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올챙이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産 참올챙이새우屬 (올챙이새우目, 참올챙이새우科) 의 2미기록종 (Two Species of the Genus Bodotria (Cumacea, Bodotriidae) from Korea)

  • 이창목;이경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3호
    • /
    • pp.259-267
    • /
    • 1997
  • 거제도와 제주도에서 채집된 올챙이새우류를 동정한 결과 Bodotria(참올챙이새우)속에 속하는 2 한국미기록종인 B. biplicata Gamo, 1964와 B. carinata Gamo, 1964가 확인되어, 각각 곰보두줄참올챙이새우와 네모참올챙이새우로 명명하여 보고한다. 특히, B. carinata의 수컷에 관한 기재는 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이로써 한국산 올챙이새우류는 총 3과 5속 10종이 된다.

  • PDF

한국산 흰올챙이새우류(올챙이새우목: 흰올챙이새우과)의 1미기록종 (A New Record of Genus Nippoleucon (Cumacea: Leuconidae) from Korea)

  • Chang-Mok Lee;Kyung Sook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2호
    • /
    • pp.257-265
    • /
    • 2003
  • 대한해협 (광양만)에서 채집된 올챙이새우류를 동정$.$분류한 결과 흰올챙이새우과(Leuconidae)에 속하는 1종, 볏갈고리채찍올챙 이새우 (Nippoleucon hinumensis)가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져 보고한다. 갈고리채찍올챙이새우속 (Nippoleucon)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한국동물학회 1975년 춘계 연구발표회

  • 김헌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2-104
    • /
    • 1975
  • 1971년 5월에 시작한 Rana catesbeiana의 토착화를 위한 실험사육은 성공되었으나 야외에서는 올챙이 성장기가 1년 2개월 걸리고 개구리로 변태한 후에도 3-4년간 성장해야 생식력을 갖게 된다. 이와같이 성장속도가 느린 것은 동면기가 길어서 6개월 동안이나 성장이 중지되기 때문이므로 겨울에도 계속 성장시키기 위해서 실내사육실험을 시도했다. 올챙이는 한 어항에 10마리씩 개구리는 2-4마리씩을 사육했다. 어항의 수온은 $226\\circ C$이상, 실온은 $18^\\circ C-20^\\circ C$로 유지했다. 올챙이는 상추, 실지렁이, 삶은 시금치와 미꾸라지로 사육하였다. 실내사육에서 올챙이의 성장기는 7개월이 단축되었고 개구리는 1년 6개월에 성숙시킬 수가 있었다. 야외와 실내사육을 병행하여 종와를 생산하면 우리나라에서도 개구리 산업을 개발할 수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PDF

한국산 옆올챙이속(올챙이새우목, 꼬마올챙이새우과)의 2미기록종 (Two Species of the Genus Cumella(Cumacea, Nannastacidae) from Korea)

  • Chang-Mok Lee;Kyung-Sook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121-139
    • /
    • 2001
  • 1992년부터 1999년 사이에 황해와 남해연안의 여러 지점에서 채집된 올챙이새우류를 동정한 결과, 옆올챙이새우속의 2한국미기록종 Cumella rigida Gamo, 1963 그리고 Cumella sadoensis Gamo, 1967이 확인되어 보고한다. 이들 중, C. sadoensis의 수컷에 관한 기재는 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되어 진다.

  • PDF

한국산 긴꼬리올챙이새우屬(올챙이새우目, 긴꼬리올챙이새우科)의 1신종 (A New Species of the Genus Diastylis(Cumacea, Diastylidae) from Korea)

  • 강범준;이경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3호
    • /
    • pp.211-220
    • /
    • 1996
  • 1992년 6월부터 1993년 12월 사이에 서해와 남해 연안의 6개 지소에서 채집된 올챙 이 새우류를 동정한 결과 Diastylis(긴꼬리올챙이새우)속에 속하는 1신종이 확인되어 Diastylis paratricinta n. sp., 가슴줄긴꼬리올챙이새우로 명명하여 기재한다. 이 신종은 일본 산 D. tricinta(Zimmer, 1903)와 매우 유사하나 갑각의 뒤쪽 양측면에 horizontal ridge가 있 어 쉽게 구별된다.

