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실가스 배출

Search Result 1,28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Fuel Mix Change Considering the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탄소배출권을 고려한 전원구성변화에 대한 연구)

  • Jeong, Hui-Won;Ku, Bon-Hui;Cha, Jun-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81-482
    • /
    • 2015
  • 2015년부터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해 교토의정서에서 제시한 메커니즘 중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를 도입하였다. 시장개념이 기본인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감축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미 선진국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움직임들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배출권 거래 제도는 유럽을 중심으로 활성화 되었다. 이와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통하여 전력 발전부문에서 큰 감축효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2008년 서유럽으로부터 시작된 유럽지역 경제악화는 배출권 제도의 예상치 못한 단점을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이와 다르게 미국의 경우 배출권 제도가 아닌 전원구성변화를 통해 비교적 안정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였다. 기존 기저 발전원을 담당하던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을 대체하기 위하여 가스발전의 활성화를 도입하였고,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8년 사이에 약 16억톤을 감소시켰다. 이에 본문에서는 탄소배출권 거래 제도의 도입과 동시에 전원구성변화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여 탄소 배출권 가격을 고려하였을 때 계통운영비용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탄소 배출량에 따른 가격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 PDF

POLICY & ISSUES 기획특집_1 -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주요 정책방향

  • Lee, Yeong-Seok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98
    • /
    • pp.11-13
    • /
    • 2012
  • 정부에서는 2010년 4월 14일 시행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의 주요 정책수단으로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다량으로 배출하거나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사업장을 관리업체로 지정하고 2012년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 통보하였다. 관리업체들은 올해부터 본격적인 온실가스 배출랑 줄이기에 들어가게 된다. 목표관리제의 이행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의 도입에 필요한 중요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

  • PDF

National Accounts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Korea's NAMEA-air (국민계정과 온실가스 배출: 한국의 NAMEA-air 편제)

  • Kim, Jong-Ho;Kim, Hoseo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9 no.4
    • /
    • pp.963-1001
    • /
    • 2010
  • The national accounting matrix including environmental accounts(NAMEA) includes informations on environmental pressures in relation to economic activities as developed in the national accounts. In the NAMEA, conventional national accounts tables have been extended with accounts in physical units. This paper describes the background for work carried out on environmental accounts in Korea and explains how the NAMEA-air is developed. The Korea's NAMEA-air provided here serves several purposes; (1) a consistent and systemic feature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y and the environment; (2) a basis for environmental economic analysis; and (3) the vital information for climate and air policy planning.

  • PDF

Development of Cabon Emission Management System for Green Port (Green Port를 위한 탄소배출 관리시스템 개발)

  • Lee, Gyeong-Gu;Kwak, Kyu-Seok;Nam, Ki-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10a
    • /
    • pp.5-6
    • /
    • 2009
  •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UN 기후변화 협약 발리로드맵에 따르면 2013부터 한국도 온실가스 의무감축대상국에 포함될 예정이다. 최근 녹색성장 위원회의 국가 온실가스 중기 (2020) 감축목표 설정에 대한 3가지 시나리오에 따르면 물류분야에서도 2020년 은실가스 배출전망치 대비 20~30% 감축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물류효율화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저감과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본 논문은 물류부문에서도 항만에 적용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IT 관점에서 접근하여 대안을 제시한 후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탄소배출관리시스템을 개발한다.

  • PDF

SPECIAL 1 REPORT - 배출권 거래제 입법화 의미와 영향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195
    • /
    • pp.6-12
    • /
    • 2012
  • 온실가스배출권거래법이 2015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는 현재 시행중인 배출가스 목표관리제에서 한발 더 나아가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 온 녹색성장 정책에 따른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적극적으로 이루기 위한 제도라 할 수 있다. 또한 배출권 거래제를 다른 개도국보다 빨리 도입함으로써 향후 기후변화협약 논의 과정에서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갈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고자 하는 정책적 의도도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신은주 연구위원의 '배출권 거래제 입법화 의미와 영향'보고서를 통해 배출권 거래제 추진의 의미와 영향, 외국의 배출권 거래제 현황 및 시사점에 대해 살펴본다.

