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도변화 손실

Search Result 54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ynamic Characteristics of Plastic Materials for Automobile Cockpit Module (자동차 칵핏 모듈용 플라스틱 소재의 열화 동특성 평가)

  • Woo, Chang Su;Park, Hyun Sung;Jo, Jin Ho;Kim, Ji Hoon;Choi, Ju Ho;Kim, Yeoung Ku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12
    • /
    • pp.1585-1590
    • /
    • 2012
  • Engineering plastics are used in instrument panels, interior trim, and other vehicle applications, and the thermomechanical behaviors of plastic materials are strongly influenced by man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sunlight, and rain. As the material properties change, the mechanical parts create unexpected noise. In this study, the dynamic mechanical property changes of plastics used in automobiles a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effects. Viscoelastic properties such 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storage modulus and loss factor under temperature and frequency sweeps were measured. The data were compared with the original ones before aging to analyze the behavior changes. It was found that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storage modulus decreased and the loss factor increased slightly.

Variable Optical Attenuator using Optical Coupling between a Side Polished Fiber and Refractive Index Matching Liquid (측면 연마된 광섬유와 굴절률 정합액사이의 광결합을 이용한 가변 광 감쇠기)

  • Kim, Kwang-Taek;Song, Jae-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D
    • /
    • v.36D no.9
    • /
    • pp.50-55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variable optical attenuator using the side polished fiber coupled with a refractive index matching liquid. Small variation of refractive index of matching liquid can induce very large change of optical loss due to the coupling between the fiber mode and radiation mode. The thermo-optic effect of matching liquid was used to ontrol the optical attenuation. The side polished fiber block was fabricated using the silicon V gloov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5^{\circ}C$ temperature variation was enough to adjust full range attenuation. The polarization dependent loss and insertion loss of the fabricated devices were 0.5dB and 0.2dB respectively.

  • PDF

A Study on the Variation of Optical Fiber Splicing Loss due to Environment (광섬유 접속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손실변화 연구)

  • Kim Young-Ho;Yoo Kang-Hee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105-110
    • /
    • 2006
  • The most sensitive part of the installed optical cable is the optical loss variation of the splicing poi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This paper presents the detail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on optical loss, such as bending, temperature variation, temperature variation after water osmosis and variation. Through the bending test of optical fiber, rapid increase of optical loss was measured within the diameter of 30mm. The result of optical loss variation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30^{\circ}C{\sim}60^{\circ}C$ is less than 0.02dB.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optical loss increased up to 0.2dB in case of water osmosis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40^{\circ}C{\sim}80^{\circ}C$. There is small optical loss variation of 0.01dB under the 1mm vibration test.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data for the design of the optical fiber cable splicing enclosure to protect the optical loss variation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 PDF

영광1호기 원자로 냉각재 평균 온도 조정에 따른 터빈 사이클 열성능 변화 분석

  • Choi, Kwang-Hui;Hong, Seung-Yeol;Park, Bu-Seong;Kim, 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a
    • /
    • pp.532-537
    • /
    • 1996
  • 영광 1호기의 일차계통인 원자로 냉각재 평균온도( $T_{avg}$)를 적정값으로 미세조정하여 운전할 때, 2차계통 주요 운전변수인 주증기압력이 상승하고 터빈출력이 상승함을 발견하여 이에 대한 터빈사이클 열성능 변화를 발전소 전체 열평형 계산에 의해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그 원인을 열역학 2법칙에서의 엔트로피개념을 이용한 유용에너지의 최대값인 엑서지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하였다. 분석 결과 열평형 계산에서는 전체 열량의 대부분인 63.2%가 복수기에서 손실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열역학 제2법칙의 엑서지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비가역손실이 주로 터빈(전체 엑서지의 12.7%)에서 일어나고 그 다음이 복수기(5.7%), 급수가열기(2.1%) 그리고 1,2단 재열기 (1.0%)의 순으로 전체 사이클에서 일어나며, 주증기 압력이 상승할 때 터빈 출력이 상승하는 주원인은 주증기의 유용성(엑서지)이 크게 증가하는 것에 비해 터빈사이클에서의 비가역손실은 적게 증가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다.

  • PDF

Changes in Color Value and Chemical Components of Hoelen by Various Drying Methods (건조방법에 따른 복령의 색도 및 화학성분의 변화)

  • Jee, Jae-Hyung;Lee, Hyun-Dong;Chung, Shin-Kyo;Choi, Jong-Uc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3
    • /
    • pp.575-580
    • /
    • 1999
  •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nges of Hoelen was investigated, which were color differences, browning degrees,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to optimize drying condition using hot air and far infrared drying by changing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s, air velocities and radiation distances. In color values, ${\Delta}b\;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while ${\Delta}L$, ${\Delta}a$ and ${\Delta}E\;value$ increased. The browning degrees showed the similar tendency with the color values. Total phenolic components of Hoelen decreased with increasing drying temperature and air velocity, and decreasing radiation dista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 of Hoelen among drying methods and conditions. As a result, the hot air drying was more effective method than the far infrared was.

