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몰

Search Result 41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블로그, 키워드검색광고, SNS채널 운영이 온라인쇼핑몰의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Min-Gap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93-96
    • /
    • 2018
  •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자영업 폐업률은 전년 대비 10.2% 포인트 높은 87.9%를 기록했다. 자영업 4개 업종인 도소매업, 음식, 숙박업은 지난해 48만 3985개가 새로 생겼으며 반면 42만 5203개가 문을 닫았다. 2018년 8월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월 대비 19.6% 증가했고, 모바일쇼핑 거래액도 모바일 이용 확산과 간편 결제 서비스 발전 등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29.7%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매업인 온라인 쇼핑몰은 매년 20%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해서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 성과와 연관이 있는 방문 의도에 미치는 변수를 연구하고자 한다. 해마다 판매자가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업계는 치열한 경쟁과 늘어나는 마케팅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폐업의 수순을 밟고 있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쇼핑 운영자들이 하고 있는 대표적인 마케팅 방법인 블로그, 키워드 검색광고, SNS 채널 마케팅이 온라인 쇼핑몰의 방문 의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연구 조사하고자 한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에 방문하는 사람들의 개인적 특성인 충동구매 성향, 다양성 추구 성향, 자기조절 성향을 조절 변수로 하여 개인 성향에 따라 각 독립변수들과의 방문 의도 상관관계를 알아보려 한다. 독립변수들이 방문 의도와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여 온라인쇼핑몰의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나 기창업자들에게 보다 지속적인 기업성장과 매출성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esting Online Shopping Mall Based on BtoC (BtoC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테스트 기법에 환한 연구)

  • 김연수;최은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430-432
    • /
    • 2004
  • 인터넷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직접 대면의 거래 형태가 아닌 새로운 온라인 거래가 등장하면서 물품 거래의 모습이 다양화 되었다. 다양한 전자거래의 형태 중 기업과 고객사이의 물품 거래 쇼핑몰을 통한 구매는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은 웹을 통한 거래이므로 웹 시스템과 상거래가 접목된 것으로 웹 사이트보다 더 다양한 컨텐츠와 관련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 비즈니스, 서비스, 온라인 적인 다양한 요소들의 혼합인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테스트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온라인 쇼핑몰의 다양한 요소 중 웹 어플리케이션 테스트, 요구분석 그리고 시나리오를 통한 쇼핑몰 구축 시 고려해야 할 테스트를 제시한다.

  • PDF

Study on the effect of shopping-mall satisfaction with Parent company confidence -mediating effect of on-line shopping mall trust- (모기업 신뢰가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온라인 쇼핑몰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Yim, Ki-Heung;Kwon, Jin-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
    • /
    • pp.171-176
    • /
    • 2014
  • Due to the recent increase of online shopping mall, there were many changes in consumer lifestyle. and the luxury and foreign cosmetics are well sold in nowadays department store online shopping mall sites. Although not all products are sold through online shopping, consumers tend to purchase more inexpensive brand products through online shopping mall. Thus, department stores tend to sell the brand goods through their online sites In this thesis, First, the trust of shopping mall caused a positive effect to the trust of parent company. Second, the trust of shopping mall had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Without satisfying parameters, The trust of parent company did not itself affect satisfaction of shopping mall.

The Effects of Flow and Typicality on Consumer Stickiness and Loyalty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플로우와 전형성이 밀착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김종호;신용섭
    • Asia Marketing Journal
    • /
    • v.6 no.1
    • /
    • pp.17-4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단계로 방문빈도, 방문 지속성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 쇼핑몰 밀착도를 결정하는 요인들과 플로우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전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인터넷 쇼핑몰 유형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속성 태도와 인터넷 쇼핑몰 전형성의 관계, 소비자 행동 측면의 플로우 경험과 전형성의 영향정도 등을 조사한다. 이를 기반으로 인터넷 유형을 분류하여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 및 콘테츠 특성에 대한 전형성 정도를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밀착도와 충성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 인해 쇼핑몰의 방문빈도 및 방문지속성의 유지가 기업의 장기적인 발전에 어느 정도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인터넷 쇼핑몰 특성은 전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콘텐츠 특성은 플로우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현재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한 쇼핑몰인 경우 이 전에 오프라인에서 유지해 오던 상품제시, 보장, 명성 등이 온라인까지 확장되었다는 의미이며, 이러한 현상은 현재 오프라인 소매점에서 온라인 소매점으로 확장할 경우 이들 특성들이 전이(transfer)된다는 사실을 쇼핑몰 관리자들은 인지해야 한다. 또한 콘텐츠 특성은 오프라인 쇼핑몰보다는 순수 온라인 쇼핑몰이 플로우에 영향을 더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순수 온라인만을 주목적으로 창업하려는 쇼핑몰 관리자들은 콘텐츠 특성인 인터페이스 기능 강화, 톡특한 디자인 및 Lay-Out 등에 투자를 해야 한다. 위의 결과를 통해 플로우 및 전형성이 밀착도인 방문빈도 및 방문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밀착도는 소비자 충성도에 제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PDF

Effects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on Customers' Satisfaction in the Door-to-Door Delivery Service and On-line Shopping Mall Context (택배 서비스 품질속성이 택배업체와 온라인 쇼핑몰의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Chung, Hyun-Young;Ahn, Ah-Rah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7
    • /
    • pp.174-181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quality attributes of door-to-door delivery service affects on the on-line shopping mall customers' satisfaction. For the study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ories were reviewed and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attributes and satisfaction was proposed. With empirical study the research found that customers' satisfaction of on-line shopping mall would be influenced by door-to-door delivery service quality attributes even though the door-to-door delivery firm is not the direct partner of the contract.

