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국어고등학생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of High School Students - Comparison of a General Public High School and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연구 - 일반 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 학생의 비교 -)

  • Park, Yae-Seul;Park, Hye-Soo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2 no.1
    • /
    • pp.115-129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of high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students of a general public school and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The researchers were interested in how the two groups, middle or middle lower achievers and high achievers, showed their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where their attitudes were derived from. For the investigation, the researchers surveyed 121 students of general public high school and 64 students of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Reliability, mean difference with t-test and frequency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students from both group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However, the causes of the attitud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implies that we need to reform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curricula of mathematics cources.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Chemistry Classroom in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외국어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im, Jeeyoung;Kim, Hak Bum;Cha, J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4 no.3
    • /
    • pp.189-195
    • /
    • 2020
  • In the study, the effect of flipped classroom approach applied to chemistry I class in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was explored. Flipped classroom was applied to 176 grade 10 students (43 boys and 133 girls) from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for one semester and its instructional effects were studied in terms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Before the class, students were provided with guiding worksheets and asked to summarize contents. Within the class, various student-centered activities were adopted. After the flipped classroom for one semester, mid-term and final-term exam scores were analyzed, and students' attitude toward chemistry class and flipped classroom were surveyed. Analysis on the exam scores showed the possibility for positive impact on students' achievement and perceptions on chemistry class including flipped classroom approach. Moreover, some students mentioned flipped classroom was helpfu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meta-cognition.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rain Activity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Intelligence Task (과학고학생과 외국어고학생의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 분석)

  • Cho, Sun-Hee;Choi, Yu-Yong;Lee, Kun-Ho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2 no.2
    • /
    • pp.317-332
    • /
    • 2012
  • We investigated brain activity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lligence task by a science high school student group (n=8) and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 group (n=5). Both groups scored in the top 1% on intelligence tests (science high school group: RAPM mean score=34.0, WAIS mean IQ=139.6;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oup: RAPM mean score=33.8, WAIS mean IQ=147.2). Analysis of brain activity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lligence task showed that both groups had brain activity in certain areas,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prefrontal cortex, parietal cortex, and anterior cingulate. The science high school group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right parietal cortex, which is related to visuo-spatial working memory, whereas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oup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left prefrontal cortex, which is related to verbal working memory.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oup showed higher brain activity than the science high school group in the left precentral gyrus which is related to the motion of the tongue and lip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cience high school group utilized the visuo-spatial area, whereas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oup utilized the verbal area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lligence task. This suggests that the major thinking process differs depending on the gifted students' primary field of study, although they are doing the same task.

A Descriptive Study of Korean-Japanese High School Students' Financial Literacy (재일본 한국 고등학생의 금융이해력 분석)

  • Hahn, Kyung Dong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6 no.1
    • /
    • pp.75-98
    • /
    • 2012
  • This study seeks to address concerns, such as measurement and analysis in financial literacy, and also offers comparative evidence of financial literacy among Korean-Japanese, Japanese and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 robust measure of financial literacy amongst young people will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indicate whether the current approach to financial education is effective. Comparativ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a Korean school in Tokyo was lower than that in Japan, Korea, and U.S. Second, in income, saving & investing, spending & credit areas, Japanese students were more literate financially than those in the U.S., Korea, and a Korean school in Tokyo. And, in money management area, Korean students had higher score than those in the U.S., lower than those in Japan. Third, while the financial literacy in academic preparation was the highest area, that in household management was the lowest among other areas for all studies in Japan, Korea, U.S., and a Korean school in Tokyo.

Profiles of Overexcitabilities for Korean High School Gifted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Domain of Study (한국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성별과 전공에 따른 과민흥분성에 대한 프로파일)

  • Moon, Jeong-Hwa;Montgomery, Dian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5 no.1
    • /
    • pp.1-10
    • /
    • 2005
  • Overexcitaility (OE) as a concept that is related to developmental potential, has been shown to differ by intelligence, gender, involvement in school programs and artistic interest in American populations of students. Overexitability, used to describe the five ways that people might experience developmental potential for emotional growth, are emotional, intellectual, imaginational, sensual, and psychomotor. Little is known about the profiles of groups of gifted learners outside of studies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emotional needs of Korean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verexcitability profiles of students enrolled in four high schools, each with a different domain focus: math and sciences, visual and performing arts, and foreign languages. 341 subjects of this study completed the Overexcitability Questionnaire II.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statistical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Mean scores of psychomotor, sensual and imaginational are highest in the Art High School, intellectual is highest in the Science High School and emotional is highest in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chools. Each major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mean score of psychomotor is highest in the Dance major, sensual, imaginational and emotional are highest in the Drama majore and intellectual is highest in the Science maj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s of psychomotor, imaginational and intellectual are higher in th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mean scores of sensual and emotional are higher in the female students than in the male students.

