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물질

Search Result 6,00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Microbial removal of hazardous organic compounds on hazardous waste and contaminated soil (유해환경오염물질의 환경미생물을 이용한 제어연구)

  • 김무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105-111
    • /
    • 1997
  • 환경에 관한 지식의 증가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들은 국경을 초월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비롯한 여러 환경고도기술국가들속의 실험실의 주역들은 <환경 미생물>을 이용한 제어연구에 엄청난 자본과 심혈을 바치고 있다. 실제로 미국 EPA에 의해 이미 유해유기화합물로 규정된 수많은 물질들이 이른바 환경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인 처리를 통해서, 이산화탄소와 물 및 메탄가스등의 무해한 무기화합물로 변환시킬 수 있음이 이미 확증된 바 있다. 아무리 많은 환경미생물들이라 할지라도 그 미생물 군들의 적절한 선택과, 대사작용이 최상의 상태로 유지될 수만 있다면, 환경오염물질들의 생물학적 처리는 개선된 최신방법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또 이와 같은 미생물을 이용한 각종 처리방법 및 기작의 신개발은 21세기 환경오염문제 해결에 <마스터키> 역할을 감당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rganic Pollutant Transport in Unsaturated Porous Media by Atmospheric Breathing Process(II) Dispersion Coefficient (불포화토양에서 확산에 의한 유기오염물질의 이동)

  • 구자공;황종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79-82
    • /
    • 1997
  • 토양내에서 오염유기물질이 불포화토양내에 유입될 때의 dispersion coefficient를 adsorption과 desorption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apparent dispersion coefficient를 측정하기 위해 일상적인 상대습도(46%)조건에서 parametric analysis를 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토양은 fine sand와 silt-clay혼합시료였고, 흐름방향은 상향과 하향으로 하였다. 그리고, Freon gas를adsorbing solute로 사용하였다. 오염물질로는 DCM, TCE, DCB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linear와 probability scale의 breakthrough curve를 사용하였다. 공기에서의 diffusion coefficient의 예측을 위하여 Graham's law를 계산에 사용하였고, DCM diffusion coefficient는 0.098$\textrm{cm}^2$/s로 계산되었다. 연구결과, adsorption과 desorption의 속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iffusion이 flow regime을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desorption에서의 D$^{a}$ D$^{o}$ 는 1보다 클수도 있다. 또한, dispersion은 silt-clay혼합시료에서의 속도와 함께 증가한다. dispersion은 Freon의 sorption방향에 크게 의존한다.

  • PDF

대구지역에서 배출된 1998년과 2004년의 대기오염물질배출량 비교 연구

  • Park, Myeong-Hui;Park, Min-Su;Kim, H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4-17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1998년과 2004년의 대기오염물질배출량 분포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 번째 오염물질별 배출량을 살펴보면 2004년이 1998년에 비해 질소산화물$(NO_x)$과 미세먼지(PM-10)은 증가하였고, 일산화탄소(CO)와 아황산가스$(SO_2)$는 감소하였다. 두 번째 오염원별 배출량을 살펴보면 1998년과 2004년 모두 모든 오염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선 오염원의 배출량이 가장 뚜럿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는 $SO_2$는 저황유 공급정책과 청정연료의 사용으로 인해 감소하였으며, $NO_x$와 PM-10 차량대수의 증가와 인구의 증가, 총에너지 수요의 증가가 원인으로 판단된다.

  • PDF

폐수 배출사업장에 TMS 도입된다.

  • 환경보전협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7 s.359
    • /
    • pp.32-35
    • /
    • 2005
  • 오염물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배출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원격측정시스템(TMS : Tele-metering System)이 폐수 배출사업장에도 도입된다. 환경부는 오는 2007년까지 1~3종 배출업소와 하$\cdot$폐수종말처리시설 등 2,443개 폐수배출사업장에 오염물질 측정기기를 부착해 환경관리공단에 설치될 관제센터에 연결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한해 동안 배출되는 폐수의 86.2%가 실시간으로 관리될 전망이다. 배출사업장은 폐수의 특성에 따라 유량계, 자동시료채취기,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cdot$화학적산소요구량(COD),$\cdot$총질소(T-N)$\cdot$총인(T-P)$\cdot$부유물질(SS)측정기기 등을 최소 1종부터 최대 7종까지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자동측정이 어려운 총대장균군수$\cdot$색도$\cdot$노르말헥산 등은 수동측정법을 유지키로 했다. 업체별로 최대 1억7천~2억원까지 예상되는 설치비는 사업자의 부담을 덜기 위해 융자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그 내용을 간략히 파악해 보고자 한다.

