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도 측정 센서

Search Result 92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rmal fixing of multiple holographic gratings in magnesium oxide doped lithium niobate crystal: erratum

  • Yi, Seung-Woo;Cha, Sung-Do;Shin, Seung-H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v.1 no.2
    • /
    • pp.120-120
    • /
    • 1997
  • 광섬유 Fabry-Perot 간섭계를 센서로 하는 TDM 다중화 광섬유 압력/온도 센서시스템을 개발하고,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위와 온도 측정실험을 행하였다. 측정시스템의 측정속도는 측정데이타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 최대 초당 4500회이며, 센서의 응답속도는 ~1 ms로 추정된다. 압력센서와 온도센서의 특성은 이론적 추정치와 비교하여 각각 +13.7%,-18%의 차이를 보였으며, 반복실험을 통하여 선형화한 후의 선형화 오차는 1%이내, 온도의 변화가 0.1$^{\circ}C$이내 일 때 수위측정의 오차는 $\pm$0.3cm이며, 수위측정에 대한 시스템 잡음은 측정하지 않았다. 온도센서의 시스템 잡음은 0.1$^{\circ}C$이내였으며,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위 및 온도 변화량에 대한 고속 측정실험을 수행할 결과 예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Measurement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on Human Body Surface using Multi-Channel Skin Temperature Sensors (다채널 피부온 센서를 이용한 인체표면 온도분포의 측정)

  • 한화택;김민규;박명규;이성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05-209
    • /
    • 2002
  • 인체의 피부온도는 쾌적성과 감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의류의 개발이나 건축환경의 설계 등에 활용되고 있다. 단순히 몇몇 측정점에서의 피부온도 데이터가 아니라 인체표면에 걸친 온도분포를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광범위한 응용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인체표면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대부분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열화상 카메라는 서미스터 등을 이용한 피부온 센서에 비하여 온도분해능이 떨어지며 특히 의복내의 피부온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노출된 인체표면에 대해서만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온 센서를 이용한 인체표면 온도분포 측정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각 센서의 위치와 간격, 그리고 인체 곡면을 따라서 보간법에 따라 온도분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적외선 화상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 PDF

A Fiber Temperature Sensor using Prism & Thermochromic Planar Waveguide Materials (프리즘과 열변색성 물질의 평면도파로로 구성된 광섬유형 온도 센서)

  • 조강민;서규원;윤종국;이동록;강신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196-197
    • /
    • 2003
  • 광섬유형 센서는 전자기적 간섭에 강하고 높은 감도와 원거리 측정 등의 장점뿐만 아니라 낮은 삽입 손실, 높은 기계적인 신뢰성, 원거리 측정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광통신 기술뿐 아니라 기초과학및 응용 과학분야의 계측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온도센서의 경우 센서의 재료가 온도에 견디는 정도에 따라 측정범위가 좌우되므로 광섬유형 센서의 경우 넓은 온도범위에서 측정이 가능하며 다양한 구조의 센서구현이 용이하다. (중략)

  • PDF

Calculation of Bed Change Depth using Temperature Sensors (온도 센서를 활용한 하상 변동고 산정)

  • Ahn, Myeonghui;Ji, 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74-274
    • /
    • 2018
  • 최근 지표수-지하수 혼합대 흐름은 하천의 지형학적 및 생태학적으로 그 중요성이 인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혼합대 흐름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 중 하상형태 변화는 혼합대 흐름의 체류시간 및 이동경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하상형태는 혼합대 흐름 특성 분석을 위한 수리학적 변수로 활용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지형측량 장비를 활용하여 종횡단으로 하상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근 온도 센서를 활용하여 장기간 하상형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하상변화를 예측하는 방법은 하상변화 측정의 지속성 및 효율성을 고려한 적절한 측정 방법 중 하나이다. 온도 센서를 활용한 하상변화 예측 방법은 하상에 온도 분포 센서를 설치한 후 하상 온도 및 수온을 일정한 간격으로 장기간 측정하여 기존에 제시된 공식을 통해 시간에 따른 하상 변동고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온도 분포 센싱을 활용한 계측방법은 하천에서 발생하는 침식 및 퇴적의 시간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데 매우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온도 분포 센서를 활용하여 시간에 따른 하상형태 변화를 계측하고, 측정 결과는 하상형태에 따른 혼합대 흐름체류시간 및 이동성 분석을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도 센서를 활용하여 하상형태 예측 및 하상 변동고를 산정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 급경사수로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하상 온도와 수온을 약 72시간 측정하였고 유량을 공급하기 전과 후에 Total Station으로 지형 측량을 수행하였다.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결과로 하상 변동고를 산정하였고 이를 Total Station으로 측량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하상 온도와 수온의 시간에 따른 변화 패턴을 확인하였다.

  • PDF

Multiplexed fabry-perot interferometric sensor system (다중화 Fabry-Perot 간섭형 광섬유 센서 시스템)

  • 나도성;예윤해;이동영;박광순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0 no.4
    • /
    • pp.273-278
    • /
    • 1999
  • A TDM-multiplexed fiber optic pressure/temperature sensor system utilizing fiber optic Fabry-Perot interferometers as sensing devic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measure water level variations and temperature variations. The maximum measurement speed of the system without saving measurement data is 4500 times per second and the response time of the sensors is thought to be ~m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for the scale factor of water level sensor and temperature sensor was +13.7%, -18% respectively. The nonlinearity of the sensors after calibration was less than 1%. The sensor system was applied to verify the capability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variations and water level variations at a high speed.

