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도 조절기

Search Result 60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nfluence of chilling stress seeding stages on photosynthetic rate and physiological reponses of cucumber(Cucumis sativus L.) (오이묘에 냉온 Stress가 광합성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 Nam, Yooun-Il;Woo, Young-Hoe;Chum, Hee;Kim, Hy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11a
    • /
    • pp.163-171
    • /
    • 2001
  • 시설 원예작물의 겨울철 온도환경 관리에 대한 연구는 난방비 절약을 위한 저온관리 한계온도 구명(Tanaka 등, 1986), 또는 근권부 온도 조절에 의한 작물의 생산성 증진 연구와 같은 실용적 측면의 연구가 많이 수행된 바 있다(Fujie와 Saidou, 1983). 그러나 시설의 온풍기 고장 또는 정전 등으로 작물이 생육한계 온도이하의 저온상태에서 장시간 경과 되었을 때 나타나는 여러가지의 생리적인 장해나 피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Reyes와 Jennings, 1994). (중략)

  • PDF

Fog nozzle - Greenhouse Cooling System Analysis (포그노즐을 이용한 온실냉시스템 분석)

  • 김영중;유영선;윤진하;오권영;김승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05a
    • /
    • pp.104-111
    • /
    • 1997
  • 하절기 우리 나라의 온실내 온도는 4$0^{\circ}C$ 또는 그 이상으로 육박하고 있어서 작물 재배에 적합하지가 않다고 말한다. 채소류중에서 비교적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가지과와 박과의 경우 생육 적기온은 20 ~ 28 $^{\circ}C$ 범위에 있으며 최고 한계 온도는 35$^{\circ}C$ 정도이므로 여름철 온실내의 환경은 대체로 작물 재배에 적합하지가 않다고 할 수 있다$^{2)}$ . 또한, 고온으로 인한 재배작물의 품질저하도 고온기 작물생산에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중략)

  • PDF

A Capacitance Deviation-to-Time Interval Converter Based on Ramp-Integration and Its Application to a Digital Humidity Controller (램프-적분을 이용한 용량치-시간차 변환기 및 디지털 습도 조절기에의 응용)

  • Park, Ji-Mann;Chung, Won-Sup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37 no.12
    • /
    • pp.70-78
    • /
    • 2000
  • A novel capacitance deviation-to-time interval converter based on ramp-integration is presented. It consists of two current mirrors, two schmitt triggers, and control digital circuits by the upper and lower sides, symmetrically. Total circuit has been with discrete compon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onverter has a linearity error of less than 1% at the time interval(pulse width) over a capacitance deviation from 295 pF to 375 pF. A capacitance deviation of 40pF and time interval of 0.2 ms was measured for sensor capacitance of 335 pF. Therefore, the high-resolution can be known by counting the fast and stable clock pulses gated into a counter for time interval. The application of a novel capacitance deviation-to time interval converter to a digital humidity controller is also presented. The presented circuit is insensitive to the capacitance difference in disregard of voltage source or temperature deviation. Besides the accuracy, it features the small MOS device count integrable onto a small chip area. The circuit is thu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on-chip interface.

  • PDF

여름철의 자돈 사양관리

  • Choe, Jin-Seong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10 no.6 s.106
    • /
    • pp.49-56
    • /
    • 1988
  • 신생자돈은 하절기 외부환경에 민감하므로 저항력이 미약한 신체내부의 생리를 고려하여 영양 및 소화장애와 기타 질병 관리를 해야 한다. 특히, 온도.습도.환기를 잘 조절하고, 초유급여.압사방지.젖먹이사료 등 하절기 양돈 경영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 PDF

덕트 시공기술

  • 이진호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2
    • /
    • pp.7-11
    • /
    • 2001
  • 건물이 고층화, 대형화, 고급화 됨에 따라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하기 위한 욕구도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쾌적 공기조절 요소인 온도조절, 습도조절 및 환기기유지 등을 위한 전달매체인 덕트의 중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공조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적용되는 덕트의 종류, 재질, 시공방법 등을 개략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lectrically Controllable Terahertz Wave Modulator Based on a Metamaterial and VO2 Thin Film (메타물질 및 VO2 박막 기반의 전기적 제어 가능한 테라헤르츠파 변조기)

  • Ryu, Han-Cheol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5 no.5
    • /
    • pp.279-285
    • /
    • 2014
  • We propose an electrically controllable terahertz wave modulator based on a metamaterial and vanadium dioxide ($VO_2$) thin film. A square loop shape is designed to play the roles of both a resonating metamaterial and a heater to electrically control the conductivity of $VO_2$.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modulator were controlled by voltage.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of the modulator was stably changed from 0.27 to 0.80 at 470 GHz according to the conductivity values of $VO_2$.

