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왜도

검색결과 1,623건 처리시간 0.025초

산철쭉과 왜철쭉의 Dehardening과정에서의 피해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Injury during Dehardening of Rhododendron obtusum and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 방광자;설종호;주진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47-53
    • /
    • 1999
  • 상록성인 히노데 기리시마 철쭉(Rhododendron obtusum cv. Hinodegiri)과 반상록성인 산철쭉(Rhododendron yeooense var. poukhanense)의 늦겨울부터 초봄까지의 생장상태를 비교하여 이 시기에 발생하는 피해 원인을 규명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ehardening후 개화기의 관상가치는 산철쭉의 경우 관수처리 및 차광처리에 따른 관상가치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상록성 왜철쭉의 경우에는 특히 차광처리구에서 대조구나 관수처리구에 비해 높은 관상가치를 나타내었다. Dehardening과정의 동사점의 변화는 두 종류 모두에서 2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에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져 이 시기가 dehardening의 중요한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 시기에 상록성 왜철쭉은 차광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3^{\circ}C$ 정도 낮은 동사점을 기록하였으며, 관수처리구에서는 $1^{\circ}C$ 높은 동사점을 나타내었다. 같은 시기의 가지의 수분포텐셜과 수분함량의 변화를 측정 한 결과, 두 종류 공히 모든 처리구에서 2월부터 5월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때 산철쭉의 경우는 5월에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가 수분포텐셜 0.3MPa, 수분함량 3% 정도 높아 거의 비슷한 체내수분상태를 유지하였지만, 상록성 왜철쭉의 경우는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에서 수분포텐셜이 0.9MPa, 수분함량은 11%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관수처리구에서는 토양으로부터의 수분공급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더라도 광션에 의한 수분손실량의 증가가 크기 때문에 체내수분의 완전한 회복이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체내수분의 회복정도의 차이는 TTC법을 이용한 가지활력의 측정결과에서도 나타나 특히 상록성 왜철쭉의 대조구에 비해 차광처리구에서 훨씬 높은 가지활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상록성 왜철쭉의 피해는 겨울철 동안 지속되었던 수분손실의 상태에서 봄철의 dehardening 시기에 체내수분을 원래의 상태대로 회복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 체내수분의 회복을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수분공급보다는 수분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그를 위해 차광처리가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털개구리미나리(Ranunculus cantoniensis)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 및 종분화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speciation of Ranunculus cantoniensis (Ranunculaceae))

  • 이창숙;이남숙;여성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35-358
    • /
    • 2004
  •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의 털개구리미나리(R. cantonienesis)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하고 잡종화 가설을 추정하기 위하여, 군외군을 포함한 8분류군의 25개 DNA재료를 대상으로 핵 DNA와 엽록체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털개구리미나리와 근연종에 대하여 maximum parsimony와 maximum likelihood방법으로 분석한 핵 DNA의 ITS 계통수와 psbA-trnH, rps16, trnL 유전자 구간의 염기서열을 조합한 엽록체 DNA 계통수에서, 털개구리미나리는 젓가락나물과 가장 가깝고, 개구리미나리, 왜젓가락나물 순으로 유연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는 털개구리미나리가 왜젓가락나물과 가장 가깝다는 기존의 외부형태학적 보고와 일치하지 않았다. 염기서열 분석에서 털개구리미나라는 조사된 분류군 중 유일하게 다형성을 나타냄으로서, 염색체수와 핵형에 의하여 보고된 털개구리미나라의 다형성을 지지하였다. 털개구리미나리는 ITS 에서 젓가락나물과 왜젓가락나물의 표지 유전자를 공유하고, 엽록체 DNA에서 왜젓가락나물의 표지 유전자를 공유하였다. 이 결과는 염색체수와 핵형에 의하여 제시되었던 털개구리미나리가 젓가락나물과 왜젓가락나물의 잡종화에 의하여 종분화되었다는 가설을 지지하였으며, 왜젓가락나물이 모계이며, 젓가락나물이 부계로 추정된다.

