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실기체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Using IS Membranes (용융염 무기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분리에 관한 연구)

  • 한건우;김태정;이건홍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10a
    • /
    • pp.26-27
    • /
    • 1994
  • 이산화탄소는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온실 기체로 알려져 왔으며 이에 따라 고온의 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분리해 낼수 있는 기술이 국가 산업적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막을 이용한 기체 분리 기술은 낮은 가격, 비교적 간단한 공정상의 잇점 등 때문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분리 기술이며, 특히 무기막은 열적, 화학적 안정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혹독한 조건에의 응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지지체에 염을 함침시킨 무기막(Immmobilized Salt Membrane)을 제조하여 기체 분리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Analysis on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Dry-air (Dry-air의 절연 특성 분석)

  • Bang, Seungmin;Mo, Young Kyu;Lee, Onyou;Kim, Junil;Kang, Jong O;Lee, Hongseok;Nam, Seokho;Kang, Hyoungk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195-1196
    • /
    • 2015
  • 최근 급격한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해 전력기기의 종류와 설치개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수많은 고전압 전력기기의 운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파괴를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고전압 전력기기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SF6와 같은 기체 절연체는 온실가스를 유발시키며, 현재 여러 나라에서는 고전압 전력기기로부터 방출되는 CO2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일본 교토에서 180여개의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의 의무를 나누고자 교토의정서를 채택하였고, 온실가스를 유발하는 SF6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기체 절연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기체 절연체인 Dry-air의 절연파괴와 부분방전 개시전압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구 전극의 크기와 전극 사이 간격 조건에서 AC 절연파괴 및 부부방전 개시전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산출한 전계 이용률을 고려하여 절연파괴와 부분방전 개시전압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구 전극의 크기와 전극 사이 간격이 증가할수록 절연파괴와 부분방전 개시전압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부분방전이 먼저 개시되고 절연파괴로 이어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계 이용률이 0.52 이상에서는 부분방전이 개시되지 않고 곧바로 절연파괴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limate Effect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Microbial Communities in Wetlands (기후변화가 습지 내 온실기체 발생과 미생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 Kim, Seon-Young;Kang, Ho-Je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9 no.3
    • /
    • pp.161-169
    • /
    • 2007
  • Global climate changes including elevated $CO_2$, drought, and global warming may influen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wetlands. A variety of microbial communities including denitrifiers and methanogens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such processes. In this paper we summarize current knowledge on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s on $CO_2,\;CH_4$, and $N_2O$ production and microbial communities mediating those processes in wetlands. Elevated atmospheric $CO_2$ and warming generally increase gas emissions, but effects of droughts differ with gas type and drying level. The responses of microbial community to climate changes in terms of composition, diversity and abundance are still in question due to lack of studies in wetlands. Based on the present review, it is suggested that future studies on microbial processes should consider microbial commun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microbial function and structure with divers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climate changes. Such knowledge would be crucial to better understand and predict accurately any shifts in ecological functions of wetlands.

Thermodynamic Analysis of $SF_6$ Separation Process Using Gas Hydrate Formation (하이드레이트 형성법을 이용한 $SF_6$ 기체 분리공정의 열역학적 특성 분석)

  • Cha, In-Uk;Lee, Seung-Min;Lee, Ju-Dong;Lee, Gang-Woo;Seo, Yo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541-544
    • /
    • 2009
  • $SF_6$는 이산화탄소의 23,900배의 지구온난화지수를 가지는 온실가스로서 절연성이 뛰어나 산업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소+$SF_6$로 구성된 혼합기체로 부터 $SF_6$를 효과적으로 분리/회수하기 위하여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실험은 275-290 K의 온도범위와 3-30 bar의 압력범위에서 질소 + $SF_6$ (10, 30, 50, 70%)의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각 조성에 따른 하이드레이트(H)-물(LW)-기상(V)의 3상 평형점을 측정하였다. 또한, 고체의 하이드레이트 내부에 포집된 혼합기체의 조성과 포집되지 않은 기상의 조성을 분석함으로써 하이드레이트 형성을 이용한 공정에서의 기체분리효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하이드레이트 생성반응 동안 시간에 따른 혼합기체의 조성변화를 측정하였다. 276.15 K에서 50%의 $SF_6$가 포함된 혼합기체가 하이드레이트를 형성을 경우 하이드레이트상에는 85%의 $SF_6$가 포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한 $SF_6$ 분리 공정의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며 다른 혼합 기체의 분리 공정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impact of water vapour on the permeation of $CO_2$/O_2$/$N_2$through polyethersulfone membrane (PES 중공사막의 $CO_2$/O_2$/$N_2$ 기체 분리 특성에 미치는 수분의 영향)

  • 이상윤;신효진;김정훈;장봉준;이수복;김범식;김진수;강득주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4.05b
    • /
    • pp.168-171
    • /
    • 2004
  • 이산화탄소는 메탄, 오존, 산화질소, CFC등의 온실기체 중 약 50%를 차지하는 물질로서 이산화탄소 발생의 저감과 함께 회수 기술의 개발을 통한 배출량 억제는 환경적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각종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성분을 가진 다성분계 배가스내에 존재하는 10%내외의 이산화탄소만을 분리정제 농축하여 메탄, 메탄올 등의 다른 화학물질의 제조의 원료, 신에너지원, 고부가가치의 신제품 등으로 전환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중략)

  • PDF

Potential Feedback of Agroecosystem to Climate Changes (농업생태계의 기후변화 관련 피드백 기능)

