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쇼핑

Search Result 68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terminants of Customer Loyalty Toward the Online Shopping Mall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고객애호도의 결정요인)

  • 이장우;김현경;이문규
    • Asia Marketing Journal
    • /
    • v.3 no.3
    • /
    • pp.1-137
    • /
    • 2001
  • 인터넷 쇼핑몰은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고 있는 분야로서, 이제는 쇼핑몰과 관련이 없던 기존의 인터넷 사이트들 역시, 전문몰이든 종합몰이든 그 형태에 상관없이 쇼핑몰을 운영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처럼 인터넷 쇼핑몰들은 날로 치열해지는 경쟁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고객들의 애호도 증진을 통한 장기적 경쟁 우위의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고객애호도를 결정짓는 요인들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고객의 관점에서 인터넷 쇼핑몰의 품질을 평가하는 변수들과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특성에 대한 평가 척도들을 세분화하고 이들과 고객애호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한편, 온라인 몰과 온라인 스토어 프론트로 구분된 소매점 유형에 따른 고객애호도 결정요인을 각각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터넷 쇼핑몰들의 소비자 애호도 증진 전략을 논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hopping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among American Consumers (미국 소비자들이 지각만 온라인 쇼핑속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

  • Kim, Eun-Young;Kim, Yo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12
    • /
    • pp.63-83
    • /
    • 2002
  • 본 연구는 미국 소비자들이 지각한 온라인 쇼핑속성에 대한 차원을 밝히고. 온라인 속성에 대한 중요성과 상품범주별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밝혀 상품범주별 마케팅 전략과 인터넷 소비자 관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미국 소비자 303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질문지법에 의해 자료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고, LISREL8에 의해 측정모델과 구조적 관계 모델을 동시에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가 지각한 온라인 쇼핑에 대한 속성은 거래 및 비용, 사이트 디자인, 구매유인 프로그램, 상호 관계성의 4개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온라인 상품은 구매의도에 따라 인지적 상품, 경험적 상품, 서비스 3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셋째, 지각된 온라인 쇼핑속성의 중요도와 각상품군 구매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모델을 추정한 결과,“거래 및 비용”은 3개의 상품군에 대한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구매유인 프로그램”은 경험적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소비자들에게 중요하게 지각되는 인터넷 특정 속성 즉, 보완, 배달 및 비용을 초점으로한 상품범주별 차별화된 이점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자 상거래와 관련 보완, 환불정책 등에 관한 소비자 교육과 보호법이 요구되고 있다.

온라인 구전 품질 속성이 인지된 구전정보 가치에 미치는 영향분석

  • Kim, You-Kung;Han, Hy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3-154
    • /
    • 2007
  • 인터넷이 대중화대면서 온라인 쇼핑이 가능해졌고 구매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구매와 관련 된 경험, 서비스 등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 쇼핑의 특성상 제품을 직접 눈으로 보고 만져 볼 수 없기 때문에 온라인 구전(Online Word of mouth)이 상품 구매 판단의 잣대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전 정보 특성이 구매자들의 인지된 구전 정보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전정보의 객관성, 관련성, 신빙성, up-to-dateness는 인지된 구전정보가치 즉 구매 불확실성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구매 불확실성 감소는 온라인 쇼핑몰의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PDF

Explanatory Study on Online Shopping Mall Startup by Young Entrepreneurs (청년자영업자의 온라인쇼핑몰 창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 Kim, Jong Sung;Kim, Do Hyeon;Shin, Jee Mah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2
    • /
    • pp.35-4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o examine the process of starting a business in an online shopping mall for young self-employed people with experience in using Company N's Partner Square (Gwangju), a startup infrastructure institution.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survey data were used, and theoretical sampling method was used in the selection of study participants. After proceeding in the order of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uggested by Strauss & Corbin, it was analyzed with a paradigm model.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ven when parents were unaware about online shopping malls or had a negative mindset about it, but they had a positive mindset about their children's start-ups, it was found that their children tended to start online shopping mall businesses. However, if parents had a negative mindset about online shopping malls and about their children's start-up, then the child could not start an online shopping mall bus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use online shopping malls is important as a condition for entrepreneurship and achievement in online shopping malls for young people. In particular, Partner Square (Gwangju) was found to increase the ability to use online shopping malls and positively influence startups in online shopping malls. Third, it was found that young people have increased their self-esteem, discovering opportunities, and reinforcing their creativity, in addition to simply increasing their sales after starting the online shopping mall.

Effects of Shopping Motivation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Companion Animal Online Shopping Mall (쇼핑동기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반려동물 온라인 쇼핑몰을 중심으로)

  • Won, Jong-Hoon;Lee, Joo-H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8
    • /
    • pp.466-47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anion animal online shopping motivation factor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raised. The factor analysis of survey data yields the following five dimensions: convenience, economic, hedonistic, product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knowledge shopping motiv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both convenience shopping motivation and information-knowledge shopping motiva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rai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knowledge and customer satisfaction.

