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옥외

검색결과 723건 처리시간 0.026초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심벌이 브랜드 이미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Family Restaurant's Brand Symbol on Brand Imag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 김기영;이용호;최동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46
    • /
    • 2011
  • 본 연구는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심벌이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브랜드 심벌을 시각적 기호로서 기능적 요소, 가치적 요소, 심미적 요소의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중 기능적 요소와 심미적 요소가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는 다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브랜드 심벌에 대하여 그림이나 기호의 마크형보다는 기업명이나 브랜드명이 들어간 로고형을 선호하였고 TV광고보다는 옥외광고가 더욱 인지도를 높인다고 응답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근거로 향후 브랜드 런칭 시 심벌에 대한 디자인은 앞에서 언급한 로고형 심벌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광고는 어느 한곳에 편중되지 않은 옥외광고와 TV광고가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 PDF

구도심가로변의 상업건축물 외부파사드 개선을 위한 옥외광고물의 색채현황 분석 및 이미지 평가 (An Analysis of Color Status and Image Evaluation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Facade of Commercial Building Structure in Old Downtown Area)

  • 최영신;임채진;이진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08-219
    • /
    • 2011
  • This study is intended to formulate the issues through the status analysis and image evaluation for each street on the basis of colors for the outdoor advertisements for part of street side in the oldest downtown for its construction year. Analysing the business type of the street side, it displays the identity of the fashion business area and the color status shown on the outdoor advertisement did not consider the harmony on the other business type and building improvements that it displays chaotic street views in overall. Status of color for the outdoor advertisement compared and analyzed for each street-side to be analyzed with high color contrast with the building structure and outdoor advertisements than the Street B side where there are many businesses of fashion sundries and fashion clothes to form more complicated street scenery visually for the Street A side. The color combination principle of building structure and outdoor advertisement was shown to be the factor for the contrasting unity and diversity. In order not to stimulate this visual confusion, the colors of outdoor advertisement has to be applied on the basis of the color guideline based on the color combination principle of outdoor advertisement and building structure to have the aesthetic harmony overall.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KJ method, the present image of the old downtown area was shown with the adjective vocabularies of "complicated", "out-dated", "chaotic", "disorganized", "dirty", "suffocating", and "unilateral", and its image to strive for would be in a total of 6 adjective vocabularies of "well-arranged", "young", "dynamic", "sophisticated", "personable" and "neat", and it has presented the basic foundation of color guideline of outdoor advertisement fit for its image.

Silicone Fluid들이 실리콘 고무의 절연특성에 미치는 영향(1) (Effects of Silicone Fluids on Insulation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 강동필;박효열;안명상;김대환;이후범;오세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유기절연재료 방전 플라즈마연구회
    • /
    • pp.40-43
    • /
    • 2003
  • 전기방전에 대한 shed 재료의 열화내성과 우수한 발수성의 장기간 유지특성은 폴리머 애자의 장기성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들이다. 애자 제조시 무결점 성형성 또한 중요한데 열화내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량의 ATH의 첨가가 수반되기 때문에 적절한 process oil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사용하는 오일의 종류와 량에 따라 옥외절연물의 장기성능에 영향을 주는 표면발수성이나 방전내성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학적 구조와 정도가 다른 몇 가지 실리콘 fluid들을 실리콘 고무에 처방하여 기본물성과 초고압 옥외절연물의 shed 재료로서 장기성능에 영향을 주는 방전열화내성과 표면발수성의 회복특성을 평가하였다. 실리콘 고무의 무결점 사출성형에 가소도가 중요한데 동일한 무기물 첨가조건에서 유사한 가소도를 갖게 하는데 필요한 량은 fluid들의 종류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PDMS는 점도는 낮지만 분자량이 커서 많은 량이 첨가되어 기계적 특성저하가 크게 일어났다. 코로나 처리후 발수성 회복특성은 fluid들의 분자크기와 반응기의 종류에 따라 상당히 영향을 받았으며 분자가 클수록 초기회복속도는 다소 느려도 최종의 상시발수성은 다소 높게 유지되었으며 2일 이내에 거의 초기 접촉각으로 회복되었다. 내아크성은 무게손실이 적을수록 오차범위도 작은 안정된 특성을 보였으며 fluid들의 종류에 따른 무게손실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트래킹 방전에 의한 무게 감소는 fluid의 분자가 크면서 페닐기를 가진 fluid들이 첨가된 고무가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 PDF