치조 마찰음 왜곡 오류 유무에 따른 아동 발화 적률분석 비교 (Spectral moment analysis of distortion errors in alveolar fricatives in Korean children)

  • 한윤주;김도형;황자은;장대현;김재원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6권1호
    • /
    • pp.33-40
    • /
    • 2024
  • 본 연구는 치조 마찰음의 왜곡 오류인 치간음화, 구개음화, 설측음화가 적률분석의 변인인 무게중심, 분산, 왜도, 첨도에서 정조음과 보이는 음향학적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1명 아동(평균연령: 5.6±1.5세, 여아 19명, 남아 42명)을 대상으로 얻어진 조음음운평가(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 Urimal-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I, U-TAP I) 결과, 음성 중 치조 마찰음을 포함하고 있는 목표 단어에서 치조마찰음 왜곡 오류를 보인 음성과 정조음 음성을 추출하여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69개의 음성이 적률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무게중심에서 정조음이 구개음화보다 값이 높았으며, 구개음화는 치간음화보다 값이 낮았다. 치간음화의 분산이 정조음과 구개음화보다 높았다. 치간음화가 정조음보다 높은 왜도를 보였으며 구개음화의 왜도가 정조음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구개음화의 첨도가 정조음과 치간음화보다 높았다. 각 왜곡 오류 유형에서 적률분석의 모든 변인들에 대해 조음위치(어두초성, 어중초성), 발성유형(평음, 경음)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치조 마찰음의 유형에 따라 무게중심, 분산, 왜도, 첨도에서 다른 패턴이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객관적 수치는 추후 임상에서 청지각 평가를 도와 치조 마찰음 왜곡 오류의 진단과정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왜!왜! 내가 에이즈에 ···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 레드리본
    • /
    • 통권68호
    • /
    • pp.10-11
    • /
    • 2006
  • HIV에 감염되었다는 것은 질병을 얻었다는 것 외에도 정신적 충격이 거의 동반된다. 그 이유는 에이즈 발견초기 병의 감염경로나 예방법이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공포와 두려움으로 에이즈를 알렸기 때문이다. 25년이 지난 지금에도 HIV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은 감염된 사람을 부정하고 낙인찍기를 서슴치 않고, 이런 이유로 감염된 사람들은 자신의 감염사실에 좌절하고 분노하기에 이른다. 그렇다면 HIV에 감염된 초기 감염인들은 자신의 감염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이는 게 좋은지 포즈닷컴의 유용한 정보를 번역하여 게재하도록 한다. positive life 는 HIV 감염인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매호 제공할 예정이다.

  • PDF

오늘의 대중문화와 문화담론

  • 김성기
    • 대학교육
    • /
    • 통권91호
    • /
    • pp.53-59
    • /
    • 1998
  • 우리의 문화담론은 너무 늦었거나 너무 일렀다. 왜 늦었느냐 하면, 그 담론이 '80년대의 목적 의식적 세력이 존재할 당시에 전개되었다면 그 기반 위에서 '90년대 대중문화의 새 동향을 변별할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 때문이다. 왜 빨랐느냐 하면, '90년대의 문화담론은 그 현실적 기반을 내생적으로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무작정 문화상품에 기우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에서 그렇다. 오늘날은 문화담론 자체가 대중문화의 소비를 강권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치 정보화 운동이 정보의 소비를 강권하듯이 말이다. 그러나 문화담론이 도전해야 할 대상은 바로 현실이다.