Explanatory Study on Online Shopping Mall Startup by Young Entrepreneurs (청년자영업자의 온라인쇼핑몰 창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 Kim, Jong Sung;Kim, Do Hyeon;Shin, Jee Mah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2
    • /
    • pp.35-4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o examine the process of starting a business in an online shopping mall for young self-employed people with experience in using Company N's Partner Square (Gwangju), a startup infrastructure institution.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survey data were used, and theoretical sampling method was used in the selection of study participants. After proceeding in the order of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uggested by Strauss & Corbin, it was analyzed with a paradigm model.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ven when parents were unaware about online shopping malls or had a negative mindset about it, but they had a positive mindset about their children's start-ups, it was found that their children tended to start online shopping mall businesses. However, if parents had a negative mindset about online shopping malls and about their children's start-up, then the child could not start an online shopping mall bus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use online shopping malls is important as a condition for entrepreneurship and achievement in online shopping malls for young people. In particular, Partner Square (Gwangju) was found to increase the ability to use online shopping malls and positively influence startups in online shopping malls. Third, it was found that young people have increased their self-esteem, discovering opportunities, and reinforcing their creativity, in addition to simply increasing their sales after starting the online shopping mall.

농식품 쇼핑물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Mi;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93-95
    • /
    • 2021
  •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COVID-19)은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쳤다. 그로 인해 학교 개학 연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가정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 제한에도 식료품은 여전히 인간의 기본 필수품이다. 전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식료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은 온라인 소매상에서 큰 폭의 증가를 보이며 온라인 쇼핑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판매 품목 중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농식품은 다른 제품보다 더딘 온라인 쇼핑의 성장 행태를 보이고 있다. 시장 상황을 보아 제품의 특성으로 인하여 농식품의 온라인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타 제품군과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해 농식품 쇼핑몰의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농산물 쇼핑몰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한 농식품 쇼핑몰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에서 거래 위험에 대한 저항을 낮추어 구매의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Prior Industry Experience, Product Attributes and Online Customer Review on New Product Sales: TV Products on Chinese Online Shopping (이전사업경험, 제품속성 및 온라인 고객평가가 제품 매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국 온라인 쇼핑몰내 TV제품 중심으로)

  • Gao, mingwen;Park, Sangmoo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4 no.1
    • /
    • pp.85-111
    • /
    • 2016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prior industry experience, new product attributes and online customer review on new product sales. Different from prior researches on the volume and valence of customer review on online shopping, this paper investigated multiple factors on new product sales in online shopping mall. Based on 407 TV new products in China online shopping mall,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kew factors with new products sales. New products of Incumbent TV manufacturers outsell those of new entrants in TV market. Low initial price and low level of discount rate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new product sales. Technological superiority has positive effect on new product sales but the adoptions of new technological functions show different effects on sales. The volume of online consumer review also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new product sales. This paper suggest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search for the opinion mining for the improvement of online shopping mall review grammatical errors (온라인쇼핑몰 상품평 문법적 오류 개선을 위한 오피니언 마이닝에 대한 연구)

  • Park, Se-Jeong;Hwang, Jae-Seung;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160-163
    • /
    • 2015
  • 현대인들은 필요한 물건들을 직접 구매하러 갈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의 이용 빈도가 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이 성행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것은 물건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품평은 구매를 결정하는데 많은 영향을 준다. 현재 온라인 쇼핑몰에서 고객이 상품평을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로 상품평의 의견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 오피니언 마이닝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문법적인 오류, 신조어와 같이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단어들을 감성분석기가 올바르게 판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분석의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형태소 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신조어 사전을 추가하여 Noisy-channel model을 적용하여 더욱 정확한 감성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평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커머스 창업생태계에서의 청년자영업자에 관한 연구 : N사 파트너스퀘어(광주) 이용자를 중심으로

  • Kim, Jong-Seong;Sin, Ji-M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21-2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N사의 파트너스퀘어(광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청년자영업자를 대상으로 e-커머스 창업생태계인 온라인쇼핑몰에 진입하는 과정과 성과를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을 활용해 규명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심층 면접 조사 자료를 활용했는데, 연구 참여자의 선정에 있어 이론적 표본 추출(Theoretical Sampling)방식을 사용했으며,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순으로 진행한 후 패러다임모형으로 분석했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e-커머스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부정적이라도 자녀의 창업에 대해서 긍정적이면 자녀가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자영업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가 e-커머스에 부정적이고, 자녀의 창업에도 부정적이면 자녀는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자영업에 진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층의 e-커머스를 통한 자영업 진입과 성과 창출조건으로 e-커머스 활용능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N사의 파트너스퀘어(광주)는 e-커머스 활용능력을 증대시켜, 청년층이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자영업 진입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층은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e-커머스 자영업에 진입한 이후 단순한 매출액 증가 이외에 자존감 상승, 기회발견, 창의성 역량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