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토양조사

Search Result 82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hemical Remediation and Recirculation Technologies of Wastewater from Metal-Contaminated Soil Washing (금속오염(金屬汚染) 토양세척(土壤洗滌) 폐수(廢水)의 화학적(化學的) 처리(處理)와 재순환(再循環) 기술(技術))

  • Lim, Mi-Hee;Abn, Ji-Whan
    • Resources Recycling
    • /
    • v.20 no.3
    • /
    • pp.28-39
    • /
    • 2011
  • This review investigated theoretical principals and practical application examples on recirculation system of soil washing-wastewater treatment-treated water recycling. As for technologies which have attempted to remediating metals-contaminated soil in and around country, there are reactive barriers, encapsulation, solidification/stabilization, soil washing, and phytoremediation. Among those, in particular, this review covers soil washing technology which physicochemically removes contaminants from soils. The major drawbacks of this technology are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wastewater which contains contaminants complexed with ligands of washing solution and needs additional treatment process.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chemical treat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s follows: precipitation/coprecipitation, membrane filtration, adsorption treatment, ion exchange, and electrokinetic treatment. In the last part of the review, recent research and field application cases on soil washing wastewater treatment and recycling were introduced. Based on these integrated technologies, it could be achieved to solve the problem of soil washing wastewater and to enhance cost effective process by reducing total water resources use in soil washing process.

Bio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Using an Oil-Degrading Rhizobacterium Rhodococcus sp.412 and Zea mays. (유류 분해 근권세균 Rhodococcus sp. 412와 옥수수를 활용한 유류 오염 토양의 정화)

  • Hong, Sun-Hwa;Park, Hae-Lim;Ko, U-Ri;Yoo, Jae-Jun;Cho, Kyung-Suk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5 no.2
    • /
    • pp.150-157
    • /
    • 2007
  • The advanced bio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 through the exploration of bacterial interaction with plants was studied. A diesel-degrading rhizobacterium, Rhodococcus sp.412, and a plant species, Zea mays, having tolerant against diesel was selected. Zea mays was seeded in uncontaminated soil or diesel-contaminated soil with or without Rhodococcus sp. 412. After cultivating for 30 days, the growth of Zea mays in the contaminated soil inoculated with Rhodococcus sp. 412 was better than that in the contaminated soil without the bacterium. The residual diesel concentrations were lowered by seeding Zea mays or inoculating Rhodococctis sp. 41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multaneous use of Zea mays and Rhodococcus sp. 412 can give beneficial effect to the 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Bacterial community was characterized using a 16S rDNA PCR and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fingerprinting method. The similarities of DGGE fingerprints were $20.8{\sim}39.9%$ between the uncontaminated soil and diesel contaminated soil. The similarities of DGGE fingerprints were $21.9%{\sim}53.6%$ between the uncontaminated soil samples, and $31.6%{\sim}50.0%$ between the diesel-contaminated soil samples.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ructure of bacterial community was significantly influence by diesel contamination.

Assessment of Soil and Nutrient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Areas in a Multi-purpose dam site (다목적댐 홍수조절지 내 경작지 토양 및 양분 특성 평가)

  • Choi, Hye seon;Geronimo, F.K.F.;Jeon, Min Su;Kim, Le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4-414
    • /
    • 2019
  • 농업으로부터의 비점오염은 지표수와 지하수 모두의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비료, 퇴비, 농약 등의 인공적 질소가 살포된 토양은 강우시 화학 침출로 인한 수질오염이 발생되고 있다. 강우시 강우유출수와 함께 지표 수역으로 흘러들어오는 영양물질(질소, 인)은 저수지로 유입되어 침수시 작물이 죽게 되어 저수지의 부영양화 등의 수질 오염문제를 야기시킨다. 국내에서는 홍수조절용지에서의 영농활동의 전면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불법적으로 경작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 홍수조절지 내 경작지 토양 및 양분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홍수조절지 내 경작지 토양 특성 및 양분 조사를 위하여 경작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대청호 지역을 모니터링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모니터링은 경작지 내 토양 시료 및 주변 토양을 채취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채취한 토양은 토양표준분석법(농촌진흥청, 2012) 및 농업토양분석방법(국립산림과학원, 2014) 기준을 바탕으로 물리 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은 2018년 5월부터 수행되었으며 현재까지 월 1회씩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 결과, 밭 경작지 토양은 논에 비해 실트질 함량이 절반으로 침투성이 높은 토양으로 분석되었으며, 영양염류의 침투를 통한 이동 가능(기저유출)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중간유출 및 기저유출 저감방안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작물별 토양 양분분석 결과 고추, 마늘, 담배 경작지에서 화학비료사용량이 타 작물에 비해 높은 것을 분석되었으며, 경작지에 화학비료 및 퇴비의 과다 사용으로 염류농도가 증가할 경우 전기전도도가 높아지며 토양의 삼투압을 증가시켜 물의 흡수와 각종 양분 흡수를 방해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인의 존재 형태별 비교시 대부분의 경작지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특히 경작지 토양의 Residual-P의 농도가 원지반 보다 2~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퇴비의 사용으로 인한 Residual-P의 누적으로 평가되며, 환경변화에 따라 수층으로 인의 용출이 쉽게 발생하므로 향후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onitoring of the Underground Pollutant Infiltration Loads in Greenhouse and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시설 및 관행재배 지역의 지하침투 오염부하 모니터링)

