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도별

Search Result 3,25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ffect of Food(Fruit and Oriental Herb's) Waste Materials on Removability of $Cd^2+$, $Pb^2+$ Ion in Water (식품(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에 의한 물 중 $Cd^2+$, $Pb^2+$ 제거효과)

  • 오경철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2 no.6
    • /
    • pp.602-607
    • /
    • 1999
  •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을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Cd, Pb 용액에서 사과껍질 모과 밤내피(밤 친껍질) 인삼, 키위껍질, 대추, 원두커피가루의 입자별, 농도별, 온도별 흡착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사과껍질을 제외한 모든폐기물에 있어서 중금속 흡착력은 증가되었고 중금속별 제거량은 Cd는 인삼폐기물이 3,506-4.659mg/g Pb은 밤 친 껍질이 9.189-9.582mg/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높았다 농도별 중금속 흡착력은 중금속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는데 Cd은 인삼 폐기물이 1,929-3.800mg/g. Pb은 밤 친 껍질이 0.930-9.3685mg/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높았다. 온도별 중금속 흡착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여 껍질이 9.368-9.613mg/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물에 함유된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을 이용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fort and Body Temperature in Different Fabrics by Sensitivity Assessment (감각평가에 따른 원단의 쾌적감과 피부온도)

  • 전향란;신윤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5-147
    • /
    • 2000
  •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종류의 원단으로 운동복을 만들어 선수들에게 입혀서 운동을 20분간 실시하게 하여 원단에 따라 쾌적감을 평가하였다. 실험방법은 피부온도를 4부위 측정하였고 가슴부위에서 의복 내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매 5분마다 주관적인 쾌적감을 신고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다른 종류의 원단으로 제작한 운동복에 따른 쾌적감과 피부온도의 변화와 의복내 온도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서 원단별로 쾌적감을 느끼는 피부온도와 의복 내 온도를 찾아내고 운동복의 디자인이나 설계에 적용하여 쾌적한 운동복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 결과 동일한 원단에서 운동시의 쾌적감은 부위별 피부온도가 높을 때 보다 낮을 때에 쾌적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운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의복이 열 평형을 이루기 위해 빨리 열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의복의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기 다른 원단에서는 시간별 감각평가를 비교한 결과 PE/Wool의 원단이 쾌적하다는 평가를 하였다. 처음 의복을 입었을 때와 운동 중 그리고 운동 후에 피부온도나 의복 내 온도 변화가 적을 때에 쾌적하다는 평가를 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Li-Ion Fresh Battery for Temperature (온도를 고려한 리튬이온 프레시 배터리의 특성 분석연구)

  • Kim, J.H.;Lee, S.J.;Lee, J.M.;Cho, B.H.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11a
    • /
    • pp.66-68
    • /
    • 2007
  • 상온에서 모든 리튬이온 프레시 배터리의 특성이 동일하지는 않다. 각 프레시 배터리 별 용량, 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DCIR), 펄스파워가 각각 다른 값을 보인다. 하지만 저온이나 고온을 고려하였을 때 프레시 배터리의 용량, DCIR, 펄스파워는 온도별로 비슷한 경향성을 보인다. 이번 논문에서는 온도(고온, 저온)를 고려한 리튬이온 프레시 배터리의 특성을 분석, 연구하였다. 온도를 고려하였을 때 프레시 배터리는 상온대비 고온, 저온별로 일정한 용량 변화율을 보이며, DCIR과 펄스파워는 특히 상온에서 고온으로 갈수록 일정한 경향성을 보인다. 실험은 $10^{\circ}C$부터 $50^{\circ}C$까지 11개의 프레시 배터리를 통하여 온도별 특성을 검증하였다.

  • PDF

Changes in Air Temperature and Surface Temperature of Crop Leaf and Soil (기온과 작물 잎 및 토양 표면온도의 변화양상 분석)

  • Lee, Byung-Kook;Jung, Pil-Kyun;Lee, Woo-Kyun;Lim, Chul-Hee;Eom, Ki-Cheol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6 no.3
    • /
    • pp.209-221
    • /
    • 2015
  • Tempera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rop growth. The diurnal cycle of the scale factor [Tsc] for air temperature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crop leaf and soil could be estim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 $[Tsc]=0.5{\times}sin(X+C)+0.5$. The daily air temperature (E[Ti]) according to the E&E time [X] can be estimated by following equation using average (Tavg), maximum (Tm) and minimum (Tn) temperature : $E[Ti]=Tn+(Tm-Tn){\times}[0.5{\times}sin\;\{X+(9.646Tavg+703.65)\}+0.5]$. The crop leaf temperature in 24th June 2014 was high as the order of red pepper without mulching > red pepper with mulching > soybean under drought > soybean with irrigation > Chinese cabbage. The case in estimating crop leaf surface temperature using air temperature and soil surface temperature was lower in the deviation compared to the case using air temperature for Chinese cabbage and red pepper.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for the crop models as input data with estimation.

