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완화스펙트럼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determination of continuous relaxation time spectrum of linear polymer (선형 고분자의 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 결정)

  • 이일순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8 no.2
    • /
    • pp.103-118
    • /
    • 1996
  • 변형된 Maxwell 모델을 모의 데이터와 폴리스티렌의 동적 실험 데이터인 G'과 G "에 적용하여 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을 결정하였고, Maxwell 모델을 사용했을 때 얻어지 는 불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과 비교하였다. MGMM과 GMM 모두 선형회귀 방법과 비선 형회귀 방법을 사용하여 완화시간 스펙트럼을 결정하였는데 비선형 방법을 사용했을 때 선 형방법에 비해 좀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모의 데이터의 경우 사용한 완화시 간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MGMM과 GMM 모두 원래의 스펙트럼을 잘 재현했으나 완화시 간의 수가 작은 경우에는 MGMM이 GMM에 비해 원래의 완화시간 스펙트럼을 보다 잘 나 타내었다. 또 단분산성폴리스티렌의 경우 MGMM과 GMM의 완화시간 스펙트럼이 모두 작 은 완화시간 영역에서는 분자량에 무관했고 큰 완화시간 영역에서는 분자량이 커질수록 스 펙트럼이 완화시간이 커지는 쪽으로 이동하였다. 또 두드러진 terminal 완화시간을 볼수 있 었다. 그러나 다분산성 폴리스티렌의 경우에는 단분산성의 경우와는 달리 두드러진 terminal 완화시간을 볼수 없었다. 그리고 MGMM의 파라미터 m은 분자량 분포에 크게 의존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에서 계산된 불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이 GMM에서 얻어진 불연속 완화시간 스펙트럼과 잘 일치함을 볼수 있었다.

  • PDF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queous Poly(Ethylene Oxide) Solutions : Prediction of Stress Relaxation Behavior from Linear Viscoelastic Data

  • 송기원;노동현;장갑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44-147
    • /
    • 1998
  • 다양한 변형 양식에 대한 고분자 물질의 응답특성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완화 스펙트럼 H(λ) 또는 선형 완화 탄성율 G(t)를 결정하여야 한다. 완화 스펙트럼은 연속 완화 스펙트럼과 불연속 완화 스펙트럼(혹은 이산 완화 스펙트럼)으로 구분되며, 완화 스펙트럼과 완화 탄성율을 동적 점탄성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중략)

  • PDF

Experimental and Theory for Relaxation Spectrum of Polyacrylonitrile-Poly(vinyl chloride) Copolymers (Polyacrylonitrile-Poly(vinyl chloride) 공중합체 완화스펙트럼의 실험과 이론적인 고찰)

  • Kim, Nam-Jeong
    • Polymer(Korea)
    • /
    • v.35 no.3
    • /
    • pp.232-237
    • /
    • 2011
  • The relaxation spectra of polyacrylonitrile-poly(vinyl chloride) copolymer filament fibers were obtained by applying the experimental stress relaxation curves to the theoretical equation of relaxation spectrum. The theoretical equation of relaxation spectrum was derived from the Ree-Eyring and Maxwell model. The experimental of stress relax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tensile tester with a solvent chamber. The determination of relaxation spectra was performed by computer calculation. From the relaxation spectra, the fine structures, viscoelastic properties and hole volumes of solid polymers were studied. It was observed that the relaxation spectra of these samples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molecular weights and self diffusions of flow segments.

Determination of Self Diffusion Distributions of Molten Polyurethanes by Relaxation Spectra (용융 폴리우레탄의 완화 스펙트럼에 의한 자체확산분포 결정)

  • Kim, Nam-Jeo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0 no.3
    • /
    • pp.196-202
    • /
    • 2006
  • The self diffusion distributions of viscoelastic molten polyurethanes were determin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xation spectra and the distribution of self diffusion. The relaxation spectra of ester, PCL and PCL dyed type molten polyurethanes were obtained by applying the experimental stress relaxation curves to the theoretical equation of the Ree-Eyring and Maxwell non-Newtonian model(REM model) from computer calculation.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various temperatures using the physica rheometer with the temperature controller. The self diffusion and hole distance of amorphous region of polyurethane samples were investigated by experiments of stress relaxation. The diffusion coefficients and hole volumes were calculated from rheological parameters and crystallite size in order to study the diffusion of flow segments in amorphous region. It was observed that the relaxation spectra and self diffusions of these polymer sample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molecular weights, viscosities, hole volumes and activation energies of flow segments.

pH Effect on Relaxation Spectra of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Copolymers by REM Model (REM 모델에 의한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 완화스펙트럼의 pH 영향)

  • Kim, Nam Jeong
    • Polymer(Korea)
    • /
    • v.37 no.2
    • /
    • pp.135-140
    • /
    • 2013
  • The stress relaxation of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copolymer samples was carried out in air, distilled water, pH 3, 7 and 11 solutions at various temperatures using a tensile tester equipped with a solvent chamber. The relaxation spectra of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copolymers were obtained by applying the experimental stress relaxation curves to the equation of relaxation spectrum derived from the Ree-Eyring and Maxwell model. The determination of relaxation spectra was performed from computer calculation using a Laplace transform method. It was observed that the relaxation spectra of these sample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molecular weights and self-diffusions of flow segments.

