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디오 음질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Car Audio Sound Qualify Enhancement under Vehicle Noise (차량 주행소음을 고려한 자동차 오디오 음질 개선법 연구)

  • Park Seok Tae;Kim Kyung Hwan;Lee Jong Kyu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74-277
    • /
    • 1999
  • 자동차 오디오는 차량의 상품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급 차량일수륵 또한 젊은 층일수록 차량 구매시 선택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동차 오디오는 크게 두가지 면에서 가정용 오디오와 차이가 있다. 첫번째는 청취공간이 매우 헙소하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주행시 차량소음이 차 실내로 유입되어 오디오 음질에 영향을 미친다. 차 실내는 즘은 공간 음향폭성으로 인한 음향 dip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오디오 음질의 왜곡을 가져오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라우드스피커 최적배치 뿐 아니라 주행소음에 대한 시험 및 분석을 하여 오디오 음질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 밴드를 파악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음에 차량소음이 섞인 경우에 대하여 차량의 라우드스피커 위치는 변경하지 않고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 밴드별 출력을 디지털필터를 이용하여 수정하는 방법으로 음질 개선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필터의 보정치는 차량 주행소음 특성과 차 실내 음향특성을 고려하였다. 차량소음을 섞은 주파수 옥타브 밴드 분석법을 이용한 객관적인 분석과 감성적 분석법인 NCB곡선으로 차량소음을 분식하여 디지털 필터 보정치를 구하는데 사용하였다. 제안한 9가지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차량소음과 음악을 합성하였고 이중에서 좋은 음질에 대한 판정을 하기 위해 Scheffe가 제안한 7점 주관 평가법을 사용하여 64명이 내린 주관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Objective measurement of spatial auditory quality for multi channel audio codecs (멀티채널 오디오 압축 코덱 음질의 객관적인 측정방법)

  • Choi, In-Yong;Chon, Sang-Bae;Sung, Koeng-Mo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5.11a
    • /
    • pp.431-434
    • /
    • 2005
  • 본 논문은 멀티채널 오디오 압축 코덱의 음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파라메터에 관한 것으로,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양이입력신호(ear input signals)를 만들어내는 전처리 과정과 이 과정을 통해 출력되는 양이입력신호로부터 양이레벨차이왜곡(inter-aural level difference distortion)을 구하는 과정 및 양이레벨차이왜곡이 청취평가 결과와 일관적인 상관관계를 보임을 서술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멀티채널 오디오 압축 코덱의 음질을 선별된 청취자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와 통계처리 없이 객관적인 측정만을 통해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사용하면 멀티채널 오디오 압축 코덱 개발자들이 시간, 경제적 부담 없이 자신이 개발한 압축 코덱의 음질을 간단하게 평가해볼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Objective Sound Quality Evaluation Method Based on Subjective Sound Quality Evaluation (주관적 음질 평가 모델을 이용한 객관적 음질 평가 방법의 개발)

  • Kim Jong-Bae;Sung Ho-Young;Lee Joon-Hyun;Jang S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15-118
    • /
    • 2004
  • 일반적으로 오디오 시스템 혹은 AV 장치의 음질 평가는 숙련된 음질 평가자(Trained Listeners)의 주관적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평가자의 개인적 선호도(Preference) 및 청취 환경에 따라 음질 평가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주관적인 음질 평가 방법은 음질 평가자의 체감 음질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성 및 시불변성에 취약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시스템 혹은 AV 장치에 대한 주관적인 음질 평가 방법을 기본 모델로 이용하여 주관적 음질 평가 항목과 계량화가 가능한 객관적 음질 평가 항목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여 기존의 주관적 음질 평가를 대체할 수 있는 객관적 음질 평가 방법을 새로이 제시한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Sound Enhanced MPEG-1 Audio Decoder on Embedded OS Platform (음질향상 알고리즘을 내장한 MPEG-1 오디오 디코더의 Embedded OS 플랫폼에의 구현)

  • Hong, Sung-Min;Park, Kyu-Si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0 no.8
    • /
    • pp.958-966
    • /
    • 2007
  •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sound-enhanced MPEG-1 audio decoder on embedded OS Platform. Low bit rate lossy audio codecs such as MP3, OGG, and AAC for mitigating the problems in storage space and network bandwidth suffer a major common problem such as a loss of high frequency fidelity of audio signal. This high frequency loss will reproduce only a band-limited low-frequency part of audio in the standard CD-quality audio.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e embedded a sound enhancement algorithm into the MPEG-1 audio decoder and then the algorithms optim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MPEG-1 audio layer I, II, III were implemented on an embedded OS platform.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spectrum analysis and listening test, we confirm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ystem compared to the standard MPEG-1 audio decoder.

