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과적 치료

검색결과 2,486건 처리시간 0.037초

외과적 치주 치료 후 식이보충을 위한 영양음료 섭취에 관한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PROMs) 조사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on intake of nutrition drink for nutritional supplements after periodontal surgery)

  • 김형석;조인우;신현승;박정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176-183
    • /
    • 2016
  • 목적: 외과적 치주 치료 후 해당 부위 통증과 불편감으로 인해 환자들은 제대로 된 식사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적절한 영양 섭취의 어려움으로 인해 삶의 질이 현저히 감소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과적 치주 치료 후 환자의 적절한 영양 섭취를 위해 일정 치유 기간 동안 영양음료를 나누어 마시게 하고 이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외과적 치주 치료를 시행하고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영양음료를 임의의 섭취법에 따라 2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마시게 하고 영양음료를 마시지 않는 대조군을 설정하여 총 90명의 환자에게 영양음료 복용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PROMs)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PROMs를 통한 분석 결과, 외과적 치주 치료 후 영양음료를 섭취하였을 때 식사 대용 가능과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복감을 해소하고 충분한 영양공급을 받아 수술 후 회복에 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 영양음료는 구강 내 수술로 인한 식사의 불편함을 해결해줄 수 있는 효율적인 영양보충제로 사료된다. 또한 술 후 영양 공급과 심리적 안정이 필요한 상황에서 영양음료가 술 후 치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2세 유아에서 발생한 고도 전위성 치상돌기 골절의 보존적 치료 (Conservative Management for a Highly Displaced Dens Fracture in a Two-Year-Old Child)

  • 임성준;김건중;김용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30-534
    • /
    • 2021
  • 소아, 특히 유아의 치상돌기 골절은 매우 드물고, 따라서 그 진단 및 치료에 대하여 정립된 기술을 쉽게 볼 수 없다. 특히 전위가 심한 경우 보존적 혹은 수술적 치료 중 무엇을 적용해야 할지 결정하기가 어렵다. 이론적으로 수술적 고정을 통해 골절의 조기 정복과 견고한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작고 연약한 소아에서 안전하게 수행되기가 쉽지 않고, 환축추 관절의 영구적 고정이라는 문제가 남는다. 저자들은 교통사고로 발생한 2세 여아의 고도 굴곡 전위된 치상돌기 골절 1예를 보존적으로 치료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 체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수지 골절-탈구 치료의 최신 지견 (The Current Concepts in Treatment of Fracture-Dislocations of the Finger)

  • 강호정;김지섭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457-471
    • /
    • 2020
  • 수지는 복잡한 구조와 필수적인 기능을 가진 신체 부위로, 외상에 노출되기 가장 쉬운 부위이다. 수지 골절의 치료 원칙은 적절한 고정으로 골절부의 안정성을 획득하는 것과 안정성을 담보로 한 조기 관절 운동 간의 균형을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다. 치료에도 불구하고 합병증으로 강직이나 변형 등으로 인해 기능적, 미용적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본 종설은 수지 골절 치료의 최신 지견을 소개하고, 치료가 어렵고 결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관절면의 손상을 포함한 지절 관절 주위의 골절 및 탈구 위주로 정리하였으며, 치료 증례 소개와 합병증에 대한 접근 및 치료 순서로 기술하였다.

위암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ic Cancer)

  • 송선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73-181
    • /
    • 1996
  • 위암 환자의 수술후 5년 생존율은 조기암의 경우 90%이상으로 매우 좋으나 진행암의 경우 20~30%를 넘지 못한다. 위암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조기 발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으며, 조기암의 진단율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현실적 타개책이라 하겠다. 현재 우리나라의 조기암 진단율은 16~22%로 일본의 40~45%보다 극히 저조하므로 소화기계 증상이 있는 경우 위내시경 검사를 적극 권고함이 바람직하다. 위암은 외과적 절제술이 유일한 근치치료법임은 주지의 사실이며 근래에는 위내시경 및 복강경을 이용하여 위장관 기능을 보존하는 술식도 시도되고 있어 바람직한 발전이라 사료되나, 림프절 곽청의 원칙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근치적 절제술의 정의에 합당한 외과적 치료법만이 5년 생존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보조적 항암화학요법과 면역요법은 대상 환자의 엄선으로 부분적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절제불능 위암이나 국소진행암에서 절제율을 높이기 위한 술전치료방법들의 적극적 도입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상 환자의 선정에 있어 객관적 타당성이 있는 병기 결정 방법과 치료효과를 판정하는 방법의 혁신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현재의 부정확한 검사방법들의 대안으로 복강경의 이용이 바람직하리라 사료된다.

  • PDF

심장사상충 감염견에서 Flexible Alligator Forceps을 이용한 외과적 치료 (The Efficacy of Surgical Treatment with Flexible Alligator Forceps in Dogs with Heartworm Infection)

  • 윤헌영;정순욱;김준영;한현정;장하영;이보라;남궁효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9-313
    • /
    • 2005
  • 본 연구는 심장사상충 감염견에 있어서 flexible alligator forceps(FAF)을 이용한 외과적 치료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FAF를 이용한 외과적 치료를 위해 평균 연령 $5.3\pm3.0\;(mean{\pm}S.D.)$ 년, 평균 체중 $9.3\pm6.5(mean{\pm}S.D.)kg$인 20마리의 심장사상충 감염견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그 중 수컷 10마리, 암컷 10마리였다. 성충 제거를 위한 외과적 치료를 isoflurane호흡 마취 하에 FAF완 투시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FAF를 이용한 외과적 치료방법의 평가를 위해 제거율과 수술시간을 측정하였고 제거 부위를 확인하였다 제거되지 알고 남아 있을 수 있는 성충 확인을 위해 항원 ELISA kit검사와 부검을 실시하였다. 제거율은 심장사상충이 완전히 제거된 15마리를 포함 전체 심장사상충의 $91.4\%$ 였고 수술에 걸린 평균 시간은 $30.0\pm7.6(mean{\pm}S.E.)$이었다. 또한 심장사상충은 우심실, 주폐동맥, 우폐동맥, 그리고 좌폐동맥에서 제거되었다 결론적으로, FAF를 이용한 외과적 치료법은 높은 제거율, 짧은 수술 시간, 그리고 다양한 제거부위와 같은 장점을 보이는 효과적이 방법이며 심장사상충 감염견에서 적용될 수 있는 좋은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폐 국균증의 외과적 치료

  • 이창민;조성래;천수봉;김대연;김수현;김송명
    •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흉부외과학회 1995년도 제27차년차학술대회 및 총회
    • /
    • pp.99-99
    • /
    • 1995
  • PDF

대동맥류의 외과적 치료

  • 전홍주;류지윤;조광현
    •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흉부외과학회 1995년도 제27차년차학술대회 및 총회
    • /
    • pp.31-31
    • /
    • 199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