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습도 센서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Ubiquitous Sensor Network for Air Environment Monitoring of Subway (지하철역 대기환경 감시를 위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 Kwon, Jong-Won;Kim, Hie-Sik;Kang, Sang-Hy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82-183
    • /
    • 2008
  • 환기시설이 열악한 도시 지하철역 내의 대기환경은 지상보다 열악할 수밖에 없다. 현재 지하철역을 주로 사용하는 시민들의 안전을 보호 하고 지하철의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스크린 도어, 자동 제어 환기시설, 종합 영상 감지시스템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하철역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입품에 의존하고 고가의 장비이므로 초기설치 비용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여 저가형 대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의 구성은 센서노드(ZED : ZigBee End Deice), 네트워크 코디네이터(ZCM : ZigBee Coordinator Modem), 수신서버로 구성된다. 지하철역 내부의 미세먼지, CO2, CO, 온습도, VOCs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는 확장 센서보드를 설계한 후, 지하공간에서의 열악한 통신환경에서 QoS를 보장할 수 있도록 ZigBee 라우팅 기술을 이용한 센서노드(ZED)를 인터페이스하여 하나의 통합된 대기환경 센서 노드(ZED)를 개발했다. 또한 수신서버에 USB방식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ZED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노드(ZCM)과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인터넷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지하철 대기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수신서버를 개발했다.

  • PDF

Analysi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Distributions according to Arrangements of Air Circulation Fans in Single-span Tomato Greenhouse (토마토 단동온실에서 공기순환팬 설치 방법에 의한 온실 내 온습도 분포 분석)

  • Lee, Tae Seok;Kang, Geum Choon;Paek, Yee;Moon, Jong Pil;Oh, Sung Sik;Kwon, Jin Kyu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5 no.4
    • /
    • pp.277-282
    • /
    • 2016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ir-circulation fans on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a single-span tomato greenhouse (W: 7m, L: 25m, H: 3.2m). According to standard of fan layout by ASAE (1997), a total of 10 fans were bilaterally arranged in 2 rows in the experimental greenhouse. The distribution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measured from 6 pm to 8 am under different conditions, with and without fans. The measurement heights were 0.7m, 1.7m and 2.7m. Under the condition of "fans off", the spatial difference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between upper and lower sides were $1.7^{\circ}C$ and 10.8%, respectively. The operation of 10 fans showed their differences to $0.1^{\circ}C$ and 3.2%. The number of fans and installation direction were evaluated their performance on reducing the spatial variation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e experimental layouts were 5 and fans in 2 rows (bilaterally) and 10 fans in the one (same) direction. Under the condition of "6 fans on" and "5 fans on", the spatial difference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between upper and lower side were $0.3^{\circ}C$, 3.4% and $0.3^{\circ}C$ and 4.0%. The operation of 10 fans in the one direction reduced their differences to $0.5^{\circ}C$ and 4.9%.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under each condi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more economic and effective to install five fans in 2 rows (bilaterally) in the greenhouse (W: 7m, L: 25m, H: 3.2m).

Development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Node with Dual Interfaces of UHF Radio and Bluetooth (UHF-RF 및 블루투스 이중 접속 무선 센서 네트워크 노드개발)

  • Kim, Ho-J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10
    • /
    • pp.1905-1913
    • /
    • 2006
  • The researches about the hardware and the software implement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have great rush in recent years. This paper deals the development of a sensor node with the dual interface which also has an RF wireless interface while has an Bluetooth interface used widely in present. This sensor node includes a Atmeg32 microcontroller, a Bluetooth module, a RF module.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and I also develop the F/Ws controlling each modules with C language using GCC compiler. The sensor node developed can reaches 15m with Bluetooth interface and 60m with RF interface. It works stably with the voltage above 5V and it consumes currents 21mA average in idle mode, 63mA average in active mode.