  • PDF

한국산 코올챙이새우류(올챙이새우목, 코올챙이새우과) 3미기록종 (Three New Records of Gynodiastylid Cumaceans (Cumacea, Gynodiastylidae) from Korea)

  • Lee, Chang-Mok;Kim, Young-Hyo;Lee, Kyung-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99-120
    • /
    • 2002
  • Gynodiastylidae (코올챙이새우)과에 속하는 3 한국미기록종, Gynodiastylis anguicephala Harada, 1962, G. tubicola Harada, 1962 그리고 G. rotundicaudata Gamo, 1961이 확인되어 보고한다. 이들의 구기부 형질이 처음으로 기록되며, G. rotundicaudata의 수컷에 관한 기재는 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되어진다.

한국산 올챙이새우류(갑각 상강, 올챙이새우 목)의 3미기록종 (Three Species of Cumaceans (Crustacea, Cumacea) from Korean Waters)

  • Chang Mok Lee;Kyung Sook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2호
    • /
    • pp.71-89
    • /
    • 1998
  • 1996년부터 1997년 사이에 서해 연안에서 집중적으로 채집된 올챙이새우류와 그 이전에 다른 연안에서도 채집되어 보관 중이던 올챙이 새우류를 동정한 결과 Lampropidae과와 Bodotriidae과에 속하는 3 한국미기록종이 확인되어 보고한다: Hemilamprops californicus Zimmer, 1936, Bodotria parva Calman, 1907, Iphinoe sagamiensis Gamo, 1958. 이 중에서 Hemilamprops 속과 Iphinoe 속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 PDF

주요(主要) 논잡초(雜草) 올챙이고랭이와 사마귀풀 생태(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Emergence and Ecology of the Scirpus hotarui and Aneilema japonica on Paddy - Field)

  • 김소연;송석길;김봉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9-113
    • /
    • 1985
  • 1.잡초(雜草)의 발생심도(發生深度)는 2개초종(個草種) 다같이 지표면(地表面)에서 발생(發生)이 많았으나 올챙이고랭이는 3cm깊이에서도 다소(多少) 발생(發生)하였고 그이상 깊이에서는 발생(發生)되지 않았으마 사마귀풀은 주로 표면(表面)에서 발생(發生)이 많았다. 2. 잡초(雜草)의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한 시기(時期)가 8월(月)18일(日) 이전이였고 그 이후(以後)에는 생육량(生育量)이 적었으며 3. 일장(日長)의 영향(影響)은 올챙이고랭이 및 사마귀풀 공히 단일처리(短日處理)하므로써 초장(草長)이 작고 분지수(分枝數)도 적었다. 개화기(開花期)는 단일처리(短日處理)하에서 빨라지는 영향(影響)을 나타냈다. 4. 사마귀풀은 재생력(再生力)이 1회절제(回切除)하므로써 재생(再生)되지 않았으며 올챙이고랭이는 분얼성기(分蘖盛期) 절제(切除)가 가장 재생력(再生力)이 높았다. 5. 올챙이고랭이 월동주(越冬株) 자체(自體)는 고사(枯死)가 없이 100% 재생(再生)이 가능하였고 근경부착수(根莖附着數)가 많을수록 발생(發生)이 잘되었다. 6. 잡초(雜草)와 수도수량(水稻收量)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각 초종(草種) 공(供)히 잡초수(雜草數)가 많을수록 수량(收量)이 낮았으며 그 원인(原因)은 수수(穗數)의 감소(減少)가 수량(收量)에 미친 영향(影響)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생종 포식자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에 관한 연구 (Ecological Control of Invasive Alien Species, American Bullfrog (Rana catesbeiana) Using Native Predatory Species)

  • 노선호;정진석;유영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61
    • /
    • 2017
  • 습지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를 목적으로 효과적인 생물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6종의 토종 포식성 어류와 6종의 조류를 이용하여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대상으로 포식률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어류 중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 메기(Silurus asotus), 가물치(Channa argus) 3종은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모두 포식하였고, 그 중 전자를 더 선호하였다. 그러나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 드렁허리(Monopterus albus), 뱀장어(Anguilla japonica) 3종은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전혀 섭식하지 않았다. 그리고 고니(Cygnus columbianus), 큰고니(Cygnus cygnus), 쇠오리(Anas crecca), 원앙(Aix galericulata), 홍머리오리(Anas penelope), 가창오리(Anas formosa) 등 실험에 사용한 6종의 조류 또한 황소개구리의 올챙이와 아성체를 전혀 먹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국내 습지생태계에서 토종 물고기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의 제어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