  • PDF

나는 지금 인터넷으로 간다

  • 안정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8권9호통권376호
    • /
    • pp.841-849
    • /
    • 2000
  • 과거에도 치과의사들의 탈치과의사 선언이 종종 있어왔지만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정보매체의 등장으로 치과의사들이 보다 많이 인터넷 분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들은 왜 인터넷이라고 하는 매체에 관심을 갖고 달려드는 것일까? 치과의사 닷컴 대표이사라는 두가지 명함을 가지고 있는 그들, 혹은 치과의사를 용감히(?)버리고 닷컴 대표이사라는 직함에 매달리는 그들을 만나보았다. 그들은 왜 인터넷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지, 치과의사들이 인터넷 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현황 및 각 인터넷 사이트를 소개한다.

  • PDF

동의명령제 도입은 왜 필요한가?

  • 손인옥
    • 월간경쟁저널
    • /
    • 131호
    • /
    • pp.32-36
    • /
    • 2007
  • 2007년초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면서 동의명령제를 포함시켰으나 부처간 협의과정에서 동의명령제 도입 규정이 삭제된 바 있다. 그 이후 3월초 한국과 미국은 한미간의 자유무역협정(FTA)에 동의명령제를 포함시키기로 합의하였기 때문에 앞으로 이의 도입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동의명령제에 대해서는아직 그내용이 널리 알려져 있지 않아서 도입 필요성에 대해서도 이해가 넓지 않은 것 같다. 본 고에서는 동의명령제가 어떤 제도이며. 우리나라에서 왜 동의명령제의 도입이 필요한지를 살펴보겠다.

  • PDF

주축 및 Z축 모터의 전류 정보를 이용한 드릴공구 마멸상태의 검출

  • 김화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4-299
    • /
    • 1993
  • 고도로 자동화가 진전된 생산 시스템에서의 가공은 NC 공작기계, 머시닝 센터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작업 상태에 대한 감시 및 공구교환 시점의 결정은 작업자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므로, 무인화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최근 머시닝센터 를 중심으로 가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서, 머시닝센터 전체 작업중 대략 40% 정도를 차지하는 드릴 작업에서 공구 상태에 대한 감시는 가공 무인화를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드릴가공시 주축 및 Z축 모터전류와 공구마멸과의 정성적 및 정량적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전류의 진폭영역 정보인 평균, 분산, 왜도(skewness), 첨도(kurtosis)등의 신호처리를 행하여, 이들값이 공구마멸이 진행됨에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조사하였다.

과학의 불가사의-풀리지 않는 수수께끼4-남성들은 왜 존재하는가?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1권4호통권347호
    • /
    • pp.27-29
    • /
    • 1998
  • 남성은 왜 존재하며 과연 필요한 것인가? 남성은 여성에 비해 거칠고 온갖 골칫거리의 원인을 제공하나 종의 존속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하지만 이 세상에는 처녀생식을 하는 종들도 많다. 칠면조는 수정하지 않은 알에서 부화하여 발육시킬 수 있으며 채찍꼬리 도마뱀은 모두 암컷이다. 또 델로이드윤층과 같은 일부 미생물중에는 4천만년동안 성없이도 살아왔고 민들레와 같이 전혀 무성인 식물도 있다. 수수께끼같은 남성의 세계를 알아본다.

  • PDF

이변량 Laplace 분포와 응용

  • 홍성식;홍종선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7-130
    • /
    • 2003
  • 주변분포가 Laplace 분포인 세 가지 형태의 이변량 Laplace 분포를 연구한다. 각각의 이변량 Laplace 분포의 확률밀도함수와 누적분포함수를 유도하고, 분포의 그래프를 그려봄으로써 분포의 형태를 알아본다. 조건부 적률을 정리하여 조건부 첨도와 조건부 왜도를 구하고 분포의 성질을 파악한다. 상관계수를 구하여 다른 이변량 분포의 상관계수와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정의된 분포함수를 응용하여 이변량 Laplace 분포를 따르는 난수벡터를 발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생성된 난수벡터의 표본으로부터 구한 표본평균과 중앙값의 분산-공분산 행렬식을 구하고 이변량 정규분포에 대응하는 행렬식과 비교 토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