Shopping Orientation's Differentiation between On-line Consumer Group and Off-line Consumer Group (온라인 구매자 집단과 비 구매자 집단의 쇼핑성향의 차이)

  • Cho, Kyoung-Seop;Song, Hyung-Cheo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10
    • /
    • pp.71-89
    • /
    • 2002
  • The on-line market is sudden and it tilts the effort which various in order to reveal the difference point against the on-line consumer and the off-line consumer from under the environment which grows is. What reveals the on-line consumer and the difference point of off-line consumer two group from like this situation is a possibility of decreasing the place help which establishes a marketing strategy in the each retail trade sleeping field. The research which it sees to sleep it searched for the variable which shows the difference point of shopping orientation of the on-line consumer and off-line consumer two group and it attempted.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shopping propensity shopping it is joyful, it perceives dangerously, with price ceremony and convenient characteristic to classify, it analyzed. Analysis result shopping it is joyful it was rejected, classifies the perception against a danger and a price ceremony and convenient Royal favor two group with the consider variable which it appeared. The namely on-line consumer perceived against a danger lowly, it was sensitive to a price, it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t pursues a convenient characteristic.

  • PDF

Factors Affecting the Delay of the Final Purchase Decision in Online Shopping: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Need for Cognitive Closure (온라인 쇼핑에서 최종 구매결정 지연 발생의 영향요인: 인지적 종결욕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Lee, Ae Ri;Kim, Dohoon;Kim, Kyung 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2
    • /
    • pp.658-669
    • /
    • 2017
  • While online shopping has been increased expeditiously, a significant portion of purchasing intention has not been converted into actual purchasing behavior without delay in online spa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causing a delay in online purchasing decision even after purchasing intention has been formed. It identifies the uncertainty variables (information, psychological, and preference uncertainties) related to consumer needs and the situational variables (time pressure and past purchase experience) surrounding the purchasing transaction. Furthermore, the need for cognitive closure is propose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uncertainty/situational variables and the purchasing behavior. The results show that the uncertainties and situationa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purchasing delay. Also, the need for cognitive closure indeed works as a moderator between the uncertainty variables and the purchasing behavior.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lso discussed.

PRODUCTS SAFETY 제품안전: 업체탐방 -글로벌 대표라인 유통회사 "CJ오쇼핑" 국내를 넘어 세계로!

  • 한국전기제품안전협회
    • Product Safety
    • /
    • s.210
    • /
    • pp.40-43
    • /
    • 2011
  • 고객에게 최고의 신뢰와 특별한 가치를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온라인 마케팅 & Merchandising Company CJ오쇼핑! 한번 찾은 고객은 늘 다시 찾는 탁월한 쇼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CJ오쇼핑의 이해선 대표이사를 찾아가 인터뷰해 보았다.

  • PDF

The Effect of Trust and Distrust on the Purchase Intention at Internet Shopping Malls - Focusing on the Chinese Users - (인터넷 쇼핑몰에서 신뢰와 불신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인터넷 쇼핑몰 사용자를 중심으로 -)

  • Park, Hye-Ryeong;Lee, Ji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3-115
    • /
    • 2006
  • 중국은 세계 무역기구에 가입하면서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강화되고 디지털 경제체제에 편입되면서 산업구조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개편하고 있다. 동안 상대적으로 외국기업에 대해 폐쇄적이었던 중국의 유통시장은 2006년부터 전면개방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정보 기초화와 물류배송 금융체계의 문제는 나날이 안정화되어 온라인 구매환경은 나아지고 있으나, 오히려 해마다 인터넷쇼핑물 구매율의 하락은 온라인 쇼핑몰 상거래에 대한 불신 문제가 그대로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소비자수준에서의 온라인 구매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주요 장애요인으로써 불신(distrust)을 제기하고자 하며 신뢰를 신뢰와 불신의 2차원으로 파악하여 각각의 차원(신뢰와 불신)이 마케팅 성과에 차별적으로 공헌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선행변수로 상호작용, 지각된 평판, 정보유용성, 지각된 보안위험, 지각된 거래위험을 설정했으며 매개변수로는 신뢰와 불신을, 결과 변수로는 관계몰입과 구매의도로 구성하였다. 결과에서는 온라인 맥락에서는 신뢰와 불신의 선행요인이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관계몰입과 구매의도에 서로 차별적으로 공헌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기존의 신뢰를 2차원으로 구분하여 신뢰와 불신으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User Data Collection and Personalization Services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 사용자 데이터 수집 및 개인화 서비스 방법)

  • Kim, Sung-jin;Kim, Sung-gyu;Oh, Ch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560-561
    • /
    • 2018
  • The spread of smartphones i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mobile shopping in the online shopping market. Most mobile shopping services are delivered through applications. However, personalization services are very important for use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refore,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product barcode recognition function and machine learning-based product image recognition function using smartphones camera to collect user data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The implemented function and push notification services enabled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user data and personalization services for online shopping platform applic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