Development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f LED lighting system for elevator based on color temperature control (색온도 제어 가능한 승강기용 LED 조명제품 개발 및 성능측정)

  • Kim, Gi-Hoon;Cheon, Woo-Young;Kim, Jin-Hong;Song, Sa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65-70
    • /
    • 2007
  • 고연색성의 실시간으로 색온도 제어 가능한 승강기용 조명 제품 개발을 위하여 4계절 별 일 중 주광의 색온도 변화를 계산하였다. 4계절 별 일 중의 색온도 변화는 대한민국 서울의 위치를 기준으로 태양광 직사조도, 청공광조도 등을 계산하고 지면조도와 색온도의 관계로부터 춘분, 하지, 추분, 동지의 일 중 색온도 변화를 계산하였다. 이 값들을 색온도 제어회로의 Microprocessor에 이식함으로 4계절 별로 실시간으로 색온도가 변화하는 승강기용 조명기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 시제품의 전기적, 광학적 성능 측정 결과 각각의 개발 목표 항목을 만족시켰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Urea Injection Conditions in the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SNCR) Process (SNCR 공정에서 요소수 분무 조건에 관한 수치 해석)

  • Jung, Yu-Jin;Jeong, Moon-Heon;Park, Ki-Woo;Hong, Sung-Gil;Jung, Jong-Hyeon;Shon,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356-359
    • /
    • 2012
  • SNCR 기술은 SCR에 비해 탈질 효율은 떨어지지만 촉매없이 고온 배출가스에 NH3 또는 요소수를 직접 분사하여 질소와 물로 환원시키는 방법이므로 초기 투자비 및 운영비가 적어 최근 국내 대다수의 소각장, 산업용 보일러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단, SNCR 기술은 급격한 온도 강하나 접근의 불용이성, 불균일한 혼합, 액적의 증발시간 지연, 불균일한 운전 조건 등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특히 반응 온도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서 최적 반응 온도 영역대가 약 800~$1,000^{\circ}C$라는 점에서 이상적인 반응 온도 조건을 찾아서 환원제를 분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열유동 전산해석을 통해 스토커식 소각로의 폐기물 성상별 화염 온도 분포를 예측하고 적정 반응 온도 영역을 확인하여 요소수 주입 고도를 선정, 폐기물 성상별 분무 조건을 확립하고자 수치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폐기물 성상(고질/중질/저질 폐기물)별로 화염 온도를 예측한 결과, 최적 반응 온도 영역대가 약 800~$1,000^{\circ}C$, 폐기물 성상의 심한 변화 때문에 소각로의 효율적인 연소 조건 제어에 어려움 등을 고려하여 약 700~$1,000^{\circ}C$ 온도 영역대를 환원제 분무 온도로 선정하였다. 폐기물별로 발열량에 따른 화염 온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환원제 분무 위치를 3지점으로 선정하여 각 지점별로 분무 운전 조건을 확립하였다.

  • PDF

THE STELLAR COLOR-TEMPERATURE RELATION IN ULTRAVIOLET REGION (자외선 영역에서 별의 색지수와 온도의 상관관계)

  • 최영준;한원용;강영운;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5 no.2
    • /
    • pp.321-333
    • /
    • 1998
  • In order to derive the UV color - effective temperature relation, we calculated the effective temperature and ultraviolet color index for about 118 IUE standard stars. Using differential correction method, the effective temperature was obtained by the best fittings of IUE low-dispersion spectra to the Kurucz model (1993), and the UV color index was calculated from the magnitude differences of the UV wavelength between 2750 $\AA$ and 2950 $\AA$. The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Kurucz model fittings was consistent with that obtained by other investigators (Malagnini & Morossi 1990, Malagnini et al. 1986), except for the low temperature stars. The relations between UV color - effective temperature also was similar to that in Kurucz model.

  • PDF

Analysi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per length in highway tunnel (공용중인 고속도로 터널내 연장별 온도 조사 분석)

  • Hong, Seung-Ho;Lee, Kyung-Ha;Kim, Nag-Young;Yun, Kyong-Ku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7 no.3
    • /
    • pp.259-267
    • /
    • 2005
  • This paper analyzed characteristic of temperature change as well as bottom of tunnel with thermometer according to tunnel length and region during one year. And it measured temperature distribution near tunnel portal. In the paper it was known that tunnel entrance and exi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ccordiance with bottom of tunnel per tunnel length. Temperature of tunnel changed from tunnel exit to fifty meter and distribution of tunnel temperature was established uniform regardless of tunnel length. But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unnel changed in tunnel entrance differ from tunnel exit in the location of one hundred twenty five meter and one hundred fifty meter. Cold air inflowed from tunnel entrance have influenced with the location of one hundred twenty five meter and one hundred fifty meter.

  • PDF

A study on temperature dependent acoustic receiving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acoustic sensors (수중음향센서 수온 변화에 따른 음향 수신 특성 변화 연구)

  • Je, Yub;Cho, Yohan;Kim, Kyungseop;Kim, Yong-Woon;Park, Saeyong;Lee, Jeong-M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2
    • /
    • pp.214-221
    • /
    • 2019
  • In this paper, a temperature dependent acoustic receiving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acoustic sensor is studied by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Two different types (low mid frequency sensor and high frequency sensor) of underwater acoustic sensors are designed with different configuration of baffle and conditioning plate. The temperature dependent characteristics of the acoustic sensors are investigated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2^{\circ}C$ to $35^{\circ}C$.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piezoelectric ceramics, molding and baffle, which are the primary materials of the acoustic sensors, are measured with temperature change. The temperature dependent RVS (Receiving Voltage Sensi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acoustic sensors are simulated by using the measured material properties. The RVS changes of the acoustic sensors are measured by changing temperature in the watertank where the acoustic sensors are installed. The measured and the simulated data show that the temperature dependent characteristics of the acoustic sensors are mainly dependent for the sound speed changes of the molding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