  • PDF

The measurement of $O_3$ by passive sampler in indoor air of the residences (Passive sampler를 이용한 일반 주택에서의 실내 $O_3$ 농도 측정)

  • 신동천;박성은;김효진;김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441-442
    • /
    • 2000
  • 오존은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등의 광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오염물질이다(Haagen-Smit and Fox, 1953). 오존은 낮은 농도에서도 인체 및 식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존의 대기환경기준을 8시간 평균 0.06ppm, 1시간 평균 0.10ppm으로 낮추고, 오존예보제ㆍ경보제 등을 운영하여 오존에 의한 영향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과 같은 도시 밀집지역은 자동차의 밀집과 대형건축물의 증가, 기류 정체로 오염물질의 확산이 어렵고 도심지 내 열섬(heat island)현상으로 대기온도가 증가하여 오존생성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함으로 인해 연평균 오염도가 199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Variations of Concentrations of TSP, PM10, PM2.5 in Seoul Area- in the Area of Yangjae-Dong - (서울지역의 TSP, PM10, PM2.5의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양재동지역-)

  • 김광래;김영두;차영섭;윤중섭;김민영;이재영;김신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43-344
    • /
    • 2003
  • 도시 내에는 한정된 공간에서의 토사의 비산먼지, 해염입자 등 자연 발생원에서 유래하는 오염물질과 각종 화학물질 사용증가, 도시의 인구 집중화, 산업 및 난방시설과 자동차 교통량의 증가 등 인위적인 발생원에서 유래하는 많은 오염물질들이 다량으로 대기중에 방출되어 대기질이 악화되고 있다. 먼지는 입경에 따라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공기중에 부유하고 입경이 작은 부유먼지와 입경이 크고 자연상태로 지상에 낙하하는 강하먼지가 있다. (중략)

  • PD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in Seoul (서울시 대기오염도의 입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O3,휘발성유기화합물질을 중심으로))

  • 윤중섭;어수미;김광진;김길식;김민영;신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84-286
    • /
    • 2000
  •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서울시는 대기오염도에 한층 관심이 높아졌으며, 특히 월드컵이 개최되는 6월은 오존주의보가 발령되기 쉬운 시기이므로 오존생성의 전구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저감대책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졌다 서울시는 1999년에 대기오염도의 입체적 특성과 배경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해 남산(2개소)과 북한산에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을 설치하면서 기존에 측정해온 대기오염물질과 기상인자 외에 휘발성유기화합물 3항목(벤젠, 톨루엔, 자일렌)을 자동 측정하도록 하였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ozone passive sampler with fluorescence intensity method (형광광도법을 이용한 오존 passive sampler의 개발)

  • 김한수;김선태;윤은영;김신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45-246
    • /
    • 2001
  •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대기 오염과 관련하여 환경기준 달성을 위한 정책수립에 있어서 대상물질은 주로 이산화황(SO$_2$)과 먼지(TSP) 등으로 경제개발과 산업발전과정 등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사이 급격한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이산화질소(NO$_2$)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배출이 증가하고 있어 환경규제정책도 점차 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이 대기중에서 태양복사에너지에 의해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오존(ozone), PAN(peroxyacethyl nitrate), PBN(peroxy benzoyl nitrate), 아크로레인(carolein), 포름알데히드(HCHO, formaldehyde) 등 광화학 산화제를 생성하여 인체, 동ㆍ식물 및 재산상의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중략)

  • PDF

주택환기시스템 구성 및 개발방향

  • 이성한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6
    • /
    • pp.32-36
    • /
    • 2004
  • 주택의 공기질 환경에 대하여 사회적 이슈가 된 새집증후군에 대한 언론매체의 집중적 보도와 실내 공기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보고서의 잇따른 발표에 따라 실내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고조되고 있는 시점에 환경부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의해 2004년 5월부터 신축되는 공동주택의 경우 포름알테히드와 VOCs등 새집에서 발생되는 유해 물질을 입주 전 측정하여 공고하여야 한다는 법이 제정이 되어있다. 따라서 각 건설사 및 관련 업계에서는 실내의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일차적으로 유해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건축자재를 사용하는 근본적인 오염원인을 제거하는 source control를 선행을 하고 2차적으로 거주자가 주거생활을 하면서 발생시키는 오염물질인 $CO_2$및 분진 냄새 등은 강제환기를 통해서 개선시키는 방법을 채택하여 실내공기 질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중략)

  • PDF

Forward and Back Diffusion from Low Permeability Zone: A Review of Analytical Solutions with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저투수성 매체 내 오염물질의 정확산과 역확산: 경계조건에 따른 용질이동 해석해의 소개)

  • Kim, Changmin;Yang, Minjun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3 no.1
    • /
    • pp.99-110
    • /
    • 2020
  • It is a global trend to consider contaminated low-permeability zones as one of the primary management targets for the remediation of DNAPL contaminated sites. In addition, studies on the persistence caused by back diffusion of DNAPLs from low-permeability zon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worldwide. On the other hand, the studies for domestic groundwater contamination with the low-permeability zon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the forward and back diffusions of DNAPL through low-permeability zones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m by reviewing representative previous studies, especially on back diffusion and plume persistence. We proposed six diffusion scenarios and analytical solutions based on various boundary conditions of low-permeability zones. FI (forward diffusion into infinite domain) and BI (back diffusion form infinite domain) scenarios illustrate forward and back diffusion in which the depths of a low-permeability layer are assumed to be infinite. FFN (forward diffusion into finite domain with no flux boundary) and BFN (back diffusion from finite domain with no flux boundary) scenarios describe forward and back diffusion for a finite domain of a low-permeability layer with no flux boundary at the bottom. When the bottom of a low-permeability layer is considered as flux boundary, forward and back diffusion scenarios correspond to FFF (forward diffusion into finite domain with flux boundary) and BFF (back diffusion from finite domain with flux boundary). The scenarios and analytical solutions in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termination of an efficient remediation method based on site characteristics such as a thickness of low-permeability zones or duration of contamination exp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