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올레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19초

N-메틸루티돈의 루미네센스에 관한 연구 (Luminescence Studies of N-Methyllutidone, an Unusually High Triplet Energy Sensitizer)

  • 심상철;현명호;채규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5-51
    • /
    • 1978
  • $77^{\circ}C$K 에탄올 매트릭스에서 N-메틸루티돈의 발광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형광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양자 수득률이 0.1과 수명 0.2초의 강한 인광이 관찰되었다. 인광의 0-0 띠로부터 이 화물합의 삼중상태 에너지가 85.1kcal/mole임을 알았으며 2-헥센, 트란스-1,4-디클로로부텐-2와 같은 높은 삼중상태 에너지를 가진 올레핀들이 N-메틸루티돈에 의해 효과적으로 시스${\leftrightarrow}$트란스광이성질화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아 이 높은 삼중상태 에너지가 정당함을 알 수 있다. 0-0띠의 polarization이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부터 발광상태가 $({\pi},{\pi})^3$ 상태임을 알 수 있다. LiCl과 같은 알카리염의 양이온과 N-메틸루티돈이 배위결합을 함으로써 $({\pi},{\pi})^3$$(n,{\pi})^3$상태 사이의 에너지 차이가 크게 되기 때문에 알카리 금속염은 인광의 세기를 증가시킨다.

  • PDF

원자외선에 의한 공액구조 자기조립 단분자막의 패턴 제작 및 전기적 특성 (Studies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Pattern Fabrication of Conjugated Self-Assembled Monolayer by Deep UV Light)

  • 오세용;최형석;김희정;박제균
    • 폴리머
    • /
    • 제29권4호
    • /
    • pp.331-337
    • /
    • 2005
  • 일반적으로 꼬리부분에 카복실산을 갖는 알칸티올레이트는 바이오 물질의 고정화 활성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칸티올레이트의 전기적 성질과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액구조를 갖는 방향족계 티올레이트를 사용하여 cytochrome c와 같은 단백질을 고정화시켰다. 방향족계 자기조립 단분자막의 패턴 형성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행하였다. 4'-Mercapto-biphenyl-4-carboxylic acid와 4-mercapto-[1,1';4',1']terphenyl-4'-carboxylic acid와 같은 방향족 티올레이트 분자를 금 기판에 흡착시킨 다음 네거티브 마스크를 가지고 원자외선 조사에 의해 산화반응을 시킨 후 deioniz water로 현상하였다. 공액계 자기조립 단분자막의 패턴형성과 전기적 성질은 STM과 AFM 측정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cytochrome c 또는 ferrocene amide를 패턴이 형성된 금 기판에 고정화시킨 다음 cyclic voltammeoy 측정을 통해 공액계 방향족 티올레이트의 전기적 활성을 검토하였다.

마이크로다공성재료의 합성과 촉매적성능 (CHA, ERI, and MTT types) (Synthesis and Their Catalytic Performance on Microporous Materials(CHA, ERI and MTT types))

  • 강미숙;박종열;엄명헌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7-123
    • /
    • 1999
  • 삼차원적 골격구조를 가지며 세공의 크기와 산성도가 유사한 SAPO-44, SAPO-34(CHA type), SAPO-17(ERI type), 그리고 1차원적 고격구조를 가진 ZSM-23(MTT type) 촉매재료를 합성하고, 메탄올 전환방응에 있어서의 촉매적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들의 산성도 세기는 SAPO-44>SAPO-34>SAPO-17>ZSM-23 순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전환반응을 비교한 결과, 삼차원적 골격구조를 가지고 있는 SAPO-34와 SAPO-44에서 높은 에티렌 선택성이 얻어졌으며, 특히 Ni을 골격내에 도입시켰을 때 그 선택율은 더욱 증가하였다. 반면에 1차원적 골격구조를 가지고 있는 ZSM-23에서는 입체적 형상선택성의 감소로 올레핀보다는 파라핀의 선택율이 우세하였다.

