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와해성 기술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Future of CAE as a Disruptive Innovation (와해성 혁신의 관점에서 본 CAE 의 미래)

  • Kim, Sangtae
    • Transactions of the KSME C: Technology and Education
    • /
    • v.3 no.2
    • /
    • pp.149-154
    • /
    • 2015
  • Disruptive innovation means the innovation which obsoletes the existing technology by a new technology. Like the examples of disruptive innovation, film camera and digital camera and PC and laptop, CAE technology can be regarded as a disruptive technology which can raise the disruptive innovation. CAE technology which is being improved dramatical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related technologies brings the innovation in the design and validation process in manufacturing industry. This innovation can change the rule of the market so that the researchers, companies and CAE enginnees should pay attention to it. Also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he technology but also the training and cultivation of the engineers who can utilize CAE technology are very important and cannot be neglected.

A Study on the Disruptive Technology of Secondary Memory Unit: Focus on the HDD vs SSD Case (보조기억장치의 와해성 기술 사례에 관한 연구: HDD 대 SSD 사례를 중심으로)

  • Lee,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4 no.1
    • /
    • pp.21-26
    • /
    • 2013
  • Due to a lack of research regarding disruptive technologies in domestic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disruptive technologi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cases selected in the computer data storage industry. Analysis results have shown that SSDs, which threaten the existence of HDDs, adhere to the conditions of being a disruptive technology as first presented by Christensen(1992). SSDs are not only technologically superior to HDDs but can be mass produced due to its applicability in a vast array of product categories made possible by their miniaturization, weight reduction, and safety. This diversity of applicable fields makes it possible for mass production leading to further decrease in the unit price ultimately continuing the diffusion of this technology. By presenting empirical cases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disruptive technology, it is determin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greatly to both academia and the business world.

An Analysis on the Role of Enabling Technolo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Technology and Business Model during the Process of Disruptive Innovation (와해성 혁신과정에서 핵심기술과 비즈니스 모델간의 관계와 보완기술의 중요성 분석: 인터넷 쇼핑몰 사례를 중심으로)

  • Lee, Su;Lee, Sang-Hyun;Kim, Kil-Su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9 no.1
    • /
    • pp.79-109
    • /
    • 2011
  • In his highly cited book, Innovator's Dilemma (1997), Christensen introduced a notion of disruptive technology that is based on the observations from disk-drive industry and used it as an explanatory variable through which new entrants outperform incumbents in the industry. In explaining his later observations of disruptive innovations in other industries, however, his early theory based on disruptive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all cases without careful distinction between the notions of technology and business model (Markides, 2006). Furthermore, it has been criticized that his model suffers from lack of enough explanatory power and other important factors that are necessary to fully explain the observed phenomena in various cases (Danneels, 2004). Motivated by the critics in literature, the current study carefully distinguishes between innovation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of business model in the process of disruptive innovation, and apply our framework to the case of internet shopping mall business. Our study yields two main results. First, the internet-related business model which Christensen argued as an example of disruptive innov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two distinctive and separable growth phases: a period of technology growth and a period of business model growth. Second, in the process of disruptive innovation, the notion of enabling technology plays an important bridging role that connects core technology and business model. Furthermore, we confirm that the success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depends on the degree of maturity of the enabling technologies. In conclusion, Christensen's notion of disruptive innovation can be further detailed in terms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and if there exist enabling technologies, the chance of success of the business model is higher when the enabling technology is matured rather than when the core technology is merely acknowledged as a disruptive technology.

  • PDF

A Study on Innovation and Competitive Strategy in Network-Based Economy: Case Analysis on Network Effects, Incremental Innovation in Korean Mobile Telecommunication Industry (네트워크 경제 하에서 혁신과 경쟁 전략에 대한 기반 연구: 한국 이동통신 산업 사례를 중심으로)

  • An, Kwang-Jun;Shin, Dong-Hy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1 no.2
    • /
    • pp.145-170
    • /
    • 2008
  • The existence of network is indeed the single most important factor that brings about new business phenomena in the new digital economy, especially in the IT industry. Network effect refers to a phenomenon that the increase in size of the network leads to increased network value and user utility. It determines the competitive structure of an industry and the performances of industry competitors (Shapiro and Varian, 1999).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returns and winner-take-all enjoyed by the early winner in the competition can be attributed to the existence of positive feedback which increases the value of network and induces more users into join the network (Arthur, 1996; Shapiro and Varian, 1999; Song and Lee, 2003). This research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topic of innovation and competitive strategy of network-based industries. We analyze the case of the Korean mobile communications industry, in which a shift in technological paradigm from 2G to 3G brought new changes to the competitive structure of the industry. The Korean mobile communications industry makes an ideal case for analysis since it is an industry whose value is inherently dependent upon its user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the typical increasing returns, in which a monopolizing player is enjoying firstmover's network effects. Because of the existence of network in the mobile communications industry, latecomers' disruptive innovations could not outcompete the incumbent's sustaining innovations.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lies in laying a groundwork for future studies by introducing a numerical simulation model to analyze the complexity theory and network effect.

