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옹벽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33초

강우시 뒷채움재의 투수특성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거동 (Effect of Rainfall on the Behavior of MSE Wall)

  • 김대현;이익효;김선학;서준형;이광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257-265
    • /
    • 2012
  • 강우시 보강토옹벽의 붕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강우특성 및 뒷채움재 투수 특성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거동분석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특성과 뒷채움 재 투수특성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거동을 분석하고자 국내의 보강토옹벽 설계기준에 맞게 모델링 후 강우특성을 반영하여 침투해석 및 유한요소해석을 연계하여 실시하였다. 해석 결과, 강우재현기간 24시간, 48시간, 96시간 조건에서 강우발생기간 및 포화투수계수와 강우강도 비(ks/I)에 따라 보강토옹벽의 배면간극수압, 전면벽체의 최대발생변위, 옹벽전체 안전율의 변화하는 특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화투수계수와 강우강도 비(ks/I)의 조건에서 투수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옹벽 전체안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강우특성을 고려할 때 보강토옹벽의 안정을 위해서는 뒷채움재의 투수계수가 최소 $2.56{\times}10^{-5}m/sec$ 보다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

Back-to-Back 보강토옹벽의 옹벽폭비에 따른 최적 보강길이비 산정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for Optimal Reinforcement Length Ratio According to Width-to-Height Ratio of Back-to-Back MSE)

  • 박춘식;김동광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2호
    • /
    • pp.69-76
    • /
    • 2020
  • Back-to-Back 보강토옹벽은 좁은 구간에 양립하는 옹벽의 형식을 가지기 때문에 벽체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보강재가 겹치게 되어 보강재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응력 변화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전체가 거동하는 문제 등으로 설계단계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나 현재 국내에 정형화된 설계기준이나 지침이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Back-to-Back 보강토옹벽에 대해 옹벽폭 대 높이비(옹벽폭비, Wb/H)에 따른 최적 보강길이비에 대해 고찰하였다. 옹벽폭비는 FHWA 설계기준의 Case II에 해당하는 1.1H, 1.4H, 1.7H, 2.0H, 높이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3.0m, 5.0m, 7.0m, 10.0m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조건에서 수치해석을 통해 FHWA 설계기준의 적정성과 옹벽의 높이 및 옹벽폭비에 따른 최적 보강길이비를 제안하였다.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의 표면온도 저감 효과 (Reduction Effect on Surface Temperature of Reinforced Soil Wall with Vegetated Facing)

  • 정성규;이광우;조삼덕;김주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2호
    • /
    • pp.53-6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장기식생이 가능한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의 식생 환경 적합성을 모니터링하고, 전면벽체 표면온도 측정을 통해 한여름철의 콘크리트 옹벽 전면벽체의 온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 포대를 삽입한 특수 블록 벽체를 시공하여 구절초, 맥문동을 포함한 20여 종의 종자 식재 후 2년간 식생 환경을 관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 크기의 식생 옹벽을 건설하여 한여름철 식생 및 무식생 옹벽의 전면벽체 표면온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식생 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장기 식생이 가능한 블록 내에 식재된 대부분의 식물 생장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 포대를 삽입한 블록 벽체가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여름철의 식생 옹벽과 무식생 옹벽의 콘크리트 블록 표면의 온도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식생 옹벽에 비해 무식생 옹벽의 표면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생 옹벽의 전면벽체의 경우, 무식생 옹벽의 전면벽체에 비해 표면온도 증가율이 작게 나타난 반면, 냉각율은 더 크게 나타나 장기식생이 가능한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은 식생을 통해 열섬효과를 완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립식 격자 옹벽의 변형거동에 관한 모형실험 연구 (A Study on the Deformation Behavior of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Using Scaled Model Tests)

  • 배우석;권영철;김종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7권5호
    • /
    • pp.350-359
    • /
    • 2007
  • 노천광산이나 도로 철도의 대절토사면 등은 급경사를 형성하며 대부분이 토양층을 포함하지 않는 암반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암반 비탈면은 풍화와 파쇄가 발달해 있으며 경사가 심하여 표면침식에 의한 탈락과 붕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암반 비탈면의 붕괴억제 등 토압의 지지를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토류 구조물로는 현장 타설식 콘크리트 옹벽이나 석축 등이 있으며, 기존의 옹벽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구조물로 기성 부재를 결합하여 시공하는 조립식 격자옹벽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립식격자옹벽의 변형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배면 strecher의 형상과 벽체의 높이와 경사에 따른 실내모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을 통해 옹벽경사의 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변위를 측정하고 위치별 변위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옹벽을 구성하는 header와 strecher 중 상부하중 전달의 역할을 수행하는 rear strecher의 유 무와 rear strecher의 형태에 따른 옹벽의 거동특성, 옹벽 배면채움재의 변위 특성 및 작용점의 위치를 측정하고 조립식 격자 옹벽의 하중-변위 특성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조립식 격자 옹벽의 파괴는 옹벽의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파괴하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최대변형률의 크기가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동일한 경사와 높이에서 rear strecher의 형태는 최대수평변위 발생위치와 변형의 크기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며 벽체의 경사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망태 옹벽의 유지 관리를 위한 제안 (Suggestion for Maintenances of mesh gabions)