  • PDF

The Evaluation of GHG Emissions in Railroad Construction Sector (철도건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평가)

  • Lee, Jae-Young;Jung, Woo-Sung;Hwang, In-Hwan;Kim, Yo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4 no.3
    • /
    • pp.271-275
    • /
    • 2011
  • According to governmental policies for green growth, the increase in the traffic volume of railroad is a representative method to reduce total greenhouse gas (GHG) emitted from transport. Comprehensive assessment for the GHG emission of railroad has been studi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ransport modes just in the operating step excluded the construction ste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HG emissions in railroad construction sector. The targets were some construction works for civil, track, building, and electric system in A line. The GHG emission source of constructing railroad infrastructure was mainly the energy consumption of heavy equipments. As a result, the civil construction sector showed more than 96% of total GHG emissions and its specific GHG emission was 2.191 ton $CO_2e/m$. Also, the specific GHG emissions of civil construction works were of the order: earthworks > tunnels > bridges > station. In future, it will be required to calculate the overall GHG emission of railroad through life cycle approaches including operation, maintenance and disposal step.

Study on The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Considering Emission Trading and LOLP (배출권거래와 공급신뢰도(LOLP)를 고려한 설비계획 방법론에 관한 연구)

  • Shin, Hye-Kyeong;Chung, Gu-Hyung;Hong, Hee-Jung;Han, Seoc-Man;Kang, Dong-Ju;Kim, Bal-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b
    • /
    • pp.214-216
    • /
    • 2007
  • Post 2012 기후변화협약 체제의 토래 및 강화되는 기후변화협약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의무감축이 확실하게 예견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이행을 위한 대응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발전부문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제성장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Post 2012 기후변화협약 체제의 대응책이 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발전부문에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부담될 것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제약 및 배출권거래제를 고려한 설비계획을 도출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원 개발계획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산모형(WASP, POWERSYM 등)은 온실가스 배출량 제약 및 배출권거래제를 고려하지 못하므로 MEFISET 모형을 이용하여 이를 고려하고자 한다. 그러나 MEFISET 모형은 설비예비력 제약조건을 통해 공급신뢰도를 만족하고 있다. 이러한 설비계획 결과는 공급신뢰도 기준 을 만족시키기 위해 과도한 설비계획 결과를 도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Visual C를 통해 구현한 LOLP 프로그램을 통해 공급신뢰도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적정 설비예비력을 추정하고자 한다.

  • PDF

A Green House Gas Emission Estimation Based on Gravity Model and Its Elasticity (중력모형을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량추정 및 탄력성분석)

  • Im, Yong-T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4
    • /
    • pp.85-93
    • /
    • 2011
  • Many policies, such as transit-oriented development, encouraged use of bicycle and pedestrian, reduction of green house gas (GHG) and etc., have been deployed to support transport sustainability. Although various studies regarding GHG were presented, no one has yet adequately explained the behavior of travelers. This paper proposes a GHG emission model by highlighting its sensitivity, elasticity with regard to such travel cost as travel time, travel fare, and GHG pricing, introduced to reduce the amount of GHG in transportation system. For better estimation of GHG, the proposed model adopts (1) a production-constrained gravity model and (2) the travel distance from the origin and the destination (OD). The gravity model has a merit that it considers travel pattern between OD pairs. The model was tested with an example, and the promising results confirmed its validation and applications.

Development of Causal Map for Greenhouse Gas Emission in Construction (건설공사의 온실가스 배출 요인 인과지도 개발)

  • Bae, Jin-Hee;Park, He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9-110
    • /
    • 2012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전 산업 부문에서 지구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건설 산업에서도 온실가스 저감 대책으로 친환경 에너지 개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등 녹색기술의 활동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발한 연구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건설공사의 각 단계별 과정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과의 이해관계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연구문헌을 조사하여 건설공사 과정을 원자재 생산, 시공, 유지 및 관리, 해체 및 재활용의 단계로 구분하여, 건설공사의 각 단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인과지도 작성을 통하여 온실가스 배출 원인을 분석하였다.

  • PDF

Decoupling Analysis between GHGs and GDP in Korea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과 경제성장 간 장단기 비동조화 분석)

  • Kim, Daesoo;Lee, Sang-youp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8 no.4
    • /
    • pp.583-615
    • /
    • 2019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evel of decoupling betwee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in Korea. Despite previous studies mainly stressed the existence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the lack of investigations in the level of decoupling constraints further policy sugges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level of decoupling in the short- and long-term, focusing on short-term volatility of GHG emissions income elasticity. In the long run, there is no decoupling in Korea because a robust caus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GHGs, GDP, and fossil fuels. However, the short-term volatility is clearly identified under the long-term equilibrium(coupling), indicating there is the relative decoupling in the short run. The results show that fossil fuel dependence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increases short-term volatility(decoupling) and breaks the causal link(coupling) between GHGs and GD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