  • Lee Byong-Lyol;Guh Ja-Ock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 no.2
    • /
    • pp.151-159
    • /
    • 1999
  • 지구규모의 대기-지표-생물권(Atmo-Geo-Bio-Sphere)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Interaction)의 피드백(Feedback)의 결과로 야기되는 기상변화는 아직도 이해를 위한 우리의 노력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자연현상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궁극적으로는 환경변화에 순응하여 생태계의 안정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므로 생물자원의 관리분야라 할 수 있는 농업생산도 결국 기상자원의 변화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인간활동인 것이다. 최근 빈발하고 있는 세계적인 이상기상의 출현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과도한 인간활동에서 야기된 대기질의 악화에 기인하는 비가역적이고 비선형적인 현상이라는데 불확실성과 심각성이 매우 크다. 지구상의 모든 농업생태계는 기상의 영향을 크게 받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기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생물권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다. 농업활동의 결과는 항상 크던 작던 간에 대기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다시 상호작용과 피드백에 의해 기상과 기후를 변화시키는 동인이 될 수 있다. 지구환경변화와 농업과의 관계는 지금까지는 주로 "기후변화가 농업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접근방법을 택하여 왔다. 여기에서는 이와는 달리 "농업활동이 기후변화와 변동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과 잠재력"에 대한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농업과 기상과의 상호작용과 피드백효과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견하고자 하였다. 상호작용 중 먼저 기후학적 변화원인으로 관심대상이 되고 있는 농업생태계의 온실기체 방출과 고정의 측면에서 이와 연관성이 높은 농업활동별로 온실가스의 방출/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고, 다음으로 생물지리화학적 및 생물지리물리학적 해석 방법을 검토 소개하였다. 한편 농업활동에 따른 지표면 특성의 변화가 국지기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를 에너지수지와 수분수지 관점에서 소개하였으며, 끝으로 농업활동의 근거지인 농촌지역의 인문사회학적 변화와 농업활동간의 관계, 그리고 이들이 기후변화/변동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수 있는 잠재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 PDF

Simulation on Recovery of Methane Greenhouse Gas from Biogas Using 3 Stage Membrane Modules (바이오가스로부터 온실가스 메탄 회수를 위한 3단 분리막 공정 모사)

  • Lee, Yongtaek
    • Membrane Journal
    • /
    • v.28 no.4
    • /
    • pp.243-251
    • /
    • 2018
  • Methane is one of the important greenhouse gases and methane is the major component of the biogas. A multiple stage membrane process was developed and analysed with the numerical analysis so that the mole fraction of methane in the final product could be kept higher than 0.95 and simultaneously the recovery of methane was also maintained higher than 99% from the biogas using 3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which were properly connected. As the feed pressure of the biogas, the mole fraction of methane in the biogas and the membrane area in the membrane module are increased, the methane mole fraction of the final product are found to be increased. However, a proper membrane area in the module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in order to achieve the satisfactory goal of 0.95 mole fraction of methane and 99% recovery of methane from the biogas. Even if the multiple membrane process is utilized with the properly selected membrane modules, the limited operating ranges have to be applied in the following parameters : the feed pressure, the flow rate, the mole fraction of methane in the biogas to get both the target methane concentration and the recovery rate of methane.

PVA-based Graft Copolymer Composite Membrane Synthesized by Free-Radical Polymerization for CO2 Gas Separation (자유 라디칼 중합법을 활용한 CO2 기체분리용 PVA 기반 가지형 공중합체 복합막)

  • Park, Min Su;Kim, Jong Hak;Patel, Rajkumar
    • Membrane Journal
    • /
    • v.31 no.4
    • /
    • pp.268-274
    • /
    • 2021
  • One of the chronic problems in the issue of global warming is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Carbon dioxide (CO2), which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various greenhouse gases, has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by humans to separate it. From this point of view, a poly(vinyl alcohol) (PVA)-based copolymer with acrylic acid monomer was utilized in a gas separation membrane in this study. We employed a free radical polymerization to fabricate PVA-g-PAA (VAA) graft copolymer. It was utilized in the form of a composite membrane on a polysulfone substrate. The proper amount of acrylic acid reduced the crystallinity of PVA and increased CO2 solubility in separation membranes. In this perspective, we suggest the novel approach in CO2 separation membrane area by grafting and solution-diffusion.

[ $CO_2$ ] Sequestration in Geological Structures in the Maritime Area: A Preliminary Review (이산화탄소 해저 지질 구조 격리: 기술 현황과 제도 예비검토)

  • Hong, Gi-Hoon;Park, Chan-Ho;Kim, Han-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8 no.4
    • /
    • pp.203-212
    • /
    • 2005
  • Anthropogenic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particularly carbon dioxide($CO_2$) which arises mainly as wastes from the fossil fuel burning processes, are causing global warming.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become increasingly felt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sea level rise and extreme weather. The more direct consequences of the elevated atmospheric $CO_2$ on the ocean is the acidification of the surface ocean which brings a far reaching adverse impact on the life at sea and probably on the whole ecosystem of the planet. Improvement in energy efficiency and use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are being made to reduce $CO_2$ emissions. However, a rapid transition to alternatives seems unachievable within a few decades due to the constraints on the associated technology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the world, since fossil fuels make up approximately 85% of the world's commercial energy demands. It has now been recognized that capture and geological sequestration of $CO_2$ could significantly reduce its emissions from fossil fuel utilization and therefore provides the means to rapidly achieve large reductions in $CO_2$ emissions(excerpts from London Convention, LC/SG 28, 2005). In Korea, well-developed sedimentary basins are spread over the vast continental shelf and slope regions, whereas, the land is densely populated and limited in area. Consequently, the offshore area is preferred to the land for the sites for geological sequestration. The utilization of the offshore area, however, may be subject to international agreements including London Convention. In this paper, the recent trends in technologies and regulations for $CO_2$ capture and geological sequestration are described to encourage its applications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