LPG 압력 조정기용 다이아프램의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ong;Jung, Ki-Chang;Cho, Ki-Sung;Lee, 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109-113
    • /
    • 1998
  • 압력조정기란 저장탱크와 용기로 부터 연소기에 공급되는 가스압력을 연소기의 압력에 맞게 조절하여 정상연소가 되도록 돕는 장치로써, 용기 및 저장탱크내의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가스의 조성, 온도, 소비량, 소비시간, 잔류가스량 등의 변화에 따라 감압작용과 정압작용을 동시에 하는 장치이다. LPG용 압력조정기는 일반가정용이나 업소에서 주로 사용하는 조정기로써 용량 4kg/h부터 집단공급용인 수백 키로까지의 제품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감압작용, 정압작용, 폐쇄작용을 한다. (중략)

  • PDF

Thyristor의 종류와 제법

  • 박창엽
    • 전기의세계
    • /
    • v.25 no.4
    • /
    • pp.17-23
    • /
    • 1976
  • 세계제2차대전이후, 급속도로 발전해온 전기 및 전자공학으로 말미암아 현재의 시대를 electronic시대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전자공학의 발전으로 수많은 전자장치소자가 새로이 개발되었다. 그중에서 전기 및 전자회로에서 없어서는 안될 싸이리스터라는 반도체소자가 있다. 싸이리스터의 특성을 응용하여 정지스위치로서 과전압보호회로, 지연회로, 온도조절기, 전자충전용, 조정기, 변압기탭전환, 용접기의 제어회로등에 이용되며 위상제어용으로 조광회로, 전기로의 온도제어, 전동기의 속도제어, 직류전동기의 주전류제어회로에 이용되고 전류기로서 정전압전원, 정정류전원으로 이용하며 쵸퍼, 인버어터로서 직류를 단속시키며 다시 교류로 변환하여 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밖에 정류자나 부러쉬가 없는 모터를 제조할 수 있다.

  • PDF

Application Trends in Thermoelectric Materials (열전소자 적용 동향)

  • Chun, H.W.;Moon, S.E.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1
    • /
    • pp.144-153
    • /
    • 2015
  • 열전소자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소자로 자동차 온도조절 시트(Climate Control), 반도체(순환기, 냉각판), 바이오(혈액분석기, PCR, 시료온도싸이클 테스터기), 이학분야(스펙트로포토미터), 광학분야(CCD 쿨링, 적외선센서 냉각, 레이저다이오드 냉각, 포토다이오드 냉각, SHG레이저 냉각), 컴퓨터(CPU 냉각), 가전제품(김치냉장고, 소형냉장고, 냉온수기, 와인냉장고, 쌀통, 제습기), 산업분야(폐열발전기, 리모트 파워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다.

  • PDF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Exposure Time on UV-curing of Urethane Acrylate (UV 챔버 내부 온도 및 체류시간이 Urethane Acrylate의 경화속도에 미치는 영향)

  • Moon, Seung-Ho;Kim, Kwang-Hee;Kim, Jeong-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9
    • /
    • pp.3822-3826
    • /
    • 2012
  • We have studie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exposure time on the UV curing rate of Urethane Acrylate. UV dose has been modulated by changing the electric power, and temperature has been controled by coating rate and water temperature of the coating roll. Curing rate was evaluated by measuring gel fraction of the cured film. It has been found that effect of coating velocity on the gel fraction of the final film is predominant, but role of temperature of the UV chamber is negligible. These observations imply that exposure time of UV light is critical to have a fully cured film.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 of design and operating condition of UV coater on the behavior of UV curing of Urethane Acrylate, we have also conducted heat-flux analysis of UV cha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