A Study on the Ultrasonic Relaxation of Axial-Equatorial Isomerization in Methylcyclohexane (Methylcyclohexane의 초음파 완화현상의 연구)

  • 배종림;김정구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6
    • /
    • pp.3-7
    • /
    • 1998
  • Methylcyclohexane의 초음파 흡수측정을 0.1-2MHz의 주파수 범위, 온도 30-60℃에 걸쳐 1MHz이하에서 정확한 초음파 흡수측정이 가능한 광 회절 초음파 공명법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그 결과, axial과 equatorial에 의한 완화는 단일 완화현상을 보였고 그 스펙트럼 으로부터 완화 주파수와 완화강도를 결정하였다. 완화 주파수의 온도 의존성으로부터 활성 화에너지(△H*)=10.0㎉/㏖을, 완화 강도의 온도 의존성에서 엔탈피 차(△H)=1.8㎉/㏖을 각각 구하였다.

  • PDF

Speech Recognition in the Noisy Environments using Hybrid Method of Spectral Subtraction and Noise Masking (스펙트럼 차감법과 잡음 마스킹의 hybrid 방식을 이용한 잡음환경에서의 음성인식)

  • 권영욱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343-346
    • /
    • 1998
  • 잡음환경에서의 음성인식 성능향상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 차감법 이후에 남아 있는 잔여 잡음으로 인한 mismatch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기존의 스펙트럼 차감법에서의 flooring factor를 사용하는 대신에 target 잡음레벨을 이용하여 잡음 마스킹을 적용하는 스펙트럼 차감법과 잡음 마스킹의 hybrid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낮은 SNR에서 개선되지 않는 기존의 잡음 마스킹이 가지는 약점을 극복하고 동시에 스펙트럼 차감버에서의 잔여 잡음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었다. 특히 시간/주파수 영역 smoothing을 적용함으로써 스펙트럼 차감법과 잡음 마스킹의 hybrid 방식의 적용 이후에도 여전히 남아 있는 일부 잡음을 추가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더욱 향상된 인식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The Comparison of Power Spectrum Characteristics in Ultra Wideband Antipodal Impulse Communication using PN Code or Walsh Code (의사잡음 부호와 왈쉬 부호를 이용하는 초광대역 안티포달 임펄스 통신에서 전력 스펙트럼 특성 비교)

  • Jeong, Cheol;Kim, Young-Chul;Lee, Jeong-Seok;Cho, S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4-12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초광대역 무선 통신에 안티포달 펄스 신호를 이용하고, 기존의 초광대역 시간도약 모노펄스 통신에서 규칙적인 펄스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력 스펙트럼에서의 에너지 스파크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의사잡음 부호와 왈쉬 부호를 사용하였을 때의 전력 스펙트럼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광대역 안티포달 임펄스 통신에서의 두 가지 부호 방식의 이용으로 에너지 스파크 현상이 완화되고 고속의 시간도약 부호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완만한 전력스펙트럼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Magneto-impedance and Magnetic Relaxation in Electrodeposited Cu/Ni80Fe20 Core/Shell Composite Wire (전기도금 된 Cu/Ni80Fe20 코어/쉘 복합 와이어에서 자기임피던스 및 자기완화)

  • Yoon, Seok Soo;Cho, Seong Eon;Kim, Dong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5 no.1
    • /
    • pp.10-15
    • /
    • 2015
  • The model for the magneto-impedance of composite wires composed of highly conductive nonmagnetic metal core and soft magnetic shell was derived based on the Maxwell's equations. The Cu($100{\mu}m$ diameter)/$Ni_{80}Fe_{20}$($15{\mu}m$ thickness) core/shell composite wire was fabricated by electrodeposition. The impedance spectra for the $Cu/Ni_{80}Fe_{20}$ core/shell composite wire were measured in the frequency range of 10 kHz~10 MHz under longitudinal dc magnetic field in 0 Oe~200 Oe. The spectra of complex permeability in circumferential direction were extracted from the impedance spectra by using the derived model. The extracted spectra of complex permeability showed relaxation-type dispersion which is well curve-fitted with Debye equation with single relaxation frequency. By analyzing the magnetic field dependence of the complex permeability spectra,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composite wire has magnetic anisotropy in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rigin of the single relaxation process is the magnetization rotation in circumferential direction.

linear Viscoelastic Properties and Relaxation Time Spectrum of Dilute Polymer Solutions (묽은 고분자 용액의선형 점탄성과 완화 시간 스펙트럼)

  • 안경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7 no.3
    • /
    • pp.211-224
    • /
    • 1995
  • 묽은 고분자 용액의선형 점탄성과 완화시간 스펙트럼에 대하여 비드수, 유체역학적 상호작용, 배제 부피와 비선형 스프링들의 영향을 비드-스프링 모델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Fixman의 모델을 개량하였고, 비선형 스프링개념을 도입한후 선형점탄성에 관한 식들을 유 도하였다. 그중에서 주로 복고 점도의 크기와 위상차에 대한 BSM 파라미터들의 영향을 살 펴보았다. 실험데이터에서 진동수에 따른 위상차의 평평한 부분의 길이로부터 비드수를 Mark-Houwink 식의 지수 값으로부터 유체역학적 상호작용 파라미터를 그리고 fitting 파라 미터로써 배제 부피 파라미터와 비선형 스프링 파라미터의 함수형태로 표현되는 동적 확장 파라미터를 결정할수 있었다. 또한 광산란 실험등으로부터 배제 부피 파라미터를 결정하게 된다면 이로부터 비선형 스프링 파라미터도 결정할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한편 불연속적인 현태인 BSM의 완화시간 스펙트럼에 미치는 BSM 파라미터들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각 파람터의 효과와 차이점을 분명히 알수 있었다. 본논문에서는 BSM에 비드수, 유체역학적 상호작용 배제 부피 그리고 비선형 스프링 효과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 방법을 통하여 묽은 고분자 용액의 선형 점탄성 실험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