  • PDF

알킬 글리시딜에테르와 지방산의 축합반응 연구 (Study on the Condensation Reaction of Alkyl Glycidyl Ethers and Fatty Acids)

  • 김지현;황현아;이영석;이병민
    • 공업화학
    • /
    • 제23권4호
    • /
    • pp.416-420
    • /
    • 2012
  • 지방산 디에스테르 합성의 편리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긴 사슬 디에스테르는 천연윤활제와 절연유로서 많이 사용된다. 옥틸, 도데실, 헥사데실, 옥타데실 그리고 옥타-9-엔일 글리시딜 에테르 계열을 이러한 디에스터 구조를 합성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알킬 글리시딜에테르를 올레인산 그리고 옥타노익산과 같은 지방산과 반응시켰으며, one-step / two-step 축합반응을 비교하였다. 생성물인 1-O-acyl-2-O, 3-O-dioctadec-9-enoylglycerol은 $^{1}H-NMR$, FT-IR 그리고 HR/MS 스펙트럼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수율은 55~60%이었다.

음향화학법을 이용한 균일한 나노 자성체의 합성 (Synthesis of Monodisperse Magnetite Nanocrystallites Using Sonochemical Method)

  • 조준희;고상길;안양규;송기창;최은정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3-167
    • /
    • 2006
  • 초음파 조사 및 계면활성제 첨가에 따른 입자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침전법, 음향화학적 침전법 그리고 게면활성제를 첨가한 음향화학적 침전법으로 나노 입자를 합성하였고, X-선 회절실험을 통하여 마그네타이트가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침전법, 음향화학적 침전법으로 합성한 입자의 크기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음향화학적 침전법으로 합성한 입자보다 크게 얻어졌고, 초음파 출력이 증가 할수록 크기는 증가하였다. 계면활성제로 올레인 산을 첨가한 음향화학적 기법에서는 게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라 입자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합성할 수 있었고, 단순 침전법이나 음향화학적 기법에서 보다 생성되는 입자의 크기 분포가 좁게 나타났다. 마그네타이트 나노 입자들의 자기적 특성을 SQUID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실온에서 모두 초상자성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반응 올레핀계 모노머 회수를 위한 복합막의 제조 (Preparation of Composite Membranes for Recovery of Unreacted Olefin Monomers)

  • 김현기;김상용;김성수
    • 멤브레인
    • /
    • 제20권4호
    • /
    • pp.297-303
    • /
    • 2010
  • 폴리올레핀 중합공정에서 발생되는 미반응 올레핀 모노머를 회수하기 위한 분리막/냉각응축 공정에 적용할 복합막을 용액 코팅공정과 플라즈마 중합공정의 두가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Polysulfone (PSF) 지지체 위에 poly(dimethylsiloxane) (PDMS) 용액을 코팅하였고 코팅 용액에서 prepolymer의 함량이 높을수록 올레핀 모노머의 선택도는 증가하였으나 막이 치밀하여지는 관계로 절대 투과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물의 복합막 투과는 용액확산 메커니즘에 의한 것으로서 임계온도가 높을수록 분리효율은 향상되고 molar volume이 증가할수록 투과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가교시간에 siloxane 계열의 물질을 plasma 종합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는데 PSF 및 polypropylene (PP) 지지체를 사용하였다. 특히 지지체로 기존의 용액코팅 공정에서 사용되기 어렵던 PP 지지체 위에도 복합막을 코팅할 수 있었으며 용액코팅 공정으로 제조된 복합막과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한국산 해면의 지질 성분 연구 (Lipids Constituents of the Korean Marine Sponges)

  • 김인규;박선구;박성혜;장성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5-89
    • /
    • 1991
  • 한국 남해안 소흑산도에서 채집한 해면 V.japonica H.로부터 통상적인tetradecanoic 및 hexadecanoic methyl ester 이외에 탄소가 홀수인 pentadecanoic, heptadecanoic methyl ester와 가지달린 12-methyltetradecanoic, 14-methylpentadecanoic, 15-methylhexadecanoic 및 14-methylhexadecanoic methyl ester가 발견되었으며, 주 sterol 성분으로는 cholesterol과 소량의 ergost-25-ene-3,5,6-triol이 검출되었다. 한편, 여수 돌산도에서 채집한 해면 H.sinapium의 주 sterol성분은 5${\alpha}$-cholestan-3${\beta}$-ol이었고 cholesterol은 소량으로 얻어졌다. 지방산으로는 팔미틴산, 팔미토레인산,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및 리놀레인산 에틸에스터 이외에 상당량의 arachidonic산 에틸에스터가 함유되어 있었다. 상기 지역에서 채집한 또 다른 해면에서는 상당량의 tetradecanoic tetradecyl 및 hexadecyl ester와 sterol 성분으로 cholesteryl acetic 및 fatty acid ester가 함유되어 있었다.

