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픈 플랫폼

Search Result 464,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Open Source Cloud Platforms : OpenStack and CloudStack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 : 오픈스택과 클라우드스택)

  • Ra, Jeong-Hwi;Han, Sang-Hyuck;Sung, Baek-Yul;Kim, 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259-261
    • /
    • 2012
  • 클라우드 컴퓨팅은 정보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탑이나 테이블 컴퓨터, 노트북, 벽걸이 컴퓨터, 휴대용 기기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패러다임을 뜻한다. 가용성과 사용상의 편의에 대한 요구의 증가로 최근들어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제공하는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나뉜다. 이 중 IaaS는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이다. 이를 구현한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오픈스택과 클라우드 스택이 대표적이다. 시트릭스는 자사가 개발중인 클라우드 플랫폼인 클라우드스택을 아파치 라이센스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전까지 같은 종류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오픈스택의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던 시트릭스가 오픈스택 그룹에서 탈퇴하고 클라우드스택을 지원한다는 발표는 큰 관심을 받았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 중 오픈스택과 클라우드스택을 비교해보고, 이를 통해 향후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의 발전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Core Elements of Open Learning and Social Learning Platform in a Comparative Analysis (오픈 러닝과 소셜 러닝 플랫폼의 핵심요소 비교분석)

  • Che, Wan Soon;Ahn, Mi Lee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51-5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오픈 러닝과 소셜 러닝 플랫폼의 핵심요소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와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와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는 데 있다. MOOC로 대변되는 오픈 러닝 사례들의 핵심요소를 분석하여 각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소셜 러닝 플랫폼을 활용한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소셜 러닝 플랫폼의 정의와 특이사항을 살펴보았다. 오픈 러닝과 소셜 러닝 플랫폼의 특이사항은 서로 어떤 상호작용을 가질 수 있을지 비교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오픈 러닝에서 발견 된 장단점과 소셜 러닝 플랫폼의 장단점으로 대치하여 서로 보완해줄 수 있는 진화한 러닝 플랫폼을 구상해보는 것은 유의미 할 것이다.

  • PDF

Analysis and Comparison of Open Source Cloud Computing Platform (오픈소스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분석 및 비교)

  • Jo, Chung Gi;Youn, Hee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55-158
    • /
    • 2015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맞물려서 이를 위한 많은 플랫폼들이 제안되고 있다. Amazon이나 Google 등의 세계적인 기업들을 이미 자신들 만의 플랫폼을 구축하여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오픈소스 커뮤니티들이 주도 하는 오픈 플랫폼들도 속속 등장하여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대표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들을 분석하고 그 기능들을 서로 비교해서 사용자가 자신의 요구사항에 가장 적합한 플랫폼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 PDF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Web-based Open Source Platform using 3D Printer -Focused on Platform Toy- (3D Printer를 이용한 웹기반 오픈소스 플랫폼 제작 방안에 관한 연구 -Platform Toy를 중심으로-)

  • Lee, Chang-Beom;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6
    • /
    • pp.341-347
    • /
    • 2019
  • As the concept of open source extends beyond the scope of software, many companies are also introducing business models using open source concepts. This study is a study on how to create a web-based open-source platform using a 3D printer and aims to create an open-source platform modeled on the Kidults community where users are highly willing to participate. The research method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initial platform production by collecting basic data through the usability of the platform and Toy design preferences and propensity analysis through research on open source use cases by various companies and user surveys in the Kidults Community. Features unique platform Toy sources that are freely reinterpreted by the user and re-shared and sold to the platform. Research should continue to boost user motivation by activating communities within the platform.

오픈플랫폼 기반의 생태계 조성 전략

  • Kim, Eun-J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9
    • /
    • pp.59-64
    • /
    • 2013
  • 본고에서는 IT 강국인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미약한 소프트웨어 현실과 생태계 부재 등 현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오픈이노베이션 기반의 오픈플랫폼 전략을 통하여 생태계를 조성하고 해외 시장을 창출하는 방안과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Future GeoSpatial Open Platform (미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의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 Kim, MoonGie;Yoon, DongHyeon;Koh, JuneHw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2
    • /
    • pp.59-68
    • /
    • 2015
  • According to the 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ject conducted since 1995,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s been accumulating huge amount of geospatial data.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tarted its GeoSpatial open platform (V-World) service in January 2012, also offering a wide range of functions and services. However, the National GeoSpatial open platform is still woefully deficient for the users to find their desired data, lack of data for private business area, insufficient in publicity of local government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s. Through analyzing current research trend after GeoSpatial open platform served for three years, study on overseas expansion, system links, service improvement, utilization and future strategy has been mainly conducted. This study, by analyzing the advanced overseas GeoSpatial platform as well as domestic research trend and combining the concept of new technology, business platform and SM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GeoSpatial platform, proposes a policy for the construction of future GeoSpatial Open Platform model.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Design and Economic Evaluation of Open Source Software License Compliance Platform (오픈소스 SW 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 플랫폼의 비즈니스 모델 설계 및 경제적 타당성 분석)