Apprentissage de l'intonation du francais $\acute{a}$ l'aide de visualisateurs de m$\acute{e}$lodie (억양의 시각화를 통한 프랑스어의 억양학습)

  • 이정원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153-155
    • /
    • 2003
  • 외국어학습의 성공여부는 학습자의 강한 동기유발에 달렸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영어학습의 강세에 밀려 프랑스어를 포함한 제 2 외국어 학습 열의가 점차 사라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각 대학에 프랑스어를 전공하는 학과가 존재하는 한, 프랑스어 교육은 계속되어질 것이나, 과거와는 달리 고등학교에서 프랑스어의 기초를 배우고 대학의 프랑스어 학과에 입학하는 학생의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또한 현재의 대학 입시 제도가 학생들의 학과에 대한 적성 여부와 상관없이 수능성적 결과 점수에 따라 학과를 정하게 되므로 처음부터 프랑스어를 배우고자 하는 동기가 결여된 상태에서 전공 언어 학습을 시작하게 된다. 프랑스어를 가르치면서 현장에서 가장 고심하게 되는 문제는 첫째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프랑스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가 하는 점이고, 둘째로는 대학 4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어떻게 하면 정확한 프랑스어를 학습시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중략)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Donating and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of Highschool Students in Seongnam City (성남시 고등학생들의 봉사 및 기부와 민주시민의식과의 관계)

  • Park, Sunha;Park, Shinhye;Lee, He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5
    • /
    • pp.295-30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volunteering and donation of highschool students in Seongnam city and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 and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To that end, 155 students from an ordinary highschool and a foreign language highschool participated in a survey. The result showed that female students' participation rates of volunteering and monetary donation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rates between the schools. The civic consciousness level was not affected by the gender, but was affected by the schools. The scores for the attitude of democracy were better than those for the value and the participation of democracy. In particular, the students from the foreign language highschool had higher scores for the participation of democracy relative to the students from the highschool.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 and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ivic consciousness scores between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volunteering and those who had not, only in the case of the students from the ordinary highschool. Additionally, it was revealed volunteering and donating were compensatory behavior. Although single factors in volunteering influencing the civic consciousness were not found, persistence was important.

인터넷 실시간 자료를 이용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홈페이지 구축

  • Gu, Ja-Ok;An, Hui-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199-206
    • /
    • 2005
  • 지구과학은 실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거나 학생들이 친숙하게 생각하는 많은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런 특성은 과학캠프나 자연탐사 활동에서 지구과학과 관련한 탐구주제가 학생들의 큰 호응을 얻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정규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지구과학 실험 수업은 교과서에 제시된 자료해석 위주의 실험이 많아 학생들의 흥미를 반감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자료 측정과정에서 과학자가 느낄 수 있는 중요하고 귀중한 경험을 놓칠수 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는 해양과 대기, 천문, 지질 각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실시간 관측 자료를 제공해 주는 곳이 많으며 이 실시간 자료들을 고등학교의 지구과학 실험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기존의 자료해석 실험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호응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탐구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학습 프로그램의 특징은 탐구 중심 혹은 문제 해결 학습을 강조하는 현재의 교육 목표를 잘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지구과학 관련 실시간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구축한 후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실시간 자료를 이용하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을 12개의 주제에 대해서 완성했다. 먼저 지구과학실험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2차시 분량의 학습 프로그램 6주제를 개발했는데 개발 주제는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진앙으로 판의 경계를 결정하기', '진앙의 위치를 찾아라', '암영대를 찾아라', '태양의 자전 주기를 측정하기', '태양활동' 이다. 각 주제별로 수업소개, 학습목표, 과정, 학습자료(학생 활동지, 기타 자료, 수업 내용과 관련한 실시간 자료 제공 사이트 목록), 평가 자료를 만들었다. 학생들의 활동 내용은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의 주제를 예로 들면 학생들이 실시간으로 전 세계의 지진활동을 모니터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최근에 지진이 어디에서 일어났는지 알아보고 지난 30일 동안에 일어났던 규모 4 이상의 지진 자료를 다운 받아 세계 지도에 점으로 표시한다. 이 때 학생들은 손으로 진앙의 위치를 지도에 그리는 대신 엑셀의 그래프 기능을 이용하여 지도에 진앙의 위치를 나타내게 한다. 또 개인 과제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5가지 개발하여 학생들이 특정한 주제에 대하여 탐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했는데 개발된 주제는 '태양 활동으로 오로라 예측하기', '국제 우주 정거장을 찾아내자', '한반도 부근의 해양 기상과 해수의 물리적 상호 관계', '일기도 분석을 통한 태풍의 진로 예측', '우리 나라 조석 예측' 이다. 마지막으로 사이버 학습을 통해서 수업 시간의 제약 없이 과제 형태로 처치 가능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했는데 그 주제는 '태풍이 저위도에서 북상하는 이유?'이다. 개발된 프로그램 중 2차시 학습 프로그램은 과학고 중학생 영재반에게, 개인 탐구 과제는 과학고 1학년 학생들에게, 사이버 수업 형태는 과학고 2학년 학생에게 적용시켰다. 실시간 자료 활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시간 자료들을 이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컴퓨터 활용 능력과 외국어 자료 활용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도 도움을 주었다.

  • PDF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The Changes of Mathematics Anxiety Shown Brain-Based Measurement through a Remedy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심리적 처치프로그램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뇌파반응에 따른 수학불안의 변화)

  • Han, Se Ho;Choi-Koh, Sang Sook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6 no.2
    • /
    • pp.205-224
    • /
    • 2016
  • Nowadays technological instruments are advanced to measure brain waves called EEG. Also, it is important to find some facts that cause students to have mathematic anxiety (MA) and to provide remedy programs to lessen their MA in order to help students cure MA that could contribute to negative self-efficacy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learning. To find how they change the MA level, a small group of 11 high school students in Suwon city participated for ten weeks at the remedy program based on students' levels of MA diagnosed by MASS instrument (Ko, & Yi, 2011) and proofread by 8 advisors who worked in related research area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medy program was effective to lessen students' MA and it should provide a long term period since some negative experiences were accumulated for a long time of his or her past schooling by others such as teachers, peers, and parents. EEG showed that students got better scores on a percent of correct answers and a reaction time and some student' EEG from a group HMA became smaller heights and width in comparison of the other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