  • Yoo, Seung-Hwan;Choi, Jin-Yong;Nam, Won-Ho;Hong, Eun-Mi;Choi, Soon-Goon;Park, Na-Young;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5-465
    • /
    • 2011
  • 강우가 발생하거나 관개를 함에 따라 농경지의 토양침식물, 잔류 비료나 농약 등의 비점오염원은 지표 및 지하 유출과 함께 거동함으로써 지표수 뿐 아니라 지하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부가가치 농산물 수요의 증가로 전국적으로 시설재배 농업이 확대되고 있으나 시설재배 내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시설재배 농업과 관행농업의 비점오염원의 거동 및 지하침투 오염부하를 비교 평가하고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 및 관행재배 지역의 지하침투 오염부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변 영향이 배제되어 시설재배와 관행재배의 비교 평가 가능한 포장 및 광역 단위 시험포장을 선정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먼저 필지 단위와 광역 단위 단위에서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수문 및 수질 분석 항목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행재배지에서의 물수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상 및 강우량, 지하수위, 토양수분, 관개 및 배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토양수 및 지하수의 물질 수지 분석을 분석하기 위한 토양수, 지하수, 논담수 등의 수질 샘플망을 구축하였다. 또한 시설재배지에서의 물수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상, 지하수위, 토양수분 및 관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토양수 및 지하수의 물질 수지 분석을 분석하기 위한 토양수, 지하수, 관개용수 등의 수질 샘플망을 구축하였다. 향후 본 시험 포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샘플링 실시하여 다양한 항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진 다면 시설재배지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및 정량화 기술개발을 통해 시설재배지에서의 비점오염에 대한 정량적 자료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농업비점오염총량 추정 기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oil Properties and Microbial Numbers of soil Samples Collected from Polluted and Unpolluted Areas in Korea (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의 토양의 특성과 토양 미생물의 분포)

  • 심재욱;이민순;이상선;이태수;이민웅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3 no.2
    • /
    • pp.31-39
    • /
    • 1998
  • A total of 112 soil samples collected from polluted and unpolluted areas in Korea were investigated for physical properities (such as soil moisture, organic matter and soil pH) and biological properties (such as microbial numbers). The results of organic matter and soil pH showed a great variation(p=0.01) in the four areas, whereas soil moisture and organic matter were similar among three plant vegeta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p=0.01 or 0.05) between soil pH and microbial number These results imply some variations in soil environment and may lead to unfavorable changes of plant vegetation in soil. Presumably, the above results appear to be resulted from soil acidification caused by an acidic rain.

  • PDF

A Study of Contamination of soil in playgrounds with the eggs of Toxocara canis reduced ocular toxocariasis (Toxocara canis 충란에 의한 놀이터 토양 오염에 관한 연구)

  • Kim, Sang-Moo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9 no.2
    • /
    • pp.447-453
    • /
    • 2004
  • The prevalence of Toxocara canis eggs in the public places in the city of Gwangju were studied through examination of 800 soil and 123 fecal specimens. Toxocara canis eggs were found in 15% of soil samples. In 25% parks and 17% residential quarters, these eggs were detected with higher contamination rate than other places. The soil contamination rate of playgrounds in spring and autumn was higher than that of summer and winter, and the variation range of the rate was high in parks and residential quarters. The contamination rate of eggs in 123 samples of dogs' feces was 31%, it was higher than that of soil samples(21%).

  • PDF

Application of Hot Spot Analysis for Interpreting Soil Heavy-Metal Concentration Data in Abandoned Mines (폐금속 광산의 토양 중금속 오염 조사 자료 해석을 위한 핫스팟 분석의 적용)