  • PDF

난류상태로 운전되는 저어널베어링에서의 THD 해석

  • 이득우;김경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6.11a
    • /
    • pp.52-55
    • /
    • 1986
  • 최근 난류상태에서 운전되는 베어링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윤활문제에서도 난류영역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베어링내의 흐름이 난류상태가 되면 마찰손실의 증가등 증류상태에 비해 여러가지의 윤활특성이 달라지는데, 특히 마찰열에 의한 윤활제의 온도증가는 베어링성능변화에 크나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일반적으로 유막내에서의 온도변화가 그다지 없는 경우는 재래의 등점도이론으로 어느정도 성능예측이 가능하나, 온도변화가 지배적인 경우에는 점도변화를 고려한 THD해석이 성능예측에 보다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에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들 해석은 실제 온도상승이 가장 큰 벽면에 인접한 영역에 대해서 불완전하며, 편심율이 큰 경우에서와 같이 축 방향의 유동이 크거나,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적응이 곤란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 $\kappa-\varepsilon$모델을 이용한 저어널베어링에서의 3차원 THD해석을 행하였다.

  • PDF

Intensity-modulated Multiplexing of FBG Sensors (광 세기 변조 다중화 된 브래그 격자 센서)

  • 서정민;이정주;권일범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324-325
    • /
    • 2003
  •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Fiber Brags Grating Sensor: FBG Sensor)는 여타 광섬유 센서와 같이 가볍고 저렴하며 주위의 전자기적 잡음에 무관한 장점과 더불어 측정대상이 반사광의 파장변화이므로, 광섬유 연결부나 실험장치들에 의해 생기는 광 손실이나 잡음에 대해서 강인한 측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파장변화가 변형률이나 온도변화에 선형적으로 나타나므로, 센서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구조물의 내부에 삽입하여 구조물 스스로 외부의 환경변화를 감지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지능형 구조물(Smart Structure)에 적합한데, 이를 위해선 구조물의 여러 지점을 측정해야 하므로, 브래그 격자 여러개를 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다중화(Multiplexing)가 필수적이다. (중략)

  • PDF

Output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Power Systems under Unusual Climate Situations (기후환경 변화를 고려한 전력전자설비의 출력특성 분석)

  • Lim, Jongung;Yoon, Chungi;Han, Sanghun;Im, Yong-Bae;Choe, Gyu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331-33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향후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력용 스위치 MOSFET(K3878)를 더블펄스 테스터를 사용하여 턴 온, 오프 손실을 분석하였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스위치의 기생성분들의 변화하기 때문에 밀러턴온 등 원치않는 스위칭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온도에 따른 스위칭 손실을 비교하고, 전력변환장치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Dielectric Properties of Bisphenol-A Based Epoxy Resin Composite with Varying Temperature (비스페놀-A를 기반으로 제작한 에폭시 복합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유전특성)

  • Lee, Ho-Shik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4 no.1
    • /
    • pp.25-32
    • /
    • 2017
  • Such electrical properties (dielectric permittivity and dielectric loss of epoxy resin with the variations of frequency (30 ~ 300k Hz) and temperature ($20{\sim}160^{\circ}C$) have been measured. Dielectric dissipation of three specimen did not occurred below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regardless of frequency, but occurred above its temperature.

A Numerical Study of the Three-Dimensional Convective Heat Transfer in an Infant Incubator (신생아 보육기 내에서의 삼차원 대류 열전달에 관한 수치해석)

  • 전성수;김영호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1
    • /
    • pp.35-40
    • /
    • 2001
  • 압력기반의 유한체적법과 k-$\varepsilon$난류모델을 이용하여 신생아 보육기 내의 삼차원 정상난류유동해석과 대류현상에 의한 열전달을 해석하였다. 보육기 내의 주된 공기유동은 입구에서 유입된 공기가 보육기 위쪽을 지나 출구로 이동하며 각진 구석에서 작은 와류들이 관찰되었다. 보육기의 입구부를 제외한 대부분에서의 유속은 0.1m/s 이하로 나타났으며, 신생아의 다리부분에서의 속도가 머리부분보다 다소 크게 관찰되었다. 입구쪽의 온도가 출구쪽의 온도보다 1~2$^{\circ}C$ 높게 나타났으며 속도 크기가 큰 다리부분에서의 온도가 머리 또는 목부분보다 다소 낮았다. 보육기 내의 온도변화는 약3~4$^{\circ}C$로 다소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입구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벽과 직각으로 만나며, 보육기 외벽의 각진 구석부분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입구속도를 적절히 줄이거나 유선형의 유동을 갖도록 설계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보육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