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부전극 형광램프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냉음극 및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Cold Cathode an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 조미령;신상욱;이세현;황명근;김영욱;이대흥;이주영;송혁수;길도현;조광섭;김명문;양순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289-292
    • /
    • 2004
  • 전극 양단에 캐패시터를 포함한 냉음극 형광램프와 외관전극의 용량성 결합으로 동작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동일한 전류-전압 특성을 갖는다. 냉음극 형광램프 양단에 부착하는 캐패시터의 크기는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전극의 길이와 등가적으로 대응되며, 캐패시터가 클수록 그리고 외관 전극의 길이가 길수록 저 전압에서 고 휘도를 얻는다.

  • PDF

냉음극 및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방전 특성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Cold Cathode an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 조광섭;이대흥;이주영;송혁수;길도현;구제환;최은하;김상범;김봉수;강준길;조미령;황명근;김영욱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7
    • /
    • 2005
  • 전극 양단에 안정 콘덴서(Ballast Contenser)를 부착한 냉음극 형광램프와 외관전극의 용량성 결합으로 동작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전류-전압 방전특성을 조사하였다.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의 특성은 전압의 증가로 암전류 영역과 타운젠트 점화방전을 거처서 음극 강하를 통한 전형적인 글로우 방전을 보여준다. 안정 콘덴서에 인가되는 전압을 포함한 전류-전압은 안정 콘덴서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냉음극 강하가 나타나지 않고, 글로우 방전 영역에서 전압의 증가에 따라서 전류가 증가한다. 외부전극 자체가 캐패시터인 외부전극 형광램프에서의 전류-전압은 안정 콘덴서를 포함한 냉음극 형광램프와 동일한 특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동작 전압에서 글로우 방전의 특성을 갖으며, 외부전극 자체가 안정 콘덴서의 기능을 한다.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발광 및 플라즈마 특성 (Light Emission and Plasma Property i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 안상현;이민규;정종문;김정현;유동근;구제환;강준길;홍병희;최은하;조광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2-180
    • /
    • 2007
  •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에서 빛의 방출 전파 신호의 관측법에 의하여 플라즈마의 전자 온도와 밀도를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한다. 직경 4.0 mm이고 램프 길이 860 mm인 37인치 LCD-TV용 외부전극 형광램프에 대하여, 전압 인가 방식에 따른 두 가지의 구동법에 의한 발광 형태와 플라즈마의 특성을 조사한다. 램프 양단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방식에서, 빛은 고전압이 인가된 램프 양 끝에서 중앙으로 빛의 방출이 전파되며, 램프 길이 전체에 대하여 휘도가 균일하다. 램프 한쪽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다른 한쪽은 접지한 구동에서, 빛의 방출은 고전압이 인가된 전극에서 접지된 전극 방향으로 전파되며, 고전압 쪽의 휘도가 높고 접지 쪽의 휘도가 낮아 램프 길이 방향으로 휘도가 불균일하다. 이러한 발광 전파 신호로부터 전자의 표류 속도를 계산하여, 전자의 온도와 밀도를 얻는다.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사용 휘도의 영역인 $10,000{\sim}15,000cd/m^2$에 대하여, 전자 온도 $(kT_e)$$1.3{\sim}2.7eV$, 플라즈마의 밀도 $(n_e)$$(1.6{\sim}3.6){\times}10^{16}m^{-3}$를 얻었다.

LCD 백라이트용 형광램프에서의 광 방출 광의 전파

  • 임유리;한국희;정종윤;임현교;조윤희;김현철;유동근;조광섭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17-417
    • /
    • 2010
  • 작은 직경의 외부 전극 형광램프와 냉음극 형광램프는 LCD-TV의 광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교류 전압으로 구동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와 교류 및 직류 전압으로 구동되는 냉음극 형광램프에서 광 방출 신호를 관측하였다. 이러한 빛은 양광주의 고전압부에서 접지부로 $10^5-10^6\;m/s$의 속도로 전파한다. 램프에서 방출된 광이 양광주를 따라 전파하는 현상은 일반 형광등과 네온싸인관에서도 동일하게 관측된다. 이러한 빛의 전파 현상은 지난 70년의 형광 램프 역사상 처음 관측되었다. 양광주 영역의 플라즈마는 높은 전압과 수 십 kHz가 인가되는 전극부에서 발생한 고밀도 플라즈마의 확산으로 생성된다. 고전압이 인가된 전극부에서 발생한 고밀도의 플라즈마는 인가되어지는 구동 주파수에 해당하는 섭동으로 작용하여 플라즈마 파동으로 양광주 영역으로 전파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파동은 고밀도 전극부에서 저밀도 양광주 영역으로 플라즈마 밀도의 차이에 의하여 된다. 이때 파동의 전파 속도는 관 전류에 따라 달라진다. 타운젠트 방전 이전의 저 전류일 때는 ${\sim}10^5\;m/s$이며, 타운젠트 방전 이후 글로우 방전에서의 전파 속도는 ${\sim}10^6\;m/s$로 증가한다. 또한 타운젠트 방전 이전의 저 전류에서는 파동이 감쇠하는 경향을 보이며, 고 전류에서의 파동의 감쇠는 매우 작다. 관측된 광신호의 결과로부터 전파되는 파동의 원인은 플라즈마 확산에 의한 밀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즉, 수 십 kHz의 구동 주파수를 갖는 플라즈마 파동이 양광주의 플라즈마 밀도 구배에 의하여 전파된다. 이러한 파동은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부에서 낮은 전압부로 향하는 조류의 흐름과 같이 나타난다.