  • LEE, Chae-Young;KIM, Sung-Min;CHOI, Yo-S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2
    • /
    • pp.24-35
    • /
    • 2019
  • In this study, a hotspot analysis was conducted to suggest a new method for interpreting soil heavy-metal contamination data of abandoned metal mines according to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Getis-Ord $Gi{\ast}$ statistic in order to check whether soil heavy metal contamination data showing abnormal values appeared concentrated or dispersed in a specific space. As a resul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ata showing abnormal values in the mine area could be classified as follows: (1) the contamination degree and the hotspot value (z-score) were both high, (2) the contamination degree was high but the z-score was low, (3) the contamination degree was low but the z-score was high and (4) the contamination degree and the z-score were both low.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interpret the soil heavy metal contamination data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and to support a rational decision for soil contamination management in abandoned mines.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Distribution of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and Soil Environments by Using Passive Samplers (Passive Sampler를 이용한 $SO_2$ 공간농도분포 조사와 토양오염 상관성 연구)

  • Song, Young-B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10
    • /
    • pp.1025-1029
    • /
    • 2005
  • A simple analysis of atmospheric sulfur dioxide($SO_2$) pollution in industrial region was investigated using badge type passive samplers. It were set up in 76 locations and the $SO_2$ distribution evaluated along the boundary of land use type. It changed considerably both monthly and seasonally. Soil samples were also collected in 120 location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sulfur dioxide pollution on soil and heavy metal distribution in the study area, where the sulfur dioxide pollutants from industrial area could affect the soil environment of near residential and green a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_2$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and heavy metal(Cu, Pb) concentrations in the soil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and the results were 0.17 and 0.08 in industrial area. And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tmospheric pollution in industrial region affect the level of the soil pollution adjacent to the residential and green area. The study result may be used to define correlativity for establishing an exposure index. It will subsequently be used for a more precise assessment measuring the exposure of plants and inhabitants, for the purposes of a study en effects on health.

유류오염 토양에서 유류성분의 생분해와 무기오염 물질 함량의 관계성에 대한 예비 연구

  • 강진규;송윤구;문지원;이민희;이규호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1-244
    • /
    • 2003
  • 유류오염 토양내 유류의 분해와 무기오염물질의 함량과의 관계성을 알아보기위해 부산 문헌지구의 유류 오염 토양 profile중 유류가 비교적 많은 두 층과 유기물이 다량 함유된 제주도 토양을 경유로 오염시킨 토양을 선택하여 유류가 분해 정도와 Pb, Zn, Cd, Ni의 함량을 측정 비교하였다. 토양 채취후 즉시 유류를 추출한 것, 15일간 별도의 미생물 영양원을 가하지 않고 습도와 통풍만을 행하여 토양내 존재하는 미생물들에 의하여만 유류가 분해되도록 한 것, $105^{\circ}C$에서 24시간 열처리를 행하여 미생물에 의한 분해보다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비교적 강하게 처리한 것 세가지 경우에서 토양에서 추출한 유류를 분석한 결과 normal alkane이 서서히 상당량 분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토양내 Pb, Zn, Cd, Ni를 분석한 결과 부산 시료의 경우 두 층(B2, B3)모두 Cd은 검출한계 이하로, Ni의 경우 극소량의 함량을 보여주었다. Zn의 경우 B2는 28~29ug/g, B3는 12~14ug/g으로 세가지 경우 별 차이 없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Pb의 경우 B2에서는 그 함량이 유류의 normal alkane의 분해와 함께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확연히 보여주었으며, B3의 경우도 B2와 유사한 변화 양상을 보여주었다. 제주도 토양의 경우 Pb는 검출되지 않았고, Zn은 소량 검출되었다. Ba, Ni 함량은 normal alkane 분해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예비실험을 통하여 유류오염 토양에서 유류의 분해와 일부 무기이온사이에는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이는 유류 분해정도를 파악하는 지시자로써 특정 무기 오염물질을 이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좀더 이들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미를 되새기는 것으로 짧은 연구를 시작하겠다. 등은 활성 값이 70% 이상으로 퇴적물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중나선 DNA 함량은 28.4 % - 49%로 대조군에 비해서 감소가 크다. 대부분의 정점이 대조군의 30% 내외로 정점 간의 차이는 크지는 않다. 그러나 다른 측정자료와 같이 정점 22에서 18%로 최소치를 나타내고, 정점 2, 12에서 20% 내외의 값을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오염물질의 유입이 크고, 광양제철 인근 정점 들이 모두 다른 정점에 비해서 낮아서, 퇴적물 독성이 높은 정점으로 조사되었다.hiwo의 광합성 능력은 낮은 농도들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5 $\mu\textrm{g}$/l의 높은 농도에서는 초기에 매우 낮은 광합성 능력을 보이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대조군보다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플랑크톤이 benso[a]pyrene의 낮은 농도에서 노출될 때는 이 물질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연안해역에 benso[a]pyrene과 같은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이 유입되었을 때 내정여부에 따라 식물플랑크톤 군집내 종 천이와 일차생산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TEX>5.2개)였으며, 등급별 회수율은 각각 GI(8.5%), GII(13.4%), GIII(43.9%), GIV(34.2%)로 나타났다.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