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존

Search Result 1,97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Oxidation of Geosmin and 2-MIB in Water Using $O_3/H_2O_2$: Kinetic Evaluation (오존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Geosmin과 2-MIB 산화: 동력학적 평가)

  • Lee, Hwa-Ja;Son, Hee-Jong;Roh, Jae-Soon;Lee, Sang-Won;Ji, Ki-Won;Yoo, Pyung-Jong;Kang, Lim-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9 no.7
    • /
    • pp.826-832
    • /
    • 2007
  • Unpleasant tastes and odors in drinking water cause same problems for water utilities across Korea. Even though tastes and odors do not create health problems, they are main concerns for consumers who determine the safety of their drinking water. In this study, two different odor producing compounds(geosmin 2-MIB) in the Nakdong river water and rapid sand filtered rater were treated by advanced oxidation of $O_3/H_2O_2$ proces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geosmin with the use of 5 mg/L of $O_3$ and $H_2O_2$ was higher than efficiency with the use of $O_3$ alone for both the raw water and the sand filtered water. And in general, the removal efficiency of geosmin was higher than 2-MIB in the sand filtered water. Under the range of $O_3$ concentration $0.5\sim2.0$ mg/L, the removal rate constants(k) of geosmin for the raw and sand filtered waters, and the one of 2-MIB in the sand filtered water were increased rapidly as doses of $O_3$, and $H_2O_2$, increased. The removal rate constants(k) do not increase any more when $H_2O_2/O_3$ ratio increases above the optimum ratio. The optimum ratio of $H_2O_2/O_3$, dose was $1.0\sim2.0$ for both geosmin and 2-MIB. The removal rate constant(k) becomes lower when OH radical consuming materials are present in raw water. The half-life of geosmin decreased rapidly as the $O_3$ and $H_2O_2$ doses increase in the sand filtered water. The half life decreased about 8.5 times with the use of 2 mg/L of $O_3$ and 10 mg/L of $H_2O_2$ than with the use of 2 mg/L of $O_3$ alone for the sand filtered water.

Effect of Gas Composition on Ozone Production i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rocess (무성방전내에서 오존 발생에 미치는 가스 조성의 영향)

  • 조백근;이현돈;이석부;전현정;박정호;전기일;정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81-382
    • /
    • 2003
  • 오존은 여러 가지 산업적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광범위한 환경공학적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다. 오존생성을 위해 개발된 무성방전 공정이 비교적 최근부터 악취 및 VOC를 포함한 대기오염 물질의 제거를 위해 활용되어오고 있으며 이러한 공정내에서 오존의 발생은 공정내의 오염물질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성방전 공정에서 유입기체의 조성이 오존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Division of Ozone Forecast Regions in Seoul Metropolitan Airshed (서울수도권의 오존 예보지역 구분에 관한 연구)

  • 김용국;이종범;김신도;김인택;김성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63-64
    • /
    • 1999
  • 현재 환경부를 중심으로 하여 1997년 7월부터 시행해 오고 있는 오존예보제는 오존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하계(매년 5월부터 9월까지) 동안 서울, 인천, 부산 등 6대 도시를 대상으로 오존오염도 예측모델을 이용, 익일의 오존주의보발생 가능성을 확률로 예보하고 있으며, 각 수행주체는 지방자치단체가 된다. 서울시의 경우에는 전체를 행정구역에 따라 주관적으로 4개의 지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별로 오존농도를 예보하고 있다.(중략)

  • PDF

환경호르몬물질의 오존반응성에 관한 연구(I) 페놀류 환경호르몬물질의 오존반응성

  • 이종팔;성락창;이성식;박현석;류병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30-131
    • /
    • 2001
  • 페놀류화합물의 경우 오존단독반응에서 보다 오존/과산화수소반응이 더 속도가 느림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Hoigne 등이 이미 제시한 .OH라디칼반응보다 오히려 ortho위치의 오존삽입반응메카니즘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으며, 반대로 benzophenone의 경우는 .OH라디칼에 의한 산화반응이 더 잘 진행됨을 볼 수 있었다.

