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목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4초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수학 교과서에서의 오목다각형 취급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f handling the concave polygons in elementary 4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 최종현;최경아;박교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613-627
    • /
    • 2014
  • 2009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따라 2014년에 처음으로 출간된 교과서 ${\ll}$수학 4-2${\gg}$에서는 이전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취급하지 않았던 오목다각형을 새롭게 취급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오목다각형의 취급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보이기 위해, 먼저 다각형에 관해 논의한 후에, 2009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오목다각형의 취급을 허용하고 있는가와 오목다각형의 취급에서 논리적 비약은 없는가의 두 관점에서 오목다각형 취급과 관련한 문제점에 관하여 논의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오목다각형을 취급하는 것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결론으로 제시했다. 첫째, 오목다각형의 취급에 관한 공론화 과정이 없었다. 둘째, 2009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오목다각형의 취급을 정당화해 주는 근거를 찾을 수 없다. 셋째, 오목다각형의 취급에 논리적 비약이 있다. 넷째, 오목다각형의 취급에서 일관성이 없다.

  • PDF

음성인식을 활용한 Dobot 기반 오목 플랫폼 (Dobot-based Omok platform using Voice recognition)

  • 박상용;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19-21
    • /
    • 2020
  • 해가 갈수록 여러 요인들로 인하여 장애인 인구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애인들을 위한 주변기기의 발전은 미흡한 상황이며 더욱이 장애인들의 여가를 위한 놀이문화, 기술들은 더욱 발전이 더딘 상태이다. 여가 활동은 장애인의 행복에도 직관적인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들 중 손과 같은 신체를 움직이기 어려운 중증 지체장애인을 위한 오목 플랫폼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오목 플랫폼은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오목알을 착수하고 싶은 좌표를 음성으로 입력시키면 Dobot 즉 로봇암을 통하여 착수점에 오목알을 착수한다. 실험에선 Google Vocie To Text API를 Python 환경에서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받았으며 Dobot Studio의 Script에서 입력된 음성 값을 오목판에 1대1로 맵핑시켜 정확한 위치에 착수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응용하면 오목에만 국한되는게 아닌 다양한 보드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 PDF

다방향 선형 스캐닝과 컨벡스 헐을 이용한 아무르불가사리의 특징 추출 (Feature Extraction of Asterias Amurensis by Using the Multi-Directional Linear Scanning and Convex Hull)

  • 신현덕;전영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99-107
    • /
    • 2011
  • 패턴을 이용한 불가사리 특징 검출은 불가사리의 오목 특징과 볼록 특징을 모두 검출하기 어려우며 또한, 오목과 볼록을 구분 할 수도 없다. 오목과 볼록은 아무르불가사리의 중요한 구조적 특징으로서 반드시 찾아야 할 특징이며 오목과 볼록을 분류함으로서 차후 불가사리 인식에서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무르불가사리의 주요 특징인 오목과 볼록 특징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다방향 선형 스캐닝을 이용하여 오목과 볼록의 특징점 후보군을 형성하고 이 후보군에서 특징점을 결정한 후 추출된 특징점에 컨벡스 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오목 특징과 볼록 특징을 구분한다. 제안한 기법은 불가사리의 주요 특징인 오목 특징과 볼록 특징을 구분하여 효과적으로 추출한다. 따라서 향후 불가사리 인식을 위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인쇄기의 역사와 구조 (3)-그라비어인쇄기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7호
    • /
    • pp.200-202
    • /
    • 2003
  • 오목판의 판식 자체의 기원은 활판과 마찬가지로 오래되었지만, 사진 오목판이라 불리는 그라비어인쇄기의 탄생은 상당한 시간이 흐른 다음의 일로서 1893년 체코의 칼 크리츄(1841-1926년)가 당시의 목제 윤전식 날염기를 참고로 해서 윤전식 사진 오목판인쇄기를 제작한 것이 최초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칼 크리츄는 영국의 랭커스터라는 곳에 램브랜드 이레타리오 인쇄회사를 설립해 실제로 영업가동에 들어가기도 했다.

  • PDF

게임 트리와 알파-베타 가지치기를 이용한 오목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mok Program Using Game-Tree and Alpha-Beta Pruning)

  • 이경호;한원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427-43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오목을 두는 지능적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규칙은 렌주 룰(renju rule)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15{\times}15$ 게임 판에서 오목을 둔다. 초기에는 문제 분석을 통하여 분석된 가중치로 판단을 하여 판단을 하여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였으나, 반복된 수행의 경험적 판단을 통하여 얻은 정보로 여러 차례 수정하며 고정된 가중치를 구성하고, 이 가중치를 게임에서 돌을 놓을 때 평가 기준으로 삼도록 하였으며, 최소-최대 게임 트리(min-max game tree)를 이용하여 상대가 있는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자신에게 유리한 수를 찾기 위한 탐색에서 무의미한 노드들의 전개를 줄여 제한된 시간안에 좋은 수를 찾을 수 있도록 알파 베타 가지치기(alpha-beta pruning)를 사용하도록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이렇게 구현된 오목 프로그램은 게임을 본 프로그램과 게임 하기 원하는 주변의 일반인들에게 90% 이상의 승률을 보이고 있었다.

