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Air Temperature and Surface Temperature of Crop Leaf and Soil

기온과 작물 잎 및 토양 표면온도의 변화양상 분석

  • Received : 2015.08.19
  • Accepted : 2015.09.21
  • Published : 2015.09.29

Abstract

Tempera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rop growth. The diurnal cycle of the scale factor [Tsc] for air temperature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crop leaf and soil could be estim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 $[Tsc]=0.5{\times}sin(X+C)+0.5$. The daily air temperature (E[Ti]) according to the E&E time [X] can be estimated by following equation using average (Tavg), maximum (Tm) and minimum (Tn) temperature : $E[Ti]=Tn+(Tm-Tn){\times}[0.5{\times}sin\;\{X+(9.646Tavg+703.65)\}+0.5]$. The crop leaf temperature in 24th June 2014 was high as the order of red pepper without mulching > red pepper with mulching > soybean under drought > soybean with irrigation > Chinese cabbage. The case in estimating crop leaf surface temperature using air temperature and soil surface temperature was lower in the deviation compared to the case using air temperature for Chinese cabbage and red pepper.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for the crop models as input data with estimation.

기후변화와 기상조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분야는 농업이며, 특히 온도는 작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수원에서 관개 조건 콩, 한발조건 콩, 배추, 노지 고추 및 비닐멀칭 고추 등 5개 작물에 대하여 기온과 작물 잎 및 토양의 표면온도를 monitoring 하여 이들 온도의 일중 변화 양상과 생육기간 동안의 온도 변화 양상 및 온도 요인 별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시기별 기온과 작물잎 및 토양 표면온도에 대한 scale factor[Tsc]의 일중 변화 양상은 $[Tsc]=0.5{\times}sin(X+C)+0.5$와 같이 일중 시각(X : E&E time)에 대한 sine 함수로 나타낼 수 있었으며, scaling technique과 시기별 일 평균기온(Tavg), 최고기온(Tm) 및 최저기온(Tn)의 값을 이용하여 아래 식에 의해 시기별 일중시각(X)별 기온을 추정(E[Ti])할 수 있다. $E[Ti]=Tn+(Tm-Tn){\times}[0.5{\times}sin\;\{X+(9.646Tavg+703.65)\}+0.5]$. 또한 2014년 6월 24일의 작물별 일평균잎 표면온도는 노지 고추 > 멀칭 고추 > 한발 콩 > 관개 콩 > 배추 순이었다. 작물의 잎 표면온도를 추정할 경우, 멀칭 고추와 관개 및 한발 콩의 경우는 기온을 이용하여 가능하였으나, 배추와 노지 고추의 경우는 기온과 토양표면 온도의 두 변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기온 한 변량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작물 잎 표면온도의 실측치에 대한 편차가 더 작았다. Scale factor를 이용한 시기별 일중시각별 기온을 추정하는 방법과 작물별 잎 표면온도의 변화 양상을 구명한 본 연구결과는, 온도 등 기상자료를 이용한 작물 수량 예측 모형의 입력자료 산정 등에 활용 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