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라인 탐색

검색결과 654건 처리시간 0.025초

온라인 환경에서 정보탐색활동과 학습자 특성과 상관관계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Online Information Retrieval Behaviors)

  • 오은주;김정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415-428
    • /
    • 2007
  • 본 연구는 인지양식이 온라인 학습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의 하나라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인지양식이 온라인 정보탐색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다른 개인적인 특성들이 온라인 정보탐색행위와 연관성이 있는지 고찰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학생 36명이었으며, 인지양식검사와 Ellis와 Haugan (1997)의 정보탐색행위 모델에 근거하여 연구자에 의해 제작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연구 주제를 주고 온라인상에서 정보를 탐색하도록 시켰으며, 이들의 정보탐색행위 과정과 특성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인지양식검사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양적 분석하고, 정보탐색행위 과정과 특성에 관한 질적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개인의 인지양식과 온라인시스템을 이용한 정보탐색능력과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었다. 반면에, 정보탐색행위는 컴퓨터 이용 능력, 온라인 도서관 시스템 사용경험/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검색한 정보에 대한 만족도는 정보탐색에 보내는 시간과 반비례 상관관계를 가지며,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총 8단계의 정보탐색과정 중 " Browsing" 단계에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끝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도서관 시스템 사용능력에 높은 효능감을 보였지만, 학교 온라인도서관 시스템이 사용하기 편리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있다고 대답했으며, 자신들의 연구를 위해서 인터넷 검색엔진보다는 도서관 데이터베이스를 더 자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탐색자의 탐색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rching Behavior of the Online Database Searchers)

  • 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2-73
    • /
    • 1991
  • 본 논문은 탐색자의 개인적 특성이 온라인 서지 데이터베이스 탐색과정 및 탐색 성 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탐색 행태에 관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도서관학과 재학생들을 피험자(N=67)로 하여 측정한 적성, 성격, 정규 교육, 온라인 탐색 교육 효과, 탐 색 과정, 탐색 성과에 대한 29가지 요소를 기초로 하여 9개의 변인을 구성한 후, 12개의 가 설을 검증하여 영향인자를 식별하였고, 경로 분석을 수행하여 5가지의 인과 모형을 구축하 였다.

  • PDF

온라인 검색(檢索)에 있어서 검색전략(檢索戰略)과 전술(戰術) (The Strategy and the Tactics for Online Searching)

  • 이혁제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1호
    • /
    • pp.80-98
    • /
    • 1995
  • 검색전략(檢索戰略)은 효과적인 탐색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검색전략(檢索戰略)의 여러 연구 중에서 베이츠의 탐색전술은 자주 인용되고 소개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피상적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츠의 탐색전술의 내용을 자세하게 조사하고 베이츠의 탐색전술에 기초하여 실제 온라인 탐색과정을 기술하려고 노력하였다. 사용된 전술(戰術)을 구분하기 위하여 다음의 3가지 유형의 조사가 이루어 졌다. (1) 다른 유형의 조직에 속하고, 다른 유형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7명의 탐색자와의 면담 (2) 온라인 탐색 레코드의 분석 (3) 1년간 신문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신청서의 분석 결론적으로 베이츠 전술의 일부가 빠지고 자주 사용된 새로운 전술이 추가되었다. 다음의 5가지 요소가 온라인 검색행위(檢索行爲), 검색전략(檢索戰略), 검색전술(檢索戰術)에 영향을 미친다. (1) 탐색요구의 난이도 (2) 데이터베이스의 내용 (3) 온라인 탐색의 요금정책(검색비용의 부담자) (4) 탐색과정에서 이용자의 동석여부 (5) 탐색자의 온라인 경험 제한된 조건에서 전형적인 전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전술의 사용유형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 PDF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휴리스틱 최단경로 탐색 방법 (An Heuristic Shortest Path Finding Method in the Online Social Network)

  • 손종수;조수환;정인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384-386
    • /
    • 2012
  • 최근,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온라인 사용자들의 특성을 연구하기위한 방안으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은 두 노드 사이의 최단경로를 계산해야하므로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휴리스틱 탐색방법의 하나인 최상우선 탐색 방법을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최단경로 탐색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그래프에서 아크의 개수를 평가 값으로 사용하는 휴리스틱 함수를 사용하며 탐색의 효율성을 위하여 경사트리를 제거한 후 경로를 탐색한다. 그리고 검증을 위하여 약 16만 사용자로 구성된 실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를 수집하여 너비우선 탐색 방법과 비교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너비우선 탐색 방법에 비해 정확도는 80% 정도로 다소 떨어지지만 계산 속도가 약 7.4배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시간을 향상시켜 여러 분야에서 사회 현상 및 동향을 다양하게 분석하는데 유용하다.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외부정보탐색노력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nfluence Factors on External Information Search Effort in Online Shopping Malls)

  • 최낙환;이창원;황윤용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93-116
    • /
    • 2005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외부정보탐색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보경제학적 관점, 심리적 관점, 웹사이트 이론 관점으로 구분하여 탐색하였으며, 세 가지 이론을 통합하는 통합모델을 설계하였다. 통합 모델을 실증 분석한 결과,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외부정보탐색노력정도는 탐색동기, 탐색이익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탐색동기는 탐색이익, 구매관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탐색이익은 구매관여, 구조적간결성, 탐색의 편리성,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탐색비용은 구매관여, 시간압박성, 구조적 간결성, 탐색의 편리성,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쇼핑몰의 관리에 대한 이론 및 관리적 시사점들을 제안하였다.

