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프라인교육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5초

4차산업혁명시대, 온·오프라인 교육의 수용자 선택의 변화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hanges in consumer choice in on-offline education)

  • 이혁진;배기형;장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53-154
    • /
    • 2019
  • 4차산업혁명시대는 AI로 대표된다. 인간의 노동과 기술이 로봇과 AI로 대체될 것이다. 교육분야에도 AI기술이 도입되고 있고 이로 인해 오프라인교육이 대부분 온라인교육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온 오프라인 교육의 수용자 선택의 변화를 분석하여 4차산업혁명시대의 교육 흐름과 변화를 예측하여 보았다. 공급의 측면에서 온라인교육의 매출은 계속 증가하고 있고 수요의 측면에서도 온라인교육의 지출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주목할 부분은 온라인교육이 아니라 오프라인교육의 변화이다. 온라인교육이 도입되며 오프라인교육의 총지출은 매년 감소하였다. 하지만 오프라인교육 총지출액은 전년 대비 매년 감소하였지만 그 감소율이 점차 줄어들다가 최근에는 증가세로 돌아섰다. 온라인교육서비스가 점차 발전하는 상황에서 오프라인교육의 지출 증가는 매우 주목할 만한 변화이다. 이는 수용자의 선택이 교육에 있어서만큼은 다름을 알 수 있고 4차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하여도 교육은 달라야 함을 인식할 수 있는 중요한 변화이다.

  • PDF

팬데믹 시대 예술교육 상호작용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온라인과 오프라인 비교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Interaction of Art Education in the Era of Pandemic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 Focusing on Online and Offline Comparisons)

  • 김광철;송진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99-111
    • /
    • 2021
  • 본 연구는 예술교육에서 교육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행동의도(창작·참여)로 순환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온라인, 오프라인 차이를 비교하는 것으로 온라인 예술교육 효과를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예술교육 및 교육적·사회적 상호작용과 만족도, 행동의도를 문헌분석하고 예술교육을 수강하는 음악, 미술전공생을 대상으로 동일한 과목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에 대한 설문조사를 2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89명, 오프라인 56명의 학생이 참여하였고 예술교육에서의 교육적, 사회적 상호작용에 따른 만족도가 높을수록 행동의도로 연결되는 관계가 증명되었다. 특히, 온라인 예술교육은 교육적 상호작용 수준이 더 높고 사회적 상호작용이 낮게 나타나 오프라인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예술교육이 높은 만족도와 창작활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교육자와의 사회적 관계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강화하고 온라인 매체 경험을 다각화하여 참여 적극성을 높인다면, 오프라인 이상의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네일미용 교육센터의 온·오프라인 교육수업의 인식과 서비스품질 및 만족도 (Quality of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Services of Nail Art Education Cent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 김은지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83-88
    • /
    • 2022
  • 본 네일미용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는 학생이 늘어나면서 오프라인 교육을 통한 상호작용 속에서 강사와 학생들의 유대관계 형성과 새롭게 등장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매체를 통한 교육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네일미용 교육의 온·오프라인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네일미용 온·오프라인 교육실태 및 서비스 품질과 교육 만족도에 관하여 조사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로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그 외 지역의 10대에서 50대 이상의 남·여로 불특정 다수 319명을 대상으로 조사 도구는 설문지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 통계프로그램인 SPSS 27.0과 SPSS Macro 3.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네일미용의 온·오프라인 교육 인식이 서비스품질과 교육 만족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정확한 측정의 한계점이 있어 추후 연구에서는 조사지역을 확대하고 온·오프라인 네일미용 교육 수업의 만족도에 교사들의 만족도를 추가하여 비교 및 분석한다면 더 좋은 연구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선박안전교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pplications for the Ship Safety Education)

  • 김경우
    • 선박안전
    • /
    • 통권38호
    • /
    • pp.22-31
    • /
    • 2015
  • 본 연구에서 잦은 선박사고와 지속적인 인명피해가 초래됨에 따라 선박안전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교통 및 산업안전분야에서는 온 오프라인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선박안전은 거의 오프라인교육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선박안전교육을 위해 스마트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안전교육에 참여하지 못한 사람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선박안전교육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

  • PDF

Blended-Leaming 기반 학습 모형 및 시스템 설계 (Design of Learning Model and System Based on Blended-Learning)

  • 진선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259-261
    • /
    • 2004
  • 정보통신 공학의 발전과 급속한 사회변화의 가속화는 e-Learning이라는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게 되었다. 사이버공간에서의 e-Learning의 많은 장점들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거대한 시장성이 확보되고 있는 실정이나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사이버 시대에 걸맞는 교육시스템으로는 오프라인 교육과정 중심, 일회성 교육중심에서 온, 오프라인이 통합되는 총체적인 학습 촉진 시스템의 설계방법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학습을 오프라인 상의 어떤 활동으로 연계시켜 온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학습의 불완성을 극복하고 보완할 수 있는 통합적 대안으로 blended-learning을 기반으로 한 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학습을 지원해 줄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상담 사례를 통한 하이브리드 진로지도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Hybrid Career Guidance Model through AConsultation Case)

  • 백진욱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141-148
    • /
    • 2020
  • 최근, 코비드 환경은 대학의 교육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대학의 재학률과 취업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학생의 진로지도 방법은 코비드 환경에서 변할 수밖에 없다. 기존의 진로지도 활동은 오프라인 상담 방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코비드 환경에서의 진로지도 활동은 온라인 상담 방법을 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온라인과 오프라인) 진로지도 모델을 제안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특성을 가진 하이브리드 제안 모델은 코비드 환경에서도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지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 모델을 실제 상담 사례에 적용하여 제안 모델의 유용성을 보였다.

