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왕숙천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N and T-P Simulations in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한강 하류부에서의 총질소와 총인에 대한 수질모의)

  • 한건연;송재우
    • Water for future
    • /
    • v.28 no.4
    • /
    • pp.137-146
    • /
    • 1995
  • QUAL2E model is applied to predict T-N and T-P concentrations in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Sensitivity analysis shows that the pertinent parameters for T-N and T-P have small effects on the computed concentrations. The computed concentration profiles of T-N and T-P show good agreements with recently measured data. The future tributary loads of T-N and T-P have been estimated to simulate concentrations. The modeling result has been presented under the mean and low flow condition after wastewater treatment in the future.

  • PDF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in the Han-River Basin (2006년 한강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Lee, Sang-Cheol;Lee, Seok-Ho;Kwon, Dong-Seok;Kim, Dong-Ph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29-1934
    • /
    • 2007
  • 본 연구는 2006년도 한강 유역의 유량측정 지점 중 임진강 6개 지점, 중랑천 및 왕숙천 5개 지점, 홍천강 및 섬강 4개 지점 총 15개 지점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기본적인 성과분석과 더불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개발, 산정 유량의 연유출률 평가, 상 하류간 유량 비교, 직접유출률 평가, 평 저수위 동시유량 비교 등을 통하여 산정된 유량자료의 적절성의 검토와 유출특성을 검토하였다. 산정된 유출률은 $49.0%{\sim}117.7%$의 범위를 보였으며, 부분적으로 계기수위가 불안정했던 지점들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들의 유출률은 그 지점들의 특성을 감안할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범위내의 유출특성을 보였다. 2005년도 유출률과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올해 장기간 집중된 강우 특성을 고려한다면 적절한 유출범위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using Gavrilovi$\acute{c}$ model (Gavrilovi$\acute{c}$ 모형을 이용한 유사량 추정)

  • Lee, Joon-Hak;Oh, Kyoung-D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62-865
    • /
    • 2012
  • 유사량은 하천의 단면을 단위시간 동안 통과하는 토사의 양을 의미하며, 하천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를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된다. 유사량은 하천 유역의 지형적인 특성과 기상요소에 영향을 받으며, 이를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GIS기반의 유사량 예측모델로서 국내에서는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과 유사운송비(Sediment Delivery Ratio)를 이용하여 유역단위 유사량을 예측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Gavrilovi$\acute{c}$ 모델은 유역의 총 연유사량을 예측하고 토양침식의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경험적 모형으로 지질 및 토양, 지형조건, 기후인자(연평균 강우량, 연평균 온도), 토지이용의 6가지 입력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Gavrilovi$\acute{c}$ 모델의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서, 왕숙천 유역을 대상으로 Gavrilovi$\acute{c}$ 모델을 적용하여 유사량을 산정해본 결과, 실측값을 약 20% 내외로 비교적 근사하게 추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Wangsook River and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왕숙천 수질의 시${\cdot}$공간적 특성과 유역의 물환경 관리)

  • Park, Jo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2 no.4
    • /
    • pp.445-462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tream water quality and to charify the management of watershed environment from the standpoint of hydrological geograph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Wangsook River was chose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pecific conclusions were drawn. 1. In general, WT(water temperature) of the downstream is higher than that of the upstream. The value of winter WT measured in densely populated area is higher than that measured under the natural conditions. The seasonal variation of WT at upstream sites is greater than that of downstream. 2. Rhe water quality of main channel is dependent on that of tributaries. Especially, the values of pH, EC, TDS in main channel depend upon those of tributaries. Among the tributaries of the Wangsook river, the Jingun-chon and Yongam-chon have mostly influence on the water quality of the main channel. 3. Generally, the values of COD measured in the Wangsook River are over the 5th Grade considering from a point of water quality standards of inland lake. However, BOD, phosphorus and nitrogen concentrations have to be measured to clear the water quality conditions of the river. 4. The regional people who live in the catchment of Wangsook river have different perception about the water pollution of the river. The regional people lack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Wangsook river cause a bad influence upon the hydrological management of watershed environment.

  • PDF

Monitoring of Bisphenol A and Nonylphenol in Waterworks System of Seoul, Korea (상수도 계통에서 비스페놀 A와 노닐페놀의 실태조사)

  • Ham, Young-Kook;Oh, Sea-Jong;Kim, Sung-Wha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7 no.5
    • /
    • pp.423-433
    • /
    • 2004
  • This study was examined occurrence of bisphenol A (BPA) and nonylphenol (NP) in waterworks system of Seoul, Korea from September 2002 to December 2003. The levels of BPA and NP in Han-river and its tributaries were as followed: Paldang-dam, ND(not detected)${\sim}0.033{\mu}g/L$ and $ND{\sim}0.823{\mu}g/L$; Kyungahn-creek, $ND{\sim}0.659{\mu}g/L$ and $ND{\sim}3.827{\mu}g/L$; Whangsuk-creek, $ND{\sim}0.528{\mu}g/L$ and $ND{\sim}12.724{\mu}g/L$, respectively. In water of 6 intake-station, the contents of NP and BPA were detected $0.122{\sim}2.724{\mu}g/L$, and $ND{\sim}0.260{\mu}g/L$, respectively. In the finished- and tap-water of three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DWTPs) around Whangsuk-creek, BPA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while NP was in ppt levels in whole. Through the process of DWTP, also, the removal ratio of NP was above 80% in all this. Therefore, this result was suggested that levels of BPA and NP in waterworks system depended on non-point contaminants and swage treatment plants in the Han-river shed.