주거환경유형과 거주자의 주거만족 (Housing Environment Type And Resident Housing Satisfaction)

  • 진양교;수와이드만;제임스앤더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환경지표와 그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반응간 의 인과적 관련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주자의 주관 적 반응인 주거만족과 객관적 환경지표의 하나인 주거환경유형들(건물유형 과 건물배치유형)과의 인과적 관련도가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토의된다. 한국의 6개 대단위 공동주택단지가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되었고, 표본 추출시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형을 고려한 다단계 표집방법(multistage sampling)이 사용되었다. 설문면답방법(modified structured survey)에 의해 646명의 처리 가능한 응답이 수거되었다. 인과모형 검증의 첫 단계로서 다 수의 설문문항을 원래 관심있는 소수의 변수로 정선, 추출하기 위한 방법 으로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요인분석으로부터 정선, 추출된 변수를 이용 해서 본 연구의 가설모형이 정립되고, 그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볼 때,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 형 모두가 거주자의 지각, 인식, 태도 등의 적절한 매개변수들을 통해 거주 자의 주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유형은 일반 적으로 저층주거에서 고충주거로 바뀌면서, 거주자의 주거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고층주거가 거주자에게 주는 시각적 단 조로움, 과밀감, 그리고 주차장을 포함한 옥외공간 이용상의 불편들과 또 그들로 인한 낮은 안전성 및 경관에 대한 불만족 등이 그 이유로서 밝혀졌 다. 건물배치유형의 경우, U자형의 배치유형이 선형배치유형에 비해 과밀 감 해소, 시각적 명료성 향상, 그리고 옥외공간 이용상의 편리 등 및 또 그 에 따른 경관에 대한 만족의 향상 때문에 거주자의 주거만족을 높이는 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와 관련된 설계 및 계획분야를 위한 여러 다 양한 제안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추후 관련 연구들을 위한 가능성들 도 토의되었다. 그 유용성 때문에, 아직 많은 이론적, 방법론적, 그리고 분 석상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환경지표들과 이용자들의 만족을 포함 한 다양한 주관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밝히려는 시도가 계속되 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신체활동수준과 스트레스수준에 따른 Vitamin-D 결핍률에 관한 직군별 비교분석연구: 2008~2013년 KNHANES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Experience on the Vitamin D Deficiency according to Occupations: results from KNHANES dataset for 2008~2013)

  • 심재문;전현규;이건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05-51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수준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직군별 Vitamin D 겹필률 차이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KNHANES 2008~2013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교차분석, 로지스틱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의 간접효과 분석을 위해서 SOBEL 테스트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Vitamin D 결핍은 옥외활동이 많은 직군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신체활동수준이 높을수록 결핍률이 낮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신체활동수준을 매개변수로 하여 Vitamin D 결핍에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Vitamin D 결핍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 옥외활동이 많은 사무종사자 등의 직군에서는 근무자가 주기적으로 햇볕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신체활동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다면 적절한 해결책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직장 내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하여 근로자의 신체활동 수준을 유지하는 것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농가 옥외공간의 평가 - 옥외공간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n the Outdoor Space in Farmhouse)

  • 박인환;김보균;사공정희;장갑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7-5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mponents for the improvement of outdoor spaces in farmyards and to suggest guidelines for the planning of these space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general farmyards located around farmhouses which had government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of on-site gard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though over 50% of the general farmyards did not have gardens, most gardens of farmyards (90% and over) featured trees and/or flowers. This demonstrated that the residents of the farmyards thought positively about green spaces. 2. With the establishment of a garden, the self-image of the household improved along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Thus, the construction of the garden brought about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positive results. 3. Regard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green space and shade, the rate of farmyards with gardens was higher than those without. With more government support for developing such green spaces, satisfaction with them could increase. The same result was obtained regard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towards visual harmony with nearby farmyards, indicating that neighboring farm households want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4. The frequency of use of living space increas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gardens in farmyards, in spite of decreased working space. %is aspect could be used as data in the planning of gardens in farmyards. 5. The perceived necessity of gardens in the general farmyards and desire to construct new gardens rose. This preference was high in gardens with abundant greenery and a lot of rest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ose reasons result from a poor farm economy. With government support, general farmyards without gardens could construct gardens. And we might infer that the residents' desire to construct a garden in general famyards had been influenced by a neighbor with a garden.

