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내부적인 협력이 타부서의 특유의 자원에 접근하게 하고, 새로운 자원을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공유하게 함으로써 R&D 투입을 기술혁신에 효과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T 중소기업의 경우 R&D 투자는 R&D 계획에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니며, 외부네트워크도 내부협력에 비해 혁신과정에서 덜 중요함을 암시하고 있다. 그 이유는 IT 중소기업의 경우 R&D 활동이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혁신성공에 있어서 외부요인보다는 내부요인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기업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혁신활동과 기업성과간 영향요인 분석 : ICT분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Efforts Based on the Company's Environment and Company Performance: Focus on Small and Medium ICT Companies)

  • 김은정;박호영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89-10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내 외부 환경, 혁신활동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요인이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요인을 기반으로 군집분석을 시도하였더니 총 4개의 군집(n=1,022)이 형성되었다. 군집 4개의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기술 경쟁 환경에 민감하며, 혁신적인 성향을 가진 군집1은 자체기술개발만이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환경에 민감하며, 내향적인 성향을 가진 군집2는 자체기술개발과 공동연구를 통해서만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적인 환경에 민감하며, 혁신적이고 정부/관련기관과의 협력적 성향을 가진 군집3은 공동연구 그리고 매개변수인 정부지원프로그램 활용을 통해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도입은 기업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적이고 외부협력적 성향이 강한 군집4는 자체기술개발과 매개변수인 네트워크 활용 및 정부지원프로그램 활용이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가과학기술혁신 민.관협력 메카니즘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연구: 4개국 사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nents &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Private Partnership Mechanism on Science &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 박용성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4-218
    • /
    • 2008
  • 본 연구는 다양하고 동태적인 과학기술 환경에 부합할 수 있는 과학기술혁신 민-관 협력 메카니즘의 구성요소를 협력사업의 추진목적, 추진주체, 대상사업측면에서 파악하여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민관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네덜란드, 호주, 오스트리아 및 프랑스 6개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민-관 협력 메카니즘의 구성요소와 민-관간 역할분담관계를 살펴보고 과학기술혁신부문 민-관 협력 메카니즘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비교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6개 프로그램의 공통점은 민-관 협력 메카니즘이 국가기술혁신체제 내 혁신주체 간 연계성을 강화시키는 작동기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참여주체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적 관계(interactive relationship)를 유지하며 참여주체간 목표(common objectives)를 공유하는 수준이 높고 경제적 측면보다 과학기술활동 주체들 간의 연계 및 네트워크 구축의 외부성(externality)을 중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개발자금의 최적 배분 및 재원조달방식을 통하여 과학기술혁신 주체간 위험과 편익의 공유를 통해 새로운 협력연구수행 인센티브를 균형적으로 조정하고 있으며, 민관 R&D간 상호보충성 제고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모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