  • PDF

A Planning Study on the Fusion Technology Project in National R&D Program(II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융합기술과제 기획연구(Ⅱ))

  • Kim, Hyun-Cheol;Son, Chung-Geun;Na, Kyoung-Hoan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7.05a
    • /
    • pp.490-495
    • /
    • 2007
  • 지식기반경제시대는 과학기술 혁신과 창조적 능력이 국가성장을 좌우함. 세계적으로 이종기술간의 융합을 통한 신시장 창출이라는 뉴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현재 처한 넛크랙트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창조형 연구 전략의 수립이 절실함. 원천융합기술은 기술의 성격상 와해적이며 블루오션 신시장 창출가능이 높으며, 따라서, 향후 미래 신산업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해서는 기초원천 및 미래태동 기술에 부합하는 사업발굴이 필요한 상황임. 이에 본 기획연구에서는 미래유망 파이오니어사업의 개념, 주요특징, 파이오니어사업에서 추구하는 원천융합기술의 제반 환경, 사업성 분석 및 과학기술적 기대성과와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등을 조사/분석하고자함

  • PDF

Tren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Policy (인공지능 관련 기술과 정책동향 및 시사점)

  • Yoon, C.W.;Kim, B.W.;Seo, J.N.;You, W.S.;Oh, J.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2
    • /
    • pp.9-17
    • /
    • 2016
  • 인공지능은 미래사회 변혁을 가져올 주요한 기반 기술로 등장하고 있으며 미국, EU, 일본 등에서는 인공지능 기술 확보가 미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인식하고, 정부와 글로벌 대기업의 주도 하에 Brain Initiative, Human Brain Project 등 대규모의 R&D를 추진 중이다. IT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은 지능형 시스템의 필수 기반기술로 컴퓨팅 시스템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고, 향후 컴퓨팅 환경을 와해적, 변혁적으로 발전시키는 토대가 될 전망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공지능의 국내외 기술 및 정책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인공지능 발전을 위한 방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알리바바는 어떻게 세계 제1의 전자 상거래 기업이 되었을까?: 알리바바 개방형 혁신의 역사 분석

  • Jo, Hyo-Bi;Yun, Jin-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07-307
    • /
    • 2017
  • 알리바바는 단기간에 세계 최고규모의 전자 상거래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어떻게 그렇게 단기간에 그것도 인터넷이 그렇게 완비되지 않은 중국에서 출발하여 세계적 기업으로 알리바바가 성장할 수 있었을까? 이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알리바바는 개방형 혁신을 통한 세계 최고수준의 창조적인 전자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을 단기간에 완비하여 갔다. 아울러, 개방형 혁신이 초래하는 복잡성이라는 비용, 즉 기업을 와해하는 원심력을 강력한 새로운 중국 기업 문화 "마윈식 소비자 신뢰 관씨 문화"를 구축하여 극복하여 왔다. 본 연구는 알리바바의 역동적인 개방형 혁신의 과정의 창발성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심력과 복잡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관씨 문화, 제도, 및 리더십의 지속적인 강화 과정을 분석한다.

  • PDF

창립10주년을 맞은 포항종합제철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1 no.4 s.107
    • /
    • pp.32-36
    • /
    • 1978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대표 박태준)는 4월 1일로 창립 10주년을 맞이 했다. 1968년 제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초중점 사업이자 개발도상국으로서는 일대 모험이라고 할 수 있는 일관제철소의 건설사업은 계획단계에서부터 숱한 우여곡절과 난관이 거듭되었다고 한다. 당시 세계은행과 대한경제협력체가 한국에서의 종합제철 사업계획의 경제적타당성을 부인사고 외채누증으로 상환능력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자, 여기에 유일한 희망을 걸고 있던 KISA(대한 국제제철 차관국)가 와해되어 개발도상국에서의 일관제철소 건설에 강한 집념을 가진 박정희대통령은 대일청구권 자금을 제철공장 건설에 활용하기로 결단을 내리게 되어 비로서 포항제철 건설이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창립 10주년을 맞는 오늘의 포항제철은 이제 건설, 조업, 경영의 각분야에서 일찍이 세계철강업계의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기적적인 성과를 실현하여 세계의 기업으로 부상하였으며 국가산업으로서 기대에 넘치는 역할을 수행하여 민족자산 제 1호로서 절대적인 위치를 점하게 된 것이다. 또한 포항제철은 금년 11월에 완성될 조강연산 850만t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단위제철소로서는 세계 12위를 점하는 신설 제철소가 된다.