  • PDF

Fundamental design studies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on wireless environment (무선 환경에서의 온도 측정 시스템 설계에 관한 기초 연구)

  • 차부상;정우철;류정탁;김연보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4.06a
    • /
    • pp.101-10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온도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RF방식을 이용한 단 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특성을 측정하였다. 설계된 무선 전송기능의 온도 측정 시스템은 온도센서 및 제어부, 데이터 전송용 RF module로 구성되었다. 온도 측정을 위한 센서는 AD590 전류 구동 형 전압출력 센서이며 제어부는 PIC one-chip microprocessor를 사용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433MHz 주파수 대역의 반 이중 RF Module을 사용하여 system을 구현하였다. 실험은 10M 이내의 실내 공간 내에서 수행되었고, 임의의 온도측정 구간에 따른 온도 변화 환경에서 3가지 경우의 (3M,5M,10M) 거리 변화를 두고 데이터를 측정 및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10M 이내의 거리에서는 온도센서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여 결과를 처리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한 다중 Sensor 시스템 구현이 가능한 결과를 얻었다.

  • PDF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an Optical Fiber and a Thermal Sensor Cable for Temperature Monitoring (온도 모니터링을 위한 광섬유 센서와 온도센서 배열 케이블의 비교 연구)

  • Kim, Jung-Yul;Song, Yoon-Ho;Kim, Yoo-S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3 no.4
    • /
    • pp.15-24
    • /
    • 2007
  • Two kinds of temperature monitoring technology have been introduced in this study, which can measure coincidently temperatures at many points along a single length of cable. One is to use a thermal sensor cable comprizing of addressable thermal sensors. The other is to use an optic fiber sensor with 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 (DTS) system. The differences between two technolog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thermal sensor cable has a concept of "point sensing" that can measure temperature only at a predefined position. The accuracy and resolution of temperature measurement are up to the capability of the individual thermal sensor. On the other hand, an optic fiber sensor has a concept of "distributed sensing" because temperature is measured practically at all points along the fiber optic cable by analysing the intensity of Raman back-scattering when a laser pulse travels along the fiber. Thus, the temperature resolution depends on the measuring distance, measuring time and spatial res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wo different temperature monitoring techniques in technical and economical sense. To this end, diverse experiments with two techniques were performed and two techniques are applied under the same condition. Considering the results, the thermal sensor cable will be well applicable to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flow, geothermal distribution and grouting efficiency within about loom distance, and the optic fiber sensor will be suitable for long distance such as pipe line inspection, tunnel fire detection and power line monitoring etc.

Real Time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Using Optic Fiber Sensor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온도 감시 시스템)

  • Lee, Chang-Kun;Kim, Young-Su;Gu, Myeong-Mo;Kim, Bong-G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2
    • /
    • pp.209-216
    • /
    • 2010
  • Optical Temperature Distribution Sensor Measurement System uses fiber optic sensors itself for temperature measurement is a system which can be measured the Installed surrounding entire temperature as a thousand points by laying a single strand of fiber optic. If there are a lot of measuring points in the distribution Measurement, the cost of each measuring point can be reduced the cost level of existing sensors and at the same time this has the advantage of connecting all sensors as one or two strands of fiber. Generally Optical Fiber is used for communication but Optical Fiber itself can be used for sensor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sensor function which can be measured Temperature in the at least each one meter distance. By using these characteristics each sensor and the number of Connection Lines can be reduced.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real time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which is easy to manage and control for data storage, data management, data storage using a computer and which has the functions of monitoring and correction according to Real-time temperature changes using historical temperature data.

Study of the Fire Risk Caused by the Use of a Bimetal type Thermometer in the Drying Equipment (바이메탈식 온도센서를 적용한 건조설비에서의 화재 위험성 연구)

  • Park, Nam-Kyu;Kim, Jin-Pyo;Nam, Jung-Woo;Park, Jong-Taek;Song, Jae-Y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1 no.3
    • /
    • pp.73-78
    • /
    • 2017
  • In this paper, the fire risk using a bimetal type thermometer for construction installation is presented. Because construction equipment is used widely in the field and the site is exposed to explosions and fire by combustible gas or fume, strong restrictions on the structure and usage are applied. Moreover, the risk of fire increases as precise temperature measurements are poorly conducted via an inner temperature sensor inside construction furnac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of a bimetal temperature sensor which is used widely in construction installation and temperature measurement experiments relative to the material property of the target object. The results revealed the relatively precise temperature of the liquid object, whereas those of the gas and solid object showed a lower temperature compared to the real temperature. This shows that bimetal-type temperature sensor is more suitable for measuring a liquid state object than measuring a gas or solid state object.

Integrity of Optical Fiber Sensor for Measurement of Ground Thermal Conductivity (지중 열전도도 측정을 위한 광섬유 센서의 건전성)

  • Yoon, Seok;Choi, Jung-Chan;Lee, Seung-Rae;Lee, Michael-MyungSub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157-1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 센서 기반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이 지중 열전도도 측정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광섬유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열응답 시험기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열응답 시험기는 기존의 RTD(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온도 센서 외에 광섬유 센서의 한 종류인 FBG(Fiber Bragg Grating) 센서도 실시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장비의 적용성 검증을 위하여 주문진 표준사를 이용하여 모형토조 내에 일정한 간극비에 맞추어 시료가 조성되었으며 지중열교환기는 U자형 파이프가 사용되었다. 20시간동안 열응답 시험을 통하여 광섬유 센서와 RTD 센서를 동시에 이용하여 온도값을 측정하여 표준사의 열전도도 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모형실험을 통한 열전도도 값은 탐침법을 통해 얻어진 열전도도 값과 선형 열원 모델(line source model) 해석해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광섬유 센서와 RTD 센서와의 온도차는 0.1~0.3$^{\circ}$로써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광섬유 기반 열응답 시험기는 지반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지열시스템 가동에 따른 지중열 교환기의 손상도 평가 및 경보시스템 개발을 위해 지중열교환기의 거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데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