Flow Analysis for Effective Design of Fishway at Wangsuk Stream (효율적인 어도설치를 위한 흐름해석 : 왕숙천을 대상으로)

  • Baek, Kyong-Oh;Ahn, S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00-2104
    • /
    • 2008
  • 현재 전국적으로 하천을 횡단하는 보에 어도시설이 되어 있는 곳은 4.6%에 불과하고, 기존에 설치된 어도의 경우에도 설계단계에서부터 회유성 어류의 통로로 부적합하거나, 시공 후 관리부실로 하상이 세굴되거나 퇴적되어 어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또한 어도의 위치는 통수장애 및 퇴적을 고려하여 하천의 유심(流心)과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엄밀한 수리계산 없이 어도의 설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및 2차원 흐름해석을 통해 어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흐름해석 대상구간은 왕숙천의 퇴계원 수위표 지점부터 상류 약 4km 구간이며, 이 구간에 3개의 보가 존재한다. 상하류 연속성 확보를 위해 어도 설치시 고려 대상 종으로 왕숙천 중류에만 출현하는 긴몰개를 삼았다. 보에 어도가 없는 상태에서 흐름 및 하상변동 해석을 수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어도를 설치하기에 적정한 위치를 도출하였다. 2차원 흐름모형의 하나인 RMA-2를 사용하여 유심선을 파악하였으며, 하상변동 해석 모형인 SED-2D를 이용하여 홍수시 어도 입,출구에 예상되는 세굴 및 퇴적양상을 확인하였다. 갈수시 설치된 어도에 충분한 유량이 확보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HEC-RAS를 이용하여 1차원 흐름해석도 병행하였다. 2차원 흐름해석 결과 대상구간의 좌안쪽으로 유심선이 발생하므로 어도는 이를 따라 보체의 좌안쪽에 설치함이 타당하다. 그러나 홍수시 하상변동해석 결과, 좌안쪽에 상당량의 퇴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퇴적이 진행되지 않는 보의 중앙부에 어도를 설치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Impacts Assessments of River Linked with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by CSOs in Urban Area (도시지역 월류수에 의한 비점오염원의 유출 특성과 연계한 하천 영향 평가)

  • Kim, You-Seong;Ko, Hyuk-Bae;Ahn, Sang-Dae;Kim, Won-Il;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2-96
    • /
    • 2008
  • 최근에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호우는 단시간의 높은 강우 강도의 발생을 증가시켜 재해 유발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유역 내 비점오염원이 합류식 관거의 월류수인 CSOs(Combined Sewer Overflows)의 형태로 강우와 함께 유입되어 수질 및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월류수의 유출특성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유량 및 수질 등의 오염부하량에 대한 적절한 저감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도시유역에 강우로 인한 월류수의 유출 특성 변화를 분석함과 동시에 월류수가 하천에 방류되었을 때의 하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하여 하천의 효율적인 수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기도 구리시를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도시 강우-유출 모델인 SWMM을 사용하여 유역의 유출량 및 월류수의 수질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유역의 최종 방류구에 비점오염 저감을 위해 설치된 저류지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유출수와의 연계는 미국 환경청에서 개발된 WASP 모델을 적용하여 왕숙천 본류에 대한 월류수 변화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저류지 설치 전 후의 하천에 월류수가 미치는 영향을 BOD 농도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저류지 설치 후 BOD 농도의 저감율은 설치 전 보다 최소 1.9%, 최대 81.2%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신뢰도 높은 수질모의를 위해서는 월류수 발생시 월류수와 하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현장 여건을 반영할 수 있는 입력변수의 도출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Tributary Inflow on Downstream Water Level of the Han River (한강하류부 지천의 유입량이 한강수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Jong Kyu;Jang, Ki Hwan;Yang, He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66-1370
    • /
    • 2004
  • 한강은 남한 제1의 하천으로 지리적으로 한반도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동에서 서로 흐르는 대하천이다. 매년 발생하는 홍수에 대한 한강하류부의 홍수관리는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강의 지천유입량이 한강본류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은 하천의 지형적 특성과 여러인자들을 반영하여 하천의 흐름을 해석하기 때문에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 수중보, 지천유입량, 조도계수 등을 적절히 반영하였을 때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부정류 흐름으로 해석하였으며 미국 NWS(National Weather Service)에서 기존의 DWOPER 모형과 댐파괴 모형인 DAMBRK 모형을 통합하여 개선한 FLDWAV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모형의 지배방정식은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으로 구성되어 확장된 Saint-Venant 방정식이고, 수치기법으로는 가중4점음해법을 이용하려 비선형 연립방정식을 Newton-Raphson 방법으로 해석한다. 모형의 상류경계는 팔당댐 시간 방류량을 하류경계로는 전류수위표 지점의 수위를 이용하였다. 한강하류부에는 많은 지천들이 흘러들어 유입되고 있는데 지천유입량이 한강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교적 유역면적이 큰 왕숙천, 탄천, 중랑천, 안양천 등의 지천유입량을 고려하였다. 2000년과 2001년에 발생한 2개의 실측사상을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수위값과 검증해 본 결과 실측수위를 잘 재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검증된 모형을 가지고 동일한 사상에 대해서 지천 유입량을 고려하지 않고 모의를 한 결과 지천유입량을 고려하였을 때와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지천유입량에 대한 수위상승량은 $1\~5cm$ 정도로 나타났다. 지천유입량에 의한 수위상승이 어느정도 일어나고 있지만 홍수기간에 이 정도의 수위상승은 한강의 흐름이나 한강하류부에 설치된 구조물의 침수피해에 크게 영향을 주지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강하류부의 수위는 지천유입량의 영향보다는 팔당댐의 방류량에 의해서 좌우되고 있고 홍수시에는 한강의 수위상승으로 인하여 지천에 미치는 배수영향이 훨씬 더 클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the Discharge Calibration of the Skew Bridge (사교에서의 유량측정치보정을 위한 실측 및 분석)