  • PDF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a Disaster through STS (과학기술학으로 이해한 재난의 자기동일성(identity)에 대한 시론(試論): 라투르와 하이데거의 접점으로서의 재난)

  • Lee, June-Seo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2 no.1
    • /
    • pp.45-78
    • /
    • 2012
  • What is a disaster? And what ca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tell us about it? There might be numerous definitions about disaster. In this article, we will posit that disaster is an incident when sociotechnical system actor-network broke down against the other force in their "trial of strength". This is a process that punctualized actor-network is depunctualized, and a status that readiness-to-hand of Being recedes while pesentness-at-hand of tool-being comes forward. Using the concept of disaster as a case study, we will consider how Latourian ontology overlaps with Heideggerian philosophy of technology. This STS approach which hasn't been previously studied might provide us with new theoretical framework that enables us to construe the assemblage of technoscience and nature-society in the field of PUS or NPSS.

  • PDF

정성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화력발전소 보일러 프로세스의 고장진단

  • 김응석;오영일;변승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69-169
    • /
    • 1999
  • 최근 산업 플랜트의 공정제어 시스템은 복잡하고 대규모화되어 고장 발생시 경제적 손실과 위험성이 증폭되어 규정된 안정서와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고장검출 및 진단기법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연구하는 것으로 현대에 들어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실제 계통에 점차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고장검출 및 진단기법은 사용된 프로세스 모델의 형태, 고장검출 진단 알고리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 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된 모델에 따라 크게 1) 정량적 모델에 근거한 해석적 기법, 2) 정성적 모델에 근거한 기법, 3) 지식기반 진단 기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중 정량적 모델 기법은 대상계통의 수학적 모델에 근거하여 운전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서 고장검출 진단을 수행하는 해석적 기법으로서 근본적으로 계통의 정확한 수학적 모델을 요구하므로 불확실성을 포함한 계통 및 비선형성이 강한 계통등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정성적 모델 및 지식기반 기법은 정량적 진단 기법과는 달리 대상 프로세스에 대한 수학적 모델 대신에 운전자의 경험과 프로세스 변수간의 상호 작용 및 고장의 전파과정, 고장원인과 증상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구조적 지식에 근거한 것으로 고장원인에 대한 계통의 동작을 추론 할 수 있으며, 상황 변화에 따른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모델 및 지식기반 기법에 근거한 고장검출 및 진단 기술을 화력 발전소 보일로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정성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설비의 고장을 조기에 발견하여 고장 파급으로 인한 발전 정지 및 설비의 손상 확대를 방지하고 고장 발생시 신속한 원인 규명 및 후속 조치관련 정보들을 운전원에게 제공할 목적으로 현재 전력원에서 개발중인 지능형 경보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서로 상반되는 것들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서로 상반되는 것들이 부딛힘이 없이 공존하고 일상의 논리가 무시된다. 부정, 의심이 없고 확실한 것이 없다. 한 대상에 가졌던 생각이 다른 대상에 옮겨간다(displacement). 한 대상이 여러 대상이 갖고 있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condensation). 시각적인 순서가 무시된다. 마음속의 생각과 외부의 실제적인 일을 구분하지 못한다. 시간 상의 순서가 있다가 없다가 한다. 차례로 일어나야 할 일이 동시에 한꺼번에 일어난다. 대상들이 서로 비슷해지고 동시에 있을 수 없는 대상들이 함께 나타난다. 사고의 정상적인 구조가 와해된다. Matte-Blance는 무의식에서는 여러 독립된 대상들간의 구분을 없애며, 주체와 객체를 하나로 보려는 대칭화(symmetrization)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런 변화가 생긴다고 하였다. 또 대칭화가 진행되면 무한대의 느낌을 갖게 되어, 전지(moniscience), 전능(omnipotence), 무력감(impotence), 이상화(idealization)가 나타난다. 그러나 무의식에 대칭화만 있는 것은 아니며, 의식의 사고양식인 비대칭도 어느 정도 나타나며, 대칭화의 정도에 따라, 대상들이 잘 구분되어 있는 단계, 의식수준의 감정단계, 집단 내에서의 대칭화 단계, 집단간에서의 대칭화 단계, 구분이 없어지는 단계로 구분하였다.systems. We believe that this taxonomy i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ecause it adds clarity, completeness, and "global perspective" to workflow architectural discussions. The vocabulary suggested he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