  • PDF

유리관의 유전 특성이 외부전극 형광램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lass Dielectric Property o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 신명주;정종문;김정현;김가을;이미란;유동근;구제환;홍병희;최은하;조광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30-337
    • /
    • 2007
  • 유전 장벽 방전이 특징인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에서 유리재의 유전 특성인 유전상수 K와 유전손실 tan ${\delta}$가 램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4 종류의 유리관을 사용하였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Borosilicate 유리재는 유전상수 $K=5.6{\sim}5.9$이고 유전 손실 tan ${\delta}=5.0{\times}10^{-3}{\sim}6.0{\times}10^{-3}$이다. Aluminosilicatae는 K=6.6이고 유전손실이 작은 tan ${\delta}=1{\times}10^{-4}$이다. Soda-lime 유리관은 유전상수가 큰 K=7.7이고, 유전 손실이 매우 큰 tan ${\delta}=1.37{\times}10^{-2}$이다. 유전 상수 K가 크면 외부전극 자체의 캐패시터를 크게 하여 방전 효율이 증가한다. 그러나 유전 손실이 크면 외부전극 자체의 전력 소모로 인하여 효율 저하와 핀홀 발생의 원인이 된다. 높은 유전상수 및 낮은 유전손실의 Aluminosilicate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종래의 Borosilicate 외부전극 형광램프에 비하여 휘도와 효율이 $12{\sim}20%$ 증가하고, 핀홀에 매우 강하다. 유전상수와 유전손실이 큰 Soda-lime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효율이 다소 낮고, 핀홀에도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유전상수 K가 크고 유전손실 tan ${\delta}$가 작은 유리관이 최적이다.

외부전극 헝광램프의 핀홀 현상 (Pinhole Phenomena i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 길도현;김상범;송혁수;유동근;이상훈;박민순;강준길;조광섭;조미령;황명근;김영욱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6-272
    • /
    • 2006
  •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구동에서 과도한 전력을 인가하면, 외부전극 부분의 유리관 표면에 작은 원형의 구멍(핀홀)이 발생하여 램프가 파손된다. 핀홀은 외부전극과 유리관을 유전층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절연파괴이며, 이러한 절연파괴력은 인가되는 전력에 비례한다. 유전상수가 K인 램프에 흐르는 전류가 작을 때, 핀홀이 발생하는 유리관의 절연파괴 전기장의 세기는 약 3K kV/mm,이다. 이러한 절연파괴 전기장의 세기는 램프에 흐르는 전류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절연 파괴에 의한 핀홀(Pinhole) 현상 (Pinhole Phenomena of Dielectric Breakdown i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 이주영;김상범;송혁수;길도현;이대흥;구제환;조광섭;조미령;황명근;김영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29-32
    • /
    • 2004
  •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구동에서 과도한 전력을 인가하면, 치부전극 부분의 유리관 표면에 작은 원형의 구멍이 발생하여 램프가 파손된다. 이를 핀홀이라고 지칭한다. 핀홀은 치부전극과 유리관을 유전층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절연파괴로 분석된다. 치부전극에 정상 동작이상의 고 전압을 인가하면, 고 전류에 의하여 전극부분에 상당한 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전극부분에 발생하는 열과 고 전압에 의한 유리층 자제의 강한 전기장에 의하여 절연이 파괴되면서 핀홀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유리판을 절연층으로 하여 유리판 양면에 전극을 형성하여 고 전압에 의한 절연 파괴 실험과 동일한 현상으로 이해된다.

  • PDF

외부전극 형광램프 백라이트의 구형파 구동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Backlight Driven by Square Pulses)

  • 김영미;권남옥;김성중;조광섭;김봉수;천장호;강준길;이응원;양순철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6-50
    • /
    • 2003
  • 외부전극 형광램프 12개를 평면에 배치하여 제작한 대각길이 17인치 직하형 백라이트의 구형파 구동에 의한 휘도와 효율 특성을 조사하였다. 구동 전압 1-2 kV와 주파수 40-80 kHz에 대하여 백라이트 패널의 휘도가 5,000-10,000 cd/$\textrm m^2$ 일 때 효율 65-70 1m/W를 얻었다. 구동 주파수가 클수록, 고휘도를 얻고 구동 전압이 낮아진다. 구동 주파수가 80 k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백라이트의 휘도가 불안정하고, 면전체 휘도의 균일성을 얻지 못한다.

외부전극 형광램프 구동용 인버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manufacture of Inverter for Driving Electrode Fluorescent Lamp)

  • 윤동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76-8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LCD 백라이트용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를 설계하였다. 시스템을 AC 입력으로부터 램프를 구동하는 인버터까지의 과정을 2단 시스템으로 구성하면 기존의 시스템 보다 전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나 무게의 감소, 나아가 저가격화에도 유리하다. EEFL를 구동하기 위해서 AC입력 전원을 안정적이고 역률을 높이며 AC 85V~265V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PFC Block과 EEFL를 구동하기 위한 Inverter Block으로 구성하였다.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LCD TV)의 백라이트 광원 개발 동향

  • 박해일;이상유;석준형
    •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
    • 제5권5호
    • /
    • pp.13-18
    • /
    • 2004
  •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대형화 및 저가격화와 더불어 전체 소비전력의 90% 이상, 모듈(module) 원가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백라이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기존의 냉음극 형광램프(CCFL)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 및 특성 향상 기술로서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면광원(Flat Fluorescent Lamp), 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전계 방출램프(Field Emission Lamp) 등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다양한 기술의 경쟁을 통하여 보다 고품질 및 저원가 백라이트의 개발이 가능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쟁력을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