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네트워크와 기업성과 : 미국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ocial Network Activity and Firm Performance in the U.S Biotechnology Industry

  • 투고 : 2009.11.18
  • 심사 : 2010.06.23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는 바이오기업의 외부 네트워크 전략을 공동연구 협력, 제조/마케팅/판매 제휴, 자금지원, M&A 등 4가지로 구분하고, 이와 같은 바이오기업의 외부네트워크 전략이 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 바이오기업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첫째, 기술개발 이후의 제조/판매/마케팅 제휴는 단기간에도 모든 기업성과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둘째, 기술개발단계에서의 연구개발협력 중 제약회사와의 협력은1~2년 이후의 기업성과에, 그리고 타 바이오기업과의 연구개발협력은 2년 이후의 기업성과에 정의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가장 장기적이며 기초연구에 주목적을 두고 있는 공공기관 및 대학과의 공동연구 협력은 단기적인 기업성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향후 2~3년이 아닌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조명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외부 네트워크전략을 통하여 기술혁신을 경주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주로 기초기술에 집중된 공공기관과 대학과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Firm’s social network has been known as an important firm strategy because it could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also minimize economic uncertainty. In this study, we identify four types of firm’s social network activities such as Collaboration, Manufacturing/Marketing/Distribution Agreements, Financing, and M&A, and analyze how these activities affect firm performance using U.S biotechnology firm data. We found that Manufacturing/Marketing/Distribution Agreements increased firm performance in short-run. Also, collaboration with pharmaceutical and biotechnology firms had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too. However, collaboration with public institutes or univers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in short run, which implies its collaboration would be mainly focused on research in pure science area. These empirical results provide two policy implications. First, social network strategy should be encouraged in the Korean biotechnology industry. Secondly, governments should consider developing polices that support collaboration of biotechnology with public institutes or universities, to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