온라인/오프라인 공간의 교차와 도시의 재매개 - 지역 교육 연수를 사례로 - (The intersection of online/offline spaces and the remediation of the city : a case study of a workshop on locality education)

  • 이희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62-374
    • /
    • 2013
  •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적 활동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변화시켜왔으며, 그 과정에서 온라인 공간과 오프라인 공간은 전자가 후자를 대체하고 침식하는 이분적 공간으로 생각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지적인 사회적 활동과 커뮤니케이션이 수행되는 도시 공간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과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의 교차를 통해 시공간적으로 어떻게 구성되고, 온라인 공간을 통해 어떻게 '재매개'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 1월에 영남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된 '영남지역의 역사와 문화'라는 주제의 '지역 교육' 연수를 사례로 살펴본다. 본 연구는 온라인 공간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증대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부재적 현존'이나 '장소상실'의 확장을 야기한다는 이분법적 관점을 비판하면서, 오프라인 공간을 재매개하는 온라인공간은 오프라인 공간의 시공간적 제약을 초월하는 공간이 아니라 반대로 도시 공간과 장소의 공간적, 시간적, 물질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을 반영하는 공간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 PDF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학습의 지식전달 효율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e-learning Education in University)

  • 정정회;김영렬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21세기 IT산업의 발전 전망
    • /
    • pp.41-46
    • /
    • 2004
  • e-learning을 통한 교육은 이제 대학 내뿐 만 아니라 중ㆍ고등학교나 기업체 등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교육비의 과대지출로 중ㆍ고등학교에서의 e-learning을 통한 교육은 이제 교육사업에 커다란 부분을 차지해 갈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기업체 또한 기업 내 인력양성을 위한 모든 교육을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는 e-learning을 통한 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미 많이 이루어졌고 앞으로 더욱 많아지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사교육이나 기업 내 추가적인 인력양성 교육에서의 e-learning의 도입을 통한 교육의 성과보다는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교육이 일반 대학생들이 오프라인 수업의 보조학습이 아닌 대체학습으로서 과연 대학 내 대표적인 e-learning 수업진행을 맡고 있는 OCU를 기본모델로 현재 e-learning을 통한 OCU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학습에 얼마나 많은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오프라인에서의 수업과 e-learning을 통한 수업의 이해도와 만족도에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실증분석 해 보려 한다. 이 결과로 앞으로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학습에 문제점이 있다면 분석하여 오프라인의 보조학습이 아닌 대체학습으로 나아가는데 지식전달의 효율성 측면에서 나아갈 방안에 대해서 연구해 보려 한다.

  • PDF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중등과학교사의 학습환경 특이적인 PCK 요소 및 하위요소 (Secondary Science Teachers' PCK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Specific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an Online-offline Mixed Learning Environment)

  • 김지수;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472-492
    • /
    • 2022
  •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중등과학교사의 학습환경 특이적인 PCK 요소 및 하위요소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등과학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설문, 개별 면담, 수업 관찰 자료를 수집하여 PCK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연역적으로 분석하고 다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그 범주를 정교화하였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본 연구 교사들의 PCK는 요소별로 학습환경 특이성이 다르고 학습환경 특이성에 따라 PCK 요소별 하위요소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 지향으로 '과학 개념 학습' 목표 지향과 '강의식 수업'의 과학 교수-학습 지향이 있었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에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있었으며,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 목표 선정', '교육과정 자료'가 있었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에는 '과학 주제 특이적 전략', '과학 교과 특이적 전략', '상호작용 전략'이 있었다. 코로나 19 이후 오프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에는 '과학 주제 특이적 전략', '상호작용 전략'이 있었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학생의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을 위한 선지식', '학습 어려움', '학습 동기 및 흥미', '학습 다양성'이 있었으며, 코로나 19 이후 오프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학생의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 어려움'만 있었다. 과학 학습 평가에 관한 지식은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 특이적인 지식과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지식이 있었으며, 각각 '평가 내용'과 '평가 방법'이 있었다.

통합교육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Blended-Learning System)

  • 김은경;한재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817-820
    • /
    • 2005
  • 온라인 교육은 오프라인 교육의 한 가지 방식의 교수방법에서 탈피하여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예측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사람이 아닌 PC와 의사소통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집중력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인간미가 없다는 점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교수자들은 온라인 환경이 갖는 장점과 오프라인 환경이 갖는 장점을 혼합한 통합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본 본문에서는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교실수업을 혼합한 통합교육에 멘토링 기능을 추가하여 학습모델 설계 및 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