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톨로지공학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Ontology for a Content-Based Expert System Document Categorization (내용기반 문서분류 전문가시스템을 위한 온톨로지 연구)

  • Seo, Lai-W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 /
    • v.3 no.1
    • /
    • pp.47-56
    • /
    • 1998
  • This is a study on an ontology development for a content-based Expert System Document Categoriz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et up the concept of ontology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ontology on Expert System. Based on this concept of ontology, it found noems for development of Expert System in the field of fine arts and showed Ontology hierarchical categorization.

  • PDF

SPARQL-to-SQL: Cache Manager for Advanced Query Efficiency (SPARQL-to-SQL: 질의 성능 향상을 위한 캐시 관리자)

  • Kim, Seok-hyun;Lee,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765-766
    • /
    • 2009
  • 시맨틱(Semantic) 온톨로지(Ontology)에서 SPARQL 질의언어는 W3C 로부터 표준으로 제정된 이후부터 활발히 연구 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온톨로지 기반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다방면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현재 개발된 온톨로지 어플리케이션들은 시맨틱 데이터 저장 및 질의 처리가 파일시스템 기반 및 데이터베이스 기반 방식으로 나누어 진다. 그 중 데이터베이스 기반 방식은 최근부터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실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도 있지만, 아직 질의 최적화 기술에 대해서는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한 온톨로지 데이터 저장 및 질의 처리 방법에서 캐시를 이용한 질의 속도 향상 방법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SPQARQL에서 변환된 SQL 질의 수행시 그 결과를 캐시하고, 후속 SQL 질의를 이전 질의와 비교하여 이전 SQL 질의와 일치하거나 그 결과가 포함 될 경우 캐시된 결과를 사용해 쿼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Predicate Ontology for Automatic Ontology Building (온톨로지 자동 구축을 위한 서술어 온톨로지)

  • Min, Young-Kun;Lee, Bo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28-31
    • /
    • 2008
  • 시맨틱 웹의 기반인 온톨로지는 검색, 추론, 지식표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잘 구성된 온톨로지를 개발하는 것은 시간적, 물질적으로 많은 자원이 소모된다. 온톨로지를 자동으로 구축하면 이러한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처리를 온톨로지 자동 구축에 사용하기 위하여 자연어의 서술부분을 온톨로지의 서술어로 변환할 수 있는 서술어 온톨로지를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서술어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자연어 문장의 서술어 부분을 온톨로지의 predicate 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또한 제안된 온톨로지를 온톨로지 언어인 OWL을 사용하여 구축하였다.

A Model for SPARQL-to-Original SQL Translation (SPARQL-to-Original SQL 변환 모델)

  • Sung, Hajung;Gim, Jangwon;Lee, Sukho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06-1409
    • /
    • 2012
  • 시맨틱 웹 환경을 통해 수 많은 온톨로지가 생성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저장하기 위한 온톨로지 저장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저장된 온톨로지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SPARQL 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었다. 현재까지 많은 데이터들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SPARQL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저장소의 모델에 맞게 SPARQL 을 변환 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연구된 SPARQL-to-SQL 변환 모델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트리플 형태로 변환하여 온톨로지 저장소에 저장해야 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트리플 형태로 변환하여 온톨로지 저장소에 저장하지 않고 SPARQL 질의문의 변환만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질의 할 수 있는 SPARQL-to-Original SQL 변환 모델을 제안한다.

Design of Intelligent U-Learning System for Adaptation of Learning Contents (학습 컨텐츠 적응화를 위한 U-러닝 시스템 설계)