  • PDF

한우의 올레인산과 근내지방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내 에스엔피 규명 (Major SNP identification for oleic acid and marbling score which are associated with Korean cattle)

  • 오동엽;여정수;이제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5호
    • /
    • pp.1011-1024
    • /
    • 2014
  • 동물 유전학에 있어 한우의 우수한 품질개발과 통계학의 역할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한우에서 25 30개월에 특이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일어나, 쇠고기 맛에 영향을 미치는 불포화지방산 및 육질등급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6개의 유전자 (SCD, SREBPs, $PPAR{\gamma}$, FABP4, FASN, LPL)내의 30개 에스엔피와 가계 정보가 정확하고 도체 기록이 되어있으며,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과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분석한 한우 개체 513두에 대하여 연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중 FABP4; g.3977-325 T>C 에스엔피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선정된 에스엔피의 F-값은 91.36 및 30.00으로 다른 29개의 에스인피들 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현장 농가에 직접적으로 재 검정한 결과 1+등급 이상이 나올 확률이 70.10%로 우수한 마커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보리쌀, 할맥 및 납작보리의 영양성분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arled, Cutted and Pressed Barleys)

  • 정은영;염초애;김성곤;장명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0-294
    • /
    • 1987
  • 우리나라에서 보리 가공품으로 식용되고 있는 보리쌀, 할맥 및 납작보리의 영양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보리쌀 및 납작보리의 일반 성분 및 열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할맥은 단백질 및 지방질 함량이 다소 낮았으며 열량은 보리쌀과 납작보리와 같은 값을 보였다. 칼슘과 인의 비는 평균 0.143이었고 필수 아미노산과 질소와의 비는 평균 1.66이었다. 아미노산 값은 할맥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납작보리이었다. 주 지방산은 리놀레산, 팔미트산 및 올레산으로서 전체의 92%를 차지하였다. 고도 불포화 지방산과 포화 지방산의 비는 납작보리가 가장 낮았다.

  • PDF

고추씨 기름의 정제와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cessing and Analysis of Red Pepper Seed Oil)

  • 김재철;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6-132
    • /
    • 1980
  • n-hexane으로 추출한 고추씨 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붉은 색과 매운 맛의 제거를 시도하였다. 예상한 대로 붉은 색은 탈색 및 탈취 공정중에서 제거되었으나 매운 맛을 내는 capsaicin의 제거에는 탈취 공정은 별 영향이 없었고 탈색 공정이 아주 효과적임을 알았다. 4 %의 산성 백토를 가지고 탈색을 했을 때 capsaicin은 완전히 제거 되었다. 또한 기름 중의 capsaicin의 산성 백토에의 흡착은 산성 백토의 양을 증가함에 따라 대수적으로 감소했고 다음과 같이 Freundlich 식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 ${\frac{x}{m}}=1.1\;c^{0.31}$, 여기서 x는 백토에 흡착된 capsaicin의 양 ((mg/ml), m은 산성 백토의 양 (%), 그리고 c는 탈색 후의 잔존 capsaicin의 양 (mg/ml)이다. 고추씨 기름의 중성 지질의 구성을 보면 95.87 % triglyceride, 1.55 % sterol ester, 1.45 % monoglyceride, 0.78 % 유리 지방산, 0.2 % diglyceride와 0.15 % sterol이었다. 또한 HPLC에 의한 고추씨 기름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리놀산 (78.79 %), 팔미틴산 (15.27 %)과 올레인산 (2.93 %)이 주 지방산이었고 리놀린산은 0.63 %로 극히 적은 량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