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일순환율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판형열교환기에서 POE오일이 R134a 증발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ffects of POE oil on R134a Evaporation Heat Transfer in Plate Heat Exchanger)

  • 장영수;장재규;강병하;김석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3호
    • /
    • pp.255-262
    • /
    • 2014
  • 판형열교환기의 증발과정에서 오일에 위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마이크로 기어 펌프를 이용한 냉매-R134a 순환 성능실험 장치를 구성하여, 증발열전달 실험을 수행하였다. POE 오일을 펌프를 이용하여 냉매 질량 유량에 비례하도록 0~5%를 첨가하여, 오일순환량에 따른 열전달계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오일순환율이 증가할수록 R134a 증발 열전달계수는 감소하며, 압력손실은 증가한다. 질량유량 80 g/s, 증발 온도 $30^{\circ}C$ 일 때, 오일 순환율 2%조건에서 무오일 대비 약 10%의 열전달계수가 감소하였고, 압력손실은 약 10% 증가하였다.

$CO_2$ 냉동시스템에서 압축기의 흡입온도와 운전주파수가 오일 순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ction Temperature and Compressor Frequency on Oil Circulation Ratio in a $CO_2$ Refrigeration System)

  • 김경재;이익수;강병하;김석현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93-898
    • /
    • 2009
  • The quantity of discharged oil from a compress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proper operation of refrigeration system. If the oil is increased in the system not only pressure drop is increased in other components, such as evaporator and gas cooler but also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the heat exchangers is decreased. In addition, the lack of oil in the compressor may cause a critical of the system failure. In this study, one stage single rotary compressor is used for measuring oil circulation ratio(OCR). Carbon dioxide and PAG oil are used as refrigerant and lubricant. Using a U-tube densimeter, mixture density is measured. Characteristics of oil circulation ratio have been investigated for $CO_2$ rotary compressor in the range of operation frequency 45 Hz to 63 Hz and the suction temperature range of $0^{\circ}C$ to $15^{\circ}C$.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the oil circulation ratio is increased as the suction temperature or compressor operating frequency is increased.

  • PDF

CO2 압축기의 운전조건과 오일토출의 상관분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Oil Discharge and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of a CO2 Compressor)

  • 이익수;강병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73-79
    • /
    • 2011
  • A portion of oil for lubrication of compressor flows together with refrigerant in the refrigeration system. If the oil discharge from a compressor is increased in the refrigeration system, not only pressure drop is increased in other components, such as evaporator and gas cooler, but also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the heat exchangers is decreased. Oil discharge rate from a compressor may strongly depend on operating conditions of a compressor. In this study, one stage single rotary compressor is employed for measuring oil circulation ratio(OCR). Carbon dioxide and PAG oil are used as refrigerant and lubricant. Using a U-tube densimeter, mixture density is measured. Oil circulation ratio(OCR) can be estimated by measured mixture density.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the oil circulation ratio(OCR) is increased as the suction temperature or compressor operating frequency is increased. Oil circulation ratio(OCR) correlation of the compressor is also suggested.

인도네시아 열대작물 오일의 Amberlyst-15 촉매 에스테르화 반응 및 바이오디젤 물성 분석 (Esterification of Indonesia Tropical Crop Oil by Amberlyst-15 and Property Analysis of Biodiesel)

  • 이경호;;이준표;이진석;김덕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24-332
    • /
    • 2019
  • 한국과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바이오디젤 같은 바이오연료 보급에 대한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디젤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원료 부족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료 공급 안정성을 개선하고 바이오디젤 생산 가격을 낮추기 위해 비식용이면서 동시에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높은 인도네시아 열대작물(R. Trisperma) 오일의 바이오디젤 생산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수확기간이 다른 두 종류의 오일은 많은 불순물과 높은 유리지방산 함량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인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해, 에스테르화 반응과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하였다. 오일은 반응을 진행하기 앞서 여과와 수분제거 과정을 통해 반응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불균질계 산 촉매인 Amberlyst-15를 사용하였으며, 반응 전 오일들의 산가는 각각 41, 17 mg KOH / g이었으나, 에스테르화 반응 후 3.7, 1.8 mg KOH/g으로 약 90% 이상의 전환율을 보이며 유리지방산 함량을 2%이하로 감소시켰다. 이후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은 KOH를 염기 촉매로 사용하여 바이오디젤 합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성된 바이오디젤은 약 93%의 FAME 함량을 나타냈으며, 총 글리세롤의 함량은 0.43%으로 제품 규격(FAME 96.5%, 총 글리세롤 0.24%)에는 미달되었다. 이는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관찰되지 않는 특이 지방산인 ${\alpha}$-Eleostearic acid가 10.7~33.4% 포함되어 나타나는 특성으로 판단되며, 추가 반응 최적화 및 분리정제 연구 진행으로 연료품질 규격 달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활용되지 못하던 비식용 원료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을 확보할 경우 바이오디젤 보급 확대를 위한 안정적 원료 공급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태양전지 Wafering Slurry 재생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Recycling Technology of Solar Cell Wafering Slurry)

  • 나원식;이재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26-431
    • /
    • 2010
  • 태양전지용 웨이퍼 제조공정에 있어 Slurry의 가격 비중은 약 68% 정도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 절감측면과 Wafering 원가혁신 및 산업폐기물 처리비용 절감효과,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Slurry의 순환 사용은 필수적이다. 기존 Slurry를 재생하는 방식은 물리적인 원심분리(데칸터) 방식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미분(微粉)이 남아 있어 재생품질에 한계가 있고, 대부분 액체, 100% 오일과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재생된다. 이 상태를 건조시키는 경우도 순도가 많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원심분리(데칸터) 방식과 케미컬 방식을 함께 사용하여, 태양전지 Wafering 공정에서 필수적인 Slurry를 재생함에 있어, 원심분리에 의한 재생품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재생기술을 개발하였고, Slurry 재생에 대한 Total Solution을 제공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재생 회수율을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