  • PDF

자바 GUI를 활용한 오목 게임 구현 (Implementation gomoku game with the Java GUI)

  • 김준섭;신동준;홍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8-519
    • /
    • 2016
  • 본 논문은 오목의 규칙을 알고리즘으로 구현해 자바 GUI를 통해 2명의 사용자가 대전을 할 수 있도록 오목 게임을 구현한 결과에 대해 서술한다. 오목은 여러 규칙을 가지고 있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규칙을 알고리즘으로 옮기는 과정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삼삼 규칙과 오목의 승리조건을 알고리즘으로 변형하여 게임에 적용하였다. 게임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2명의 플레이어가 대전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추후 이를 바탕으로 AI의 구현 및 난이도 조절을 통해 게임적 흥미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에서 번식하는 오목눈이의 둥지장소 선택과 서식지 이용 특성 (Studies on the Nest site Sel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Habitat use of Long-tailed Tits Aegithalos caudatus in Korea)

  • 백충열;이진희;노선호;장경희;조삼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29-836
    • /
    • 2016
  •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오목눈이의 번식기에(2월에서 6월) 공주대학교 교내 및 인근지역과 계룡산국립공원 그리고 월악산국립공원에서 수행하였다. 총 98개의 오목눈이 둥지를 조사결과 15종의 수목에 둥지를 만들었으며, 특별히 선호하는 나무의 수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무의 수종을 생활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상록침엽교목과 낙엽활엽교목 그리고 낙엽활엽관목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상록침엽교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에 의해 오목눈이의 둥지가 가려진 정도인 은폐도는 공주대학교 교내 및 인근지역이 $11.61{\pm}4.79%$(n=29)로 나타났으며, 계룡산국립공원은 $6.06{\pm}2.31%$(n=43), 월악산국립공원은 $4.38{\pm}2.19%$(n=26)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이웃한 오목눈이 둥지의 은폐도는 서로 비슷한 정도로 가려져 있었으나, 지역 간의 은폐도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목눈이 둥지의 보호색 정도를 살펴본 결과, 오목눈이 둥지주변 환경의 색 코드 값에서 오목눈이 둥지의 색 코드값을 뺀 평균은 $26.52{\pm}16.14$(n=32)로 나타났으며, 오목눈이의 둥지는 주변 환경에 따라서 보호색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목눈이 둥지의 영소목이 상록침엽교목이면 녹색의 이끼를 많이 물어와 둥지를 만드는 반면 관목이나 영소목이 균류 등에 의하여 노란색을 띠게 되면 마른이끼를 둥지 재료로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노란색을 띠는 경향이 있었다.

오목거울을 이용한 3차원 형상측정을 위한 모아레 영상 획득 방법 (Image Enhancement for 3D Shape Measurement Using Large Aperture Projection System)

  • 윤두현;김학일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7-333
    • /
    • 2008
  • 일반적으로 NA(Numerical aperture)가 큰 렌즈를 사용하면 획득된 영상의 품질이 좋아진다. 오목거울은 NA가 크면서 직경이 크게 제작하는 비용이 저렴하다. 본 논문에서는3차원 형상 측정용 모아레 영상의 품질향상을 위해 NA가 큰 대구경 오목거울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오목거울은 빛을 반사하는 면이 오목한 거울로써,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볼 때, 물체와 모양은 같고 크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보통의 경우, 작은 것을 크게 보거나 빛을 모으는데 이용한다. 오목거울의 집광 특징은 볼록거울과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역할을 하고, 수 미터 직경의 대구경으로 제작하기 용이하며, 대구경이면서 $0.8{\sim}2$의 높은 NA를 갖는 오목거울을 구현하기 용이하다. 오목거울의 볼록 렌즈와 동일한 집광 특징을 이용하여 망원경 등의 반사경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3차원 영상획득 방법을 위해 필요한 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렌즈,집광렌즈를 통해 집광되어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격자,격자로부터의 출사 광을 평행광으로 출사하는 영사렌즈,영사렌즈의 평행광을 반사시켜 전량의 광을 측정대상물 쪽으로 출사하는 오목거울 그리고 측정 제품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획득하는 CCD 카메라를 포함한다. 대구경 오목거울로 NA값을 변화시켜서 표면의 굴곡이 심한 납볼의 영상을 획득하여 품질향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NA가 $0.15{\sim}0.8$까지 변화했을 때 영상 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가 $46{\sim}1.33$배로 변화하여 NA를 높이면 영상의 품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밀리미터파 이미징을 위한 이중 곡률 렌즈의 설계 (Design of Dual Curved Lens for Millimeter-Wave Imaging)

  • 이원희;표성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39-24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이중 곡률을 갖는 오목 렌즈를 제안하였다. 이중 곡률 렌즈는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이중 곡률 렌즈는 두 개의 오목 구조로 구성되었다. 두 개의 오목 구조의 역할은 빔을 균일하게 넓게 보내기 위함이다. 작은 오목 구조는 큰 오목 구조 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이러한 이중 곡률 렌즈는 밀리미터파 이미징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제작된 이중 곡률 렌즈를 250 GHz VDI 소스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광학 시뮬레이션 툴인 ZEMAX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제작된 렌즈는 균일한 빔과 확장 성능을 충분히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오목형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characteristics of a concaved microstrip antenna)

  • 정운채;임계재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0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0 No.1
    • /
    • pp.359-363
    • /
    • 2000
  • 기존의 직사각형 마이크로스트립 평면구조 패치 안테나를 변형하여 패치상에 오목한 구조를 갖는 새로운 3차원 패치구조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안하고, 그 공진주파수와 대역폭 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오목형 구조의 크기에 따라 공진 주파수와 대역폭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복사특성은 기존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거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새로운 3차원 구조를 갖는 패치에 대한 해석 및 설계는 FDTD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기존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제안된 오목형 구조의 안테나를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 공진주파수 및 대역폭 특성 변화가 해석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