  • PDF

An Implementation of an ARM Platform based MP3 Sound Enhancement System (ARM 플랫폼 기반의 MP3 오디오 음질 향상 시스템 구현)

  • Oh, Sang-Hun;Park, Kyu-Si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4 no.1
    • /
    • pp.70-75
    • /
    • 2007
  • In order to mitigate the problems in storage space and network bandwidth for the full CD quality audio with 44.1 kHz sampling rate, current existing digital audio is always restricted by sampling rate and bandwidth. This kind of restriction normally can be resolved by using low bit rate audio codec such as MP3, OGG, and AAC. However it suffers a major problem such as a loss of high frequency fidelity. This high frequency loss will reproduce only the band-limited low-frequency part of audio in the standard CD-quality audio. In general, the high frequency contents of audio have lots of information such as localization and ambient information, and bright nature of audi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lement on ARM platform system that can effectively estimate and compensate the missing high frequency contents of MP3 audio.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spectrum analysis and listening test, we confirm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lgorithms for MP3 audio quality enhancement.

Sound Enhancement of low Sample rate Audio Using LMS in DWT Domain (DWT영역에서 LMS를 이용한 저 샘플링 비율 오디오 신호의 음질 향상)

  • 백수진;윤원중;박규식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1
    • /
    • pp.54-60
    • /
    • 2004
  • In order to mitigate the problems in storage space and network bandwidth for the full CD quality audio, current digital audio is always restricted by sampling rate and bandwidth. This restriction normally results in low sample rate audio or calls for the data compression scheme such as MP3. However, they can only reproduce a lower frequency range than a regular CD quality because of the Nyquist sampling theory. Consequently they lose rich spatial information embedded in high frequency. The pro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efficient high frequency enhancement of low sample rate audio using n adaptive filtering and DWT analysis and synthesis. The proposed algorithm uses the LMS adaptive algorithm to estimate the missing high frequency contents in DWT domain and it then reconstructs the spectrally enhanced audio by using the DWT synthesis procedure. Several experiments with real speech and audio are performed and compared with other algorithm.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spectrogram and sonic test, we confirm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the other algorithm and reasonably works well for the most of audio cases.

Review of Standard Sound Quality Assessment Methods for the Transmitted and Processed Sounds (음질 평가법의 표준과 연구 동향 - 전송 처리음 분야)

  • Oh, Wongeu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3
    • /
    • pp.214-226
    • /
    • 2013
  • Assessing the quality of audio signals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making high quality sounds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his paper provides a general framework of sound quality and a technical overview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methods which are described in ITU-T, ITU-R, IEC and ANSI Recommendations in the speech intelligibility, speech quality, and audio quality areas. In addition, some recent findings and future works are included.

오디오 신호처리 기술 동향

  • 윤대희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6
    • /
    • pp.75-95
    • /
    • 2004
  • 기존의 아날로그 오디오에 비해 향상된 음질과 넓은 대역폭을 갖는 디지털 오디오는 CD나 DVD 등을 비롯하여, 고선명 TV,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등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부터, 포터블 오디오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 개인 휴대 장치에 이르기까지 그 응용분야가 다양하다.(중략)

  • PDF

Analysis and Evaluation of PEAQ : Objective Method for Perceived Audio Quality Measurement (객관적 음질 평가를 위한 PEAQ의 성능 평가 및 분석)

  • Park Se-Hyoung;Ryu Seung-Wan;Park Jeong-Yeol;Shin Jae-Ho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234-239
    • /
    • 2003
  • 디지털방송, DAB 등과 같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음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방식은 인간의 귀를 이용한 주관적 방식을 이용함으로서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게 되며, 음질평가를 하는 사람의 주관적 의견에 많이 좌우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ITV-R에서는 오디오 음질의 객관적 평가를 위한 BS.1387(PEAQ)를 제안함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PEAQ는 인간의 귀에서의 신호의 처리과정과 인식과정을 심리음향모델과 인식모델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주관적 평가의 SDG(Subjective Difference Grade)에 대응하는 ODG(Objective Difference Grade)를 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PEAQ의 심리음향 모델과 인식 모델을 원리와 과정을 평가 분석하였다.

  • PDF

Multichannel Audio Coding using inter-channel Redundancies (채널 간 중복성을 이용한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 신종인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150-154
    • /
    • 1995
  • 기존의 2-채널 오디오 복호화기와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기에 할당되는 비트율이 제한되어야 한다. 늘어난 채널 신호에 적은 양의 비트를 할당해줌으로 인해서 복원음의 음질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에 신호의 채널 간 중복성을 이용한 다채널 오디오 신호의 음질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채널간 중복성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응 채널 간 예측법을 제안하였다. 적응 채널 간 예측법은 주로 저주파 대역에서 스테레오 신호 간에 존재하는 중복된 정보를 제거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저주파 대역에서는 큰 예측 이득을 얻을 수 있어서 스테레오 음상에 불필요한 정보를 없애는데 유리하다. 기존의 방법과 제안된 예측 부호화법을 비교해 보면 두 신호의 상관 관계가 클수록 개선폭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낮은 비트율에서 기존이 부호화기가 처리하기 어려운 광대역 신호에 대해서 음질이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