  • Chun, Seoyoung;Yoon, SungWook;Jeong, Sukja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9 no.2
    • /
    • pp.1-10
    • /
    • 2020
  • Companies that use open source SW must comply with the "Open Source SW License" in order to use it freely. However, despite the potential legal responsibilities and risks associated with compliance, they do not know or neglect the risks. For this reason, cases of disputes, including license violations, are soaring. Recently, Open source SW license compliance platform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ctively utilized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designed a business model for open source SW license compliance platform and conducted an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The focus of the study is the establishment of a business model and the estimation of potential customers and actual purchase rates. For this purpose, we designed seven business model scenarios for promotion and sales period, and performed an economic evaluation using an expanded model of the Bass model, the Kalish model and the customer's maximum willingness to pay.

Design of an searching system using Coord, the open-source distributed computing platform (오픈소스 분산처리 플랫폼 Coord를 활용한 검색 시스템의 설계)

  • Han, Jae-Hwa;Choi, Jong-Sic;Hwang, Won-Geun;Lee, Cha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a
    • /
    • pp.311-3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NHN에서 제작한 오픈소스 분산처리 플랫폼 Coord 및 색인정보를 생성하는 Lucene을 이용하여 문서 검색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한다. 주로 Coord 플랫폼을 사용하여 분산 검색 시스템의 구축 프로세스 및 구축 과정에서 고려할 점들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구축 결과물에 대한 정량적 분석 및 특성을 다른 경쟁 플랫폼들과 비교 분석한다면 Coord의 사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ord 플랫폼을 개괄한 후에는 실제적인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제안한다. 이후에는 색인정보를 담고 있는 분산시스템을 설계할 때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언급하고 그에 대한 Coord를 사용한 알고리즘을 해결책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설계를 바탕으로 실제 ACM논문 검색 시스템을 제작하여 운용한 예를 보인다. 또한, 본 논문이 제안한 시스템이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활용의 실례로써 Coord 및 여타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일조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Service Status of the Spatial Open Platform based on the Analysis of Web Server User Log: 2014.5.20.~2014.6.2. Log Data (웹 사용자 로그 분석 기반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서비스 사용현황 연구: 2014.5.20.~2014.6.2. 수집자료 대상)

  • Lee, Seung Han;Cho, Tae Hyun;Kim, Min So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4
    • /
    • pp.67-76
    • /
    • 2014
  • Recent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IT and mobile technology, spatial information plays a role of infrastructure of the people life and the national economy. Many kinds of applications including SNS and social commerce is to leverage the spatial information for their services. In the case of domestic, spatial open platform that can provid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ervices in a stable manner has been released. And many people have been interested to the open platform services. However, the open platform currently has many difficulties to analyze its service status and load in real time, because it does not hold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analyze the real-time service status of the open platform using the analysis of the web server log information. In particular, we propo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follows: amount of data transferred, network bandwidth, number of visitors, hit count, contents usage, and connection path. We think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 perfect service status of the open platform. However,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of the service status and for system expansion of the open platform, every year.

Voice-based Control System Using Standard-based IoT Platforms (표준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한 음성 제어 시스템)

  • Jeong, Isu;Baek, Seungwoo;Lee, Sungchan;Yun, Ja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454-45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표준 기반 사물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 플랫폼을 활용한 음성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고 그 성능을 검증한다. 사물인터넷 산업 표준인 원엠투엠 (oneM2M) 오픈 소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음성으로 댁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음성 기반 제어를 위해 구글의 Speech-to-Text API를 활용하고 오픈 소스 하드웨어에 원엠투엠 플랫폼을 탑재하여 어디서든지 서버 플랫폼에 연결된 댁내 가전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을 통해 표준화된 오픈 소스 플랫폼과 클라우드 음성 인식 API를 활용하여 확장성과 연결성을 갖춘 커넥티드 홈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