  • 백종남;신창건;박재영;홍남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271-1278
    • /
    • 2010
  • 대규모 절토사면 유지관리 시스템 운영간 적절한 장소에 합리적인 공법을 선정하여 시공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다양한 옹벽 시공 공법이 있지만 시공성과 경제성을 감안할 때 옹벽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친환경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돌망태 옹벽은 최근 사면 보강에 빈번히 시공되고 있다. 장기간 그 기능을 유지해야하는 옹벽의 경우는 유지관리가 더욱더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돌망태 옹벽의 시공 및 유지관리 점검에 대한 방안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뒷굽이 짧은 캔틸레버 옹벽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Cantilever Retaining Wall with a Short Heel)

  • 유건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0호
    • /
    • pp.17-28
    • /
    • 2018
  • 캔틸레버 옹벽의 안정성 평가에서 중요한 변수는 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과 옹벽과 함께 움직이는 뒷굽 상부의 뒤채움토사의 무게이다. 캔틸레버 옹벽의 뒷굽 길이가 충분히 길면, 뒷굽 끝단에서의 연직면에 Rankine 토압이 작용한다고 가정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해도 이론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뒷굽이 짧은 캔틸레버 옹벽에 대하여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옳지 않으며, 주동토압을 실제보다 크게 산정하므로써 비경제적인 설계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계해석방법을 사용하여 캔틸레버 옹벽에 토압이 작용하는 메카니즘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주동토압의 크기 및 합력의 위치, 뒤채움토사의 무게를 산정하였으며, 산정결과를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다. 뒷굽길이가 짧을 경우, 옹벽에 대한 안정성은 한계해석방법에 비해 기존의 Mohr원 방법은 최대 3.7%, Teng 방법은 최대 32% 크게 산정되었다.

프리캐스트 조인트 방법을 사용한 부벽식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recast joint buttress wall)

  • Kim, Joonse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66-372
    • /
    • 2016
  • 최근에 콘크리트옹벽의 경우 현장제작 방식에서 프리캐스트 생산에 의한 현장 조립방식으로 기술적 변화가 시도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옹벽을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 각각 생산한 후에 현장에서 조립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높은 부벽식옹벽에 토압이 작용하면 조립부분이 파손될 수 있으며,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리캐스트 조인트방법(PC joint method)을 사용한 부벽식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하여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3가지 높이의 옹벽(7.6m, 8.5m, 10m)에 대하여 배면 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옹벽콘크리트에 가해지는 최대 주응력은 23.3~43.2 MPa로서 앵커의 정착주변에서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보강토 옹벽 적용 현황 및 문제점 조사 연구 (A Study on Practices and Troubles of Reinforced Soil Wall)

  • 박종권;이광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65-75
    • /
    • 2012
  • 1980년 국내에 현대적인 보강토 옹벽이 도입된 이후 최근에는 경제성, 수려한 외관, 시공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보강토 옹벽이 기존의 콘크리트 옹벽을 급속히 대체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보강토 옹벽 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였다. 보강토 옹벽 시장의 확장과 더불어 벽체변형, 전면블록의 균열, 전반활동 등과 같은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주로 부적절한 설계와 시공관리에 기인한다. 또한 보강토 옹벽 시장의 급속한 성장성에 비해 설계 및 품질관리 등에서의 기술적인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의 설계 및 시공에 대한 통일된 기준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보강토 옹벽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설계, 시공 및 경제성에 대한 보다 세심한 검토가 요구된다.

원심모형실험에 의한 침하자유형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Stability for Settlement Fre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y Centrifuge Model Tests)

  • 안광국;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23-3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하는 침하형 보강토 옹벽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연결부의 침하를 허용하지 않는 일반형 보강토옹벽에 대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침하형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모형실험에서 전면판은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였으며, 보강재는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하였으며, 뒤채움지반은 화강풍화토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침하자유형 보강토옹벽은 80g의 중력수준에서 완전한 파괴상태에 도달하였으며, 일반형 보강토 옹벽이 69g의 중력수준에서 파괴된 것을 감안하면 침하자유형 보강토 옹벽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69g에서 침하자유형 보강토옹벽 저면에서의 수직토압이 일반형에 비해 16% 정도 크게 측정되었다.

  • PDF

한계평형해석과 수치해석에 의한 붕괴된 보강토 옹벽 복구 사례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Restoration of Collapsed Geosynthetics Reinforced Soil Wall Using Limit Equilibrium and Numerical Analyses)

  • 원명수;김형주;김영신;최정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1호
    • /
    • pp.107-118
    • /
    • 2013
  • 보강토 옹벽의 적용사례가 날로 증가하고, 일반화됨에 따라 그에 따른 피해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최근 들어 게릴라성 집중강우 등으로 인해 보강토 옹벽이 붕괴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면서 붕괴된 옹벽의 복구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이 논문에서는 (1) 피해상태로 쏘일네일링을 사용하여 복구하는 안과 (2) 붕괴된 보강토 옹벽에 대해 보강토체 제거 후 재시공하는 안에 대해 한계평형해석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안정성과 거동을 분석하여 설계하고 시공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검토결과, 쏘일네일링 복구 옹벽의 경우 보강콘크리트 전면벽체에서 수평변위와 전단변형률 등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재시공 옹벽은 수평변위의 경우 벽체 중앙부에서 발달하고 전단변형률은 옹벽의 저부를 중심으로 나선 형태로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해옹벽은 쏘일네일링으로 복구하였으며, 일련의 시공과정을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