  • PDF

2003년 여름 동안 서울 지역에서의 오존의 광화학적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 Son, J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3-195
    • /
    • 2005
  • 광화학측정이 이루어진 기간 중 일사량이 강한 날에 관측 오존의 농도와 광화학 모델의 광화학 정류상태로 추정된 오존의 농도는 아주 밀접한 근접성을 보였다. 광정류 상태로부터의 이탈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측정 지역 근처에서의 지역적 NO$_{2}$ 생성원의 존재, 지역적 NO 또는 오존의 소멸, 비 정류상태 조건, 또는 측정의 오차 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존의 생성 속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화학반응은 NO와 HO$_{2}$의 화학반응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haracteristic of Horizontal Distribution of Ozone Concentration and Wind Field Using Wind Tunnel in Seoul Area (풍동실험을 통한 서울지역의 바람장과 오존농도 수평분포)

  • 김신도;박은영;박진수;황의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58-59
    • /
    • 2000
  • 오존은 공간적.시간적 변동이 매우 큰 대기오염물질로 서울시의 27개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에서 실시간으로 측정.감시되고 있으며, 오존의 농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에는 오존경보제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오존의 농도는 일사, 풍향, 풍속 등의 기상인자, $NO_x$, VOCs 등 전구물질의 농도, 그리고 지형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 대한 기하학적 축소모형을 제작하여 풍동내에서 풍향.풍속을 측정하여 지형에 따른 바람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중략)

  • PDF

Mesurement of Ozone Precursor VOCs in Use of On-Line System (On-Line System에 의한 VOCs 측정에 관한 연구)

  • 윤중섭;어수미;김민영;신재영;김신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23-124
    • /
    • 2000
  • 대기 환경중 아황산가스, 먼지와 같은 1차오염물질은 배출량의 감소에 따라 대기중의 농도도 감소하는 반면 오존과 같은 2차오염물질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대도시 지역의 지표면 오존농도가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백성옥, 2000) 특히 서울시의 경우는 오존주의보를 발령하는 고농도 오존농도 0.12ppm을 초과한 횟수는 오존주의보를 시행한 이래로 96년 11회, 97년 19회, 98년도 18회, 99년도16회 2000년도엔 22회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략)

  • PDF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for High-Ozone Episodes Experienced in Pusan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한 고농도오존 사레의 기상학적 특성)

  • 김유근;이화운;오인보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55-56
    • /
    • 2000
  • 급격한 도시화는 도시의 기후변조와 함께 오존오염 문제를 야기 시켰다. 즉 지표오존(ground-level ozone)의 고농도 현상이 도시대기환경의 주된 관심사가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연구가 국내·외에서 지역특성에 맞게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지표오존은 전구물질의 배출량 및 도시의 지형학적 위치와 기상학적 특성에 따라 생성·소멸·이류 메카니즘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국지적 특성의 고려는 지표오존의 고농도분석에 있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농도예측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of Tropospheric Ozone Enhancement in Springtime (봄철 대류권오존의 고농도특성과 발생원인에 관한 연구)

  • 김유근;송상근;오인보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75-76
    • /
    • 2001
  • 대류권오존의 기원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오존의 전구물질인 CO, NOx, 그리고 non-methan hydrocarbon이 빛과 작용하여 형성되어지는데, 이러한 조건에 부합되는 시기는 태양의 일사량이 풍부하고 온도가 높은 5∼9월경이다. 두 번째는, 제트기류가 위치하는 곳에서 대기의 섭동에 의해 대류권계면 접힘 (tropopause folding) 현상 발생시 오존 전량의 90%가 존재하는 성층권에서 다량의 오존이 대류권으로 유입되기도 한다 (Fishman et al., 1979; Uccellini et al., 1985). (중략)

  • PDF

The distribution of tropospheric ozone from TOMS data (TOMS를 이용한 대류권 오존 측정과 분석)

  • ;;M. J. Newchurch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125-126
    • /
    • 2002
  • Fishman et al.(1987)의 연구를 시작으로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적도지역의 대류권 오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적도지역의 대류권 오존의 분포는 Atlantic Ocean에서 최대값을 가지며 Pacific Ocean에서 최소값을 가지는 wave pattern을 보인다. S. America와 S. Africa에서 연중 dry season(6-9월)에 biomass burning로 인해 대류권 오존의 최대값이 나타난다.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대류권 오존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