  • PDF

정보탐색과 구매 단계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선택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Buyers' Choice of Online vs. Offline Channel at Information Search and Purchase Stages)

  • 김상훈;박계영;박현정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2권3호
    • /
    • pp.69-90
    • /
    • 2007
  • 본 연구는 소비자의 구매과정을 정보탐색 및 구매결정 단계로 나누어 각각의 단계에서 소비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채널을 선택하는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어떤 요인이 채널 전환(온라인 탐색$\rightarrow$오프라인 구매, 오프라인 탐색$\rightarrow$온라인 구매)을 가져오는지 검증하였다. 영향 요인으로는 소비자 개인 특성, 제품 특성, 구매 상황과 관련된 10개 변수를 고려하였으며, 순차적 로짓(sequential legit) 기법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보탐색 단계에서는 소비자의 채널에 대한 지식이 채널 선택에 영향을 미쳤으며 쇼핑에서 재미를 추구하거나 제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경우 오프라인 채널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온라인으로 쇼핑한 경험이 많은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정보를 탐색하는 경향이 높았다. 구매 단계의 검증결과는 탐색 채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정보를 탐색한 경우, 온라인 쇼핑경험이 많거나 가격추구의 쇼핑 가치를 크게 느끼거나 시간적 여유가 없는 소비자일수록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경향이 높았던 반면에, 필요한 정보의 양이 많거나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인지된 위험이 높은 소비자는 구매 단계에서 오프라인 채널로 전환하였다. 한편 소비자가 오프라인에서 정보를 탐색한 경우, 쇼핑에서 편의나 재미를 추구하는 소비자와 시간적 여유가 없는 소비자일수록 오프라인에서 구매할 가능성이 높았고, 온라인 쇼핑경험이 많은 소비자는 구매 채널을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경향이 높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정보탐색 및 구매 단계에서 채널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서로 다름을 보여주었으며 두 개의 채널을 모두 제공하는 유통 업자에게 매우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서지정보 구조와 재탐색:온라인 목록을 중심으로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Reformulation)

  • 곽철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3-117
    • /
    • 1996
  • 본 연구는 온라인 목록의 접근점과 서지사항이 이용자의 재탐색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두 온라인 목록(노티스 시스템과 다이닉스 시스템)을 선정하고, 대학교 학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탐색 빈도와 형태를 파악하였다. 재탐색의 형태는 탐색어 변경, 접근점 변경, 그리고 탐색어와 접근점 변경으로 한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접근점과 서지사항이 이용자의 재탐색 빈도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온라인 탐색전략에 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Online Search Strategy Models)

  • 유재옥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43-161
    • /
    • 1995
  • 온라인 탐색전략을 탐색이라는 문제해결을 위한 보다 근본적인 문제해결접근방안이라고 정의할 때, 탐색전략은 간략탐색, 블럭절정전략, 패싯수정전략, 점진분할전략, 인용문헌확대탐색등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탐색전략에 관한 비판적인 고찰과 함께 실제탐색환경하에서의 적용을 통해 각 전략의 응용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재현율탐색이나 정확률탐색등의 탐색목적에 융통성있게 대응할 수 있는 탐색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 PDF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 평가 연구 - 공공도서관 OPAC과 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 (Evaluating and Comparing the Search & Discovery Features: Focusing on the Public Libraries OPACs and the Internet Bookstores)

  • 한승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93-511
    • /
    • 2016
  • 디스커버리는 차세대 도서관 목록과 더불어 도서관 자원의 탐색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대두된 개념이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탐색행태 관점에서 디스커버리 기능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구성하는 요소를 도출한 후, 공공도서관을 대표하는 11개의 지역대표도서관의 온라인 목록과 3개의 인터넷 서점을 대상으로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평가 결과, 디스커버리를 구성하는 모든 기능에서 인터넷 서점이 도서관 온라인 목록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온라인 목록은 여전히 알고 있는 자료 탐색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용자는 디스커버리 기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우연한 발견의 기회를 갖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이용행태 연구 (A Study on the Searching Behavior of Web-based OPAC Users)

  • 사공복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1-110
    • /
    • 2003
  •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이용자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에게 더욱 친근하게 개선되었는가. 웹기반 온라인목록이 제공하는 탐색관련 기능은 어떠한가. 이용자들은 웹기반 온라인목록을 이용하는 데 여려움은 없는가. 이용자들은 웹기반 온라인목록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이런 문제에 대한 답을 통하여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검색도구로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30명의 탐색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탐색자가 웹기반 온라인목록을 실제로 탐색하는 과정중에 보이는 행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입수하였고, 탐색 후 질문지를 통하여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