  • Kim, Jeong-Seok;Jang, Hyo-Hyung;Kim, Bong-Hoi;Choi, Eui-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788-791
    • /
    • 2009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러닝 서비스는 언제, 어디서, 어떠한 물리적 장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u-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수준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진단 기법이 필요하다. 또한 u-러닝 서비스에서 학습자의 학습 환경을 정확히 파악하여 이에 적절한 형태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적응화 기술도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 모델링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프로파일과 학습 컨텐츠를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프로파일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온톨로지 추론 규칙을 정의함으로서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학습자에게 적절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온톨로지 모델링과 추론을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보와 각 이종 디바이스에 대해 적합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u-러닝 시스템을 제안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ntology Management Tool (온톨로지 저작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Won-Pil;Kim, J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5 no.6
    • /
    • pp.187-193
    • /
    • 2008
  • Nowadays, the study on e semantic web has been actively progressing for processing the web data semantically. For actualizing the semantic web environment, the core task is to build the ontology that defines the concepts and relations between concepts about the all things. Many ontology languages such as OWL, RDF(S), DAML+OIL were developed for building the ontology. And the many ontology tools were also implemented based on them. Although, many language and tools were researched, the practical use of the ontology tools is limited to the experts and researchers about the ontology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the vocabulary, weak understanding about the ontology theory and the difficulty of the use of the ontology tools. And there are no studies on the reuse of constructed huge ontology. Therefore, in our study we design and implement the OWL ontology management tool that both the ontology experts and general users who want to build the ontologies are able to construct the ontology easi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main modules used in our tool and features of our tool.

Building a Schema of the Korean DBpedia Ontology (한글 DBpedia 온톨로지 스키마 구축)

  • Kang, Min-Seo;Kim, Jae-Sung;Kim, Sun-Dong;Lee, Jae-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139-142
    • /
    • 2014
  • 시맨틱웹의 구현 도구로써 온톨로지가 있다. 온톨로지는 지식개념의 의미적 연결을 하는데 사용된다. 영어 위키피디아를 토대로 한 영어 DBpedia 온톨로지는 스키마(owl파일 형태)와 인스턴스 모두 잘 구축이 되어있다. 그리고 영어 DBpedia의 각 Class에 한글은 레이블의 형태로 달려있다. 하지만 한글 레이블을 가지고 있지 않은 영어 DBpedia의 Class들이 절반이 넘기 때문에 한글 Class들만으로 된 스키마 구축은 의미가 있다. 한글 Class들로 만들어진 스키마가 있다면 두 한글 온톨로지 사이의 클래스 매칭 알고리즘을 위한 실험이나 한글 온톨로지 자동 증강 알고리즘의 연구 등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구축한 한글 DBpedia 온톨로지 스키마는 영문 DBpedia 온톨로지의 계층구조와 한글 클래스와 영문 클래스 사이의 매핑정보를 바탕으로 구축되었다. 그리고 기존에 제공되는 한글 DBpedia 온톨로지 클래스의 영어매핑 정보가 있는 한글 프로퍼티와 영어매핑 정보가 없는 한글 프로퍼티를 모두 한글 클래스의 프로퍼티로 입력해주었다.

  • PDF

Ontology-Based Focused Crawling Combined with Neural Network (신경망을 적용한 온톨로지 기반의 Focused Crawling)

  • Zheng, Hai-Tao;Kang, Bo-Young;Namgoong, Hyun;Kim, Hong-G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128-133
    • /
    • 2007
  • Focused crawling은 검색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웹 문서 수집단계에서, 미리 정의된 토픽 집합들과 관련성을 가지는 웹 문서를 수집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이러한 focused crawling 연구에서 보다 효과적인 웹 문서 수집을 위해 주어진 토픽에 대한 양질의 배경지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온톨로지가 활발히 활용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온톨로지 기반 focused crawling 연구는 토픽과 웹 문서 간의 관련성 측정을 위하여, 주어진 토픽과 관련있는 온톨로지 내 각 개념들에 직관에 의존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활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직관에 의존한 가중치부여 기법은 안정된 수집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최적화된 가중치 값을 얻기가 힘든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념에 대한 가중치가 학습에 의하여 자동으로 결정되도록,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온톨로지 기반 focused crawling 기법을 제안한다. 웹 상에서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한 결과 기존의 온톨로지 기반 수집 기법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Method on Relative Relation Extraction based on Ontology (온톨로지 기반 친족관계 추출 방법)

  • Hwang, Myung-Gwon;Choi, Dong-Jin;Kim, Pa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89-290
    • /
    • 2009
  • 시맨틱 웹의 발전과 더불어 소셜 네트워크 자동 구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온톨로지를 기반의 소셜 정보 추출에 대한 방법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이에 필요한 온톨로지 모델링, 사람들 사이의 관계 추출을 위한 패턴 정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온톨로지와 패턴을 기반으로 역사적 인물들의 친족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소설 정보의 추출에 대한 가능성을 미리 짐작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