Indoor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on and Response to Lonely Dea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ZigBee Communication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독거노인의 고독사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실내 모니터링 시스템)

  • Sagong, Byung-Il;Kim, Nam-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242-244
    • /
    • 2022
  •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increasing rapidly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Therefore, the lonely dea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has become a social issue. In many cases, the body is discovered several days after death. In particular, lonely dea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being taken more seriously in society, as there is no one to arrange funerals, organize and dispose of their belongings. Since the body is usually found after a few days, the decomposition of the body is often sever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indoor monitoring system using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d a human body sensor to prevent and respond to lonely death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 PDF

Implementation of Automatic Window Control System for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s based on Aduino and Raspberry Pi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한 아두이노와 라즈베리 파이 기반의 창문 자동제어 시스템 구현)

  • Moon, Sunye;Kwon, Daecheol;Jeong, Dahye;Yoo, Seokyeong;Jung, Seunghyun;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31-1234
    • /
    • 2017
  • 이 논문은 실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창문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대인들은 하루에 약 7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실내 환경의 질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아두이노, 라즈베리 파이 및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환경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창문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 구현을 위해 온습도 센서, 미세먼지 센서, 공기 질 센서, 모터 등을 이용한다. 또한 3D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작한 프로토타입을 보인다.

Activity Type Detection Of Random Forest Model Using UWB Radar And Indoor Environmental Measurement Sensor (UWB 레이더와 실내 환경 측정 센서를 이용한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재실활동 유형 감지)

  • Park, Jin Su;Jeong, Ji Seong;Yang, Chul Seung;Lee, Jeong Gi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6
    • /
    • pp.899-904
    • /
    • 2022
  • As the world becomes an aging society due to a decrease in the birth rate and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 system for health management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needed. Among them, various studies on occupancy and activity types are being conducted for smart home care services for indoor health manag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random forest model that classifies activity type as well as occupancy status through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2, fine dust values and UWB radar positioning for smart home care service. The experiment measures indoor environment and occupant positioning data at 2-second intervals using three sensors that measur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2, and fine dust and two UWB radars. The measured data is divided into 80% training set data and 20% test set data after correcting outliers and missing values, and the random forest model is applied to evaluate the list of important variables,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Development of SmarTinsole with multi-sensor for AI based Diagnosis (당뇨발을 AI 기법으로 진단하기 위한 다중 데이터수집 깔창 개발)

  • Choi, Wonhoo;Chung, Taimyoung;Park, Ji-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73-176
    • /
    • 2021
  • 요즘 사회에 흔하게 볼 수 있는 질병인 당뇨병은 그 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증상이 적은 당뇨병의 특성 덕분에 인지율이 낮고 당뇨발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발전하기에 이를 사전에 진단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연구는 입력 혹은 발의 온도를 기반으로 차이를 구분함으로써 당뇨발 환자군을 판별했다. 본 논문에서는 당뇨발 진단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AI 학습 모델을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위하여 다중 센서를 부착한 스마틴솔을 개발하고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또한, 이를 위한 스마틴솔에 다중 센서를 부착하고 펌웨어를 통해 발의 압력과 온습도를 오차 없이 효율적으로 실시간으로 받아내는 개발 과정과 결과를 제시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ruit harvest time Predicting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적용 과일 수확시기 예측시스템 설계 및 구현)

  • Oh, Jung Won;Kim, Hangkon;Kim, Il-Tae
    • Smart Media Journal
    • /
    • v.8 no.1
    • /
    • pp.74-81
    • /
    • 2019
  • Recently, machine learning technology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ety, particularly in the medical, manufacturing, marketing, finance, broadcasting, and agricultural aspects of human lives. In this paper, we study how to appl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foods, which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human survival. In the field of Smart Farm, which integrates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into agriculture, we focus on optimizing the crop growth environment by monitoring the growth environment in real time. KT Smart Farm Solution 2.0 has adopted machine learning to optimiz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greenhouse. Most existing smart farm businesses mainly focus on controlling the growth environment and improving productivity.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we are studying how to apply machine learning with respect to harvest time so that we will be able to harvest fruits of the highest quality and ship them at an excellent cost. In order to appl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the field of smart farms, it is important to acquire abundant voluminous data. Therefore, to apply accurate machine learning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ollect large data. Therefore, the color, value, internal temperature, and moisture of greenhouse-grown fruits are collected and secured in real time using color, weight, and temperature/humidity sensors. The proposed FPSML provides an architecture that can be used repeatedly for a similar fruit crop. It allows for a more accurate harvest time as massive data is accumulated continuously.