  • Jeon, Byung-Hark;Lee, Jae-Hyug;Kim, Jeong-Nam;Kim,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84-684
    • /
    • 2012
  • 하천유량측정은 불가피하게 사교형태의 교량에서 측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교량에서의 유량측정은 수위-단면적이 과대산정되어 유량 역시 크게 산정되므로 이에 대한 보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왕숙천에 위치한 퇴계원 수위관측소 하류 400m 위치에서의 도섭법을 통한 횡단면 측선각도 변화에 따른 유량차의 비교와 오산천에 위치한 약 $45^{\circ}$ 사교(탑동대교)의 탑동 수위관측소 위치의 교량법을 이용한 유량측정 성과, 한탄강에 위치한 약 $15^{\circ}$ 사교(한탄대교)의 전곡 수위관측소 상류 1km에 위치한 한탄대교에서의 교량법 측정 성과에 따른 유량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한강유역 왕숙천, 오산천, 한탄강에 위치한 퇴계원 지점, 탑동 지점, 전곡 지점에서 실시간 수위에 따른 유속을 측정하였으며, 퇴계원 지점에서는 횡단면에 직각인 측선을 기준 값으로 제시하고, 횡단방향각의 정도를 $10^{\circ}$, $30^{\circ}$, $50^{\circ}$으로 늘려 산정을 하였고, 탑동과 전곡 지점에서는 사교에서의 횡단각을 측정하여 사교의 각을 산정한 후 보정 전 후의 유량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기기는 Price AA 유속계이고, 측정방법은 도섭법과 교량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직각인 측선에서 측정한 유량보다 사교형태에서 측정한 유량이 크게 산정되었다. 각 지점의 보정전 후 유량비는 탑동 지점 약 41.42%, 전곡 지점 약 3.53%로 산정되어 $15^{\circ}$ 사교의 전곡 지점에 비해 $45^{\circ}$ 사교의 탑동 지점의 보정전 후 유량차이가 크게 나타남에 따라 각이 클수록 유량 역시 과대하게 산정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량측정을 실시할 경우 유량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직각의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유량을 산정하되 부득이한 경우로 사교에서의 측정이 이루어졌을시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각도를 측정하여 크게 나타나는 수위-단면적에 각보정하여 유량을 산정함이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 생산의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 PDF

Unsteady Flow Model for the Main Reach of the Han River : Calibration (한강 본류에 대한 부정류 계산모형 : 모형의 보정)

  • Hwang, Ui-Jun;Jeon, Gyeong-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5
    • /
    • pp.549-559
    • /
    • 1997
  • A multiply-connected network unsteady flow model for the main reach of the Han River is developed. It is a variable parameter model which allows variable roughness coefficient for each computational point according to the spatial position and the value of discharge. Sensitivities of the model to roughness coefficient and weir-flow discharge coefficient are tested, and as a result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is selected as the calibration parameter. The model i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the records of the past flood events. A modified Gauss-Newton method is used for the optimal calibr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s. From the calibration of variable parameter model, spatial variation and discharge dependence of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are identified. That is, the roughness coefficient is higher for the upstream reach of the Wangsook stream Junction, and it decreases as the discharge increases. It turns out through the verification that the stages calculated by the variable parameter model agree better with the observed than those by the conventional single parameter model. Spatial variation of the roughness coefficient appears to be more significant than the dependence of the dischar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