우리나라 옥외 무선광통신 시스템의 링크 가용성 (Link Availability of Terrestrial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in Korea)

  • ;;김훈
    • 한국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7-84
    • /
    • 2018
  • 본 연구에서 서울, 부산, 대전의 5년치 날씨 정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옥외 무선 광통신 시스템의 링크 가용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상 상태와 시계(visibility)를 이용하여 대기의 흡수와 산란이 유발하는 광전력 감쇠를 계산하였다. 또한 날씨 정보를 활용하여 신틸레이션에 의한 수신 광전력 변화를 예측하였다. 대기의 흡수 및 산란에 의한 광전력 손실과 신틸레이션에 의한 광전력 변화가 서로 무관하다는 가정 하에 수신 광전력과 수신 감도를 비교하여 링크 가용성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10 dBm 송신기 출력과 7 cm 수광 직경을 가진 수신기를 사용한 3.5 km 시스템의 링크 가용성은 대전에서 95% 이상으로 예측되었다. 부산과 서울의 경우 대전보다 열악한 시계로 인하여 낮은 링크 가용성을 보였다.

특고압 인입공사 시공방법연구 (A Study of Construction method of installing High-Voltage Lead-in)

  • 오승철;박수홍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29-134
    • /
    • 2011
  • 일상생활에 필요한 전력공급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한전 책임분기점 전주에서 전기실 수변전설비까지 시공방법을 설계도면을 숙지하고 현장작업 조건을 충분히 파악하여 한전 한전책임분계점 위치를 한전측과 협의하여 결정하고 전주에 책임분계점(수전점)의 지중케이블 입상주을 설치하고 옥외관로터파기 및 맨홀을 설치하며 파상형경질폴리에틸렌 전선관(125C) 및 CNCV-W특고케이블을 포설하고 전기실 수배전반설치까지의 공사과정을 면밀히 분석 검토하여 시공한다. 공동주택 전력계통의 핵심적인 부분인 한전 책임분계점에서 부터 옥외관로공사, 특고압지중전선로 및 수배전반설치까지 실제 현장에서 직접 시공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공동주택의 특고압인입공사 및 수배전반 설치에 대한 시공방법의 내용을 제시 하였다.

CDMA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한 케이블 방송 전송설비 누설전자파 영향 분석 (Analysis of impact of CATV leakage o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 박성균;한찬규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18-226
    • /
    • 2011
  • 본 논문은 현재 유선방송 기술기준에서 CDMA 이동통신서비스 대역의 누설전자파 기준이 적절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CDMA 2000 1X 기지국 장비를 통한 실험결과로부터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최대 허용 간섭 레벨은 -110dBm/1.23MHz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이동통신기지국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을 케이블 방송 옥외 전송설비의 누설 간섭전력의 임계레벨과 누설전자파 세기를 산출하였다. 일반적으로 옥외에서 측정되는 외부시스템의 배경 간섭레벨인 -100~-80dBm/1.23MHz에 대해서 허용될 수 있는 케이블 방송 설비의 누설전자파 임계치는 현행 유선방송 기술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이것은 현행 기술기준이 지나치게 최악의 경우를 상정하여 설정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이동통신사업자의 실제적인 기지국 조건을 적용하여 합리적인 기술기준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고령자 맞춤 아파트의 옥외 공용공간 및 부대·복리 시설 배치계획 분석 - 강남구 세곡지구 4단지를 중심으로 - (Layout Plan Analysis of Communal Outdoor Space and Welfare Facilities for Senior Apartment - Focusing on Segok District 4th Complex in Gangnam-gu -)

  • 이정림;홍원화;김태우;최진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33-40
    • /
    • 2013
  • This study has examined layout of communal outdoor space and welfare facilities in the nation's very first senior apartment complex in Segok-dong, Gangnam-gu that has been developed by Seoul City. In order for this space to play a role as a center of communication: 1) A center space of community should be created at the point of intersection of main moving lines of pedestrians. 2) Hierarchical area should be set up between main moving lines of walking and communal outdoor space. 3) It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o reflect demands of seniors and be accommodated their activities and behaviors. 4) It should be functionally connected to local infrastructure facilities so that it can promote social exchanges among seniors. Points to be considered in welfare facilities: 1) They should b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complex to provide convenience to all seniors. 2) Area of senior citizen center should be subject to flexible legal regulation in light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3) in case that welfare facilities are installed in the same space, intermediate space is required to alleviate collision between 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4) Senior assistance facilities should put more emphasis on running programs that make good use of the space than on securing the space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