The study of smart farm sensing device in Jeonbuk province (전북지역 스마트 온실의 센서 활용에 대한 연구)

  • Lee, Choong Ho;Kim, H.Y.;Jung, Y.J.;Yang, S.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34-134
    • /
    • 2017
  • 전북지역의 130여개 스마트온실 중에서 주요한 10여개의 주요 온실에 대한 온습도, 이산화탄소, 광센서 및 기타 센서의 사용실태에 대한 조사를 수해하였다(2016년 9월~12월). 온실의 선정은 온실의 종류(비닐/유리)와 복합제어기 종류(국산/외산)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국내외 업체의 장단점, 스마트기기의 활용과 문제점, 클라우드 기반의 3세대 한국형 스마트온실의 적용기반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융복합 제어기와 센서는 자체의 신뢰성 이외에 운용상의 알고리즘 차이에서 오는 문제로 인해 농가에서 측정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낮고, 측정이 부정확하고 일일측정 데이터에 대한 활용이 어렵고, 설정 값을 사용자가 직접 계산하고 값들을 입력해주어야 한다는 단점에 대한 의견이 대부분이다. 외국 제품은 데이터 측정값의 활용이 용이하고 복합 환경 상황에 알맞게 자동 계산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작동하여 제어에 반영되며 국내 업체 설정 값의 범위보다 세밀하게 설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설치비용이 국내대비 3~4배 높고 고장 시 A/S가 느린 편이며 영어로 구성된 복잡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100%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스마트기기 활용은 복합 환경제어를 하는 농가이면 국내 업체와 외국 업체 모두 활용하고 있으며 주로 스마트 폰으로 사용되고 전용 어플이 아닌 PC원격 제어 소프트웨어인 팀뷰어(Teamviewer)를 이용하여 복합제어기 PC를 직접 조작하여 사용한다. 클라우드 활용으로는 복합환경제어기 회사에서 작물별 제어 방법과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점에 대한 농가의 불편함이 많은 편으로 작물별 농사방법이 많고 지역별 농사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조사한 전북지역의 농가 10곳 모두 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양한 온실 및 생육환경에 따른 표준화된 운영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스마트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복합센서의 표준시험방법과 절차를 개발하여 관련산업의 발전에 응용할 필요성이 있으며 단순한 하드웨어의 표준화 또는 개선방향보다는 농가의경험과 누적된 토양,작물 등의 재배 생육정보를 이용한 작물생육모델과 온실모델의 일치를 통해 센서-생육환경예측-검증방법의 포준화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Human-Robot Interaction Entertainment Pet Robot (HRI 엔터테인먼트 애완 로봇)

  • Lee, Hee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4 no.2
    • /
    • pp.179-185
    • /
    • 2014
  • In this paper, a quadruped walking pet robot for human-robot interaction, a robot-controller using a smart phone application program, and a home smart control system using sensor informations providing from the robot are described. The robot has 20 degree of freedom and consists of various sensors such as Kinect sensor, infrared sensor, 3 axis motion sensor, temperature/humidity sensor, gas sensor and graphic LCD module. We propose algorithms for the robot entertainment: walking algorithm of the robot, motion and voice recognition algorithm using Kinect sensor. emotional expression algorithm, smart phone application algorithm for a remote control of the robot, and home smart control algorith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The experiments of this paper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applied to the pet robot, smart phone, and computer are well op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