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측 인자

Search Result 2,372,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n Hourly Extreme Rainfall Outlook Using Climate Information (기상인자를 활용한 시단위 극치강우량 전망)

  • Kim, Yong-Tak;Hong, Mi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4-14
    • /
    • 2018
  • 세계의 여러 국가에서 과거 발생했던 강수의 통계적 특성에서 벗어나는 극치사상이 빈번하게 관측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중 하나는 지구온난화이며 실제 산업화 이후 온실가스의 증가와 더불어 극한 기상현상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현재 예상치 못한 수문사상의 발생으로 인해 수자원관리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호우사상은 막대한 인명 및 사회적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계절적 특징으로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따라서 여름철 강수량을 예측하여 호우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한다. 계절강수 예측은 수문, 산림, 식품, 등을 포함한 사회 경제적 파급 효과가 매우 크지만 아직 신뢰성 있는 예측은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발생 강도와 빈도가 큰 극한 강우는 주로 짧은 시간에 걸쳐 발생하기 때문에 예측하기가 어렵다. 최근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AO, NAO, ENSO, PDO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수문학적 빈도를 변화시킨다고 알려지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통계기법을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해석모형을 토대로 외부 기상인자에 의한 변동성을 고려할 수 있는 계절강수량 예측모형을 구축한 후 산정된 결과를 입력 자료로 하여 극치강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비정상성 Four - Parameter (4P)-Beta분포를 이용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직접적으로 일단위 이하의 극치강수량을 상세화 시킬 수 있는 모형으로 확장하여 이를 통해 기상변동성을 다양한 시간규모에서 고려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Prediction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Watershed of Nam River Using Probability Forecast (확률예보를 이용한 남강유역에서의 수질예측 ANN모형 개발 연구)

  • Jung, Woo Suk;Kim, Young Do;Kang, Boo Sik;Kim, Sung 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6-26
    • /
    • 2017
  • 우리나라는 하천 및 호수 등 지표수에 대한 수자원 의존도가 매우 높다. 지표수는 태양광에 노출되어 있고, 기온의 영향을 직접 받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대해 매우 민감한 수체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저온, 이상 고온, 홍수, 가뭄 등의 자연 현상은 하천, 호수의 물리화학적 및 생태학적 특성을 변화(교란)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상현상에 변동되는 수질특성을 고려하여 기상청 확률기상예보를 구축된 인공신경망 예측모형의 입력인자로 적용하여 수질예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형구축은 실제 일어난 기상관측자료와 요인분석을 통해 분류한 수질인자를 반영하여 단위유역별 수질예측을 위한 ANN학습을 실시하였다. 각 단위유역마다 기상요인의 공간적 세밀화 적용을 위해 각각 남강A, 남강B는 산청기상대, 남강C, 남강D는 진주기상대, 남강E는 의령기상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질항목은 DO, BOD, COD, TOC, T-P, SS 총 6개로 단위유역 5개에서 총 30개 예측모형 구축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습된 인공신경망 예측모형에 기상청 확률예보 값을 입력인자로 사용하여 모형평가를 실시하였다. 5개 단위유역 중 상대적으로 유역관리의 시급성을 고려하여 남강댐 하류 단위유역인 남강D, 남강E 인공신경망 모형의 입력자료로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Study of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edict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metastasis using image texture feature (Image texture feature를 이용하여 비소세포폐암 전이 예측 머신러닝 모델 연구)

  • Hye Min Ju;Sang-Keu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13-31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18F-FDG PET과 CT에서 추출한 영상인자를 이용하여 비소세포폐암의 전이를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생성하였다. 18F-FDG는 종양의 포도당 대사 시 사용되며 이를 추적하여 환자의 암 세포를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의료영상 기법 중 하나이다. PET과 CT 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 특징은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을 반영하며 해당 ROI로부터 계산되어 정량화된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image texture 프절 전이 예측에 있어 유의한 인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AUC를 계산하고 단변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PET과 CT에서 각각 4개(GLRLM_GLNU, SHAPE_Compacity only for 3D ROI, SHAPE_Volume_vx, SHAPE_Volume_mL)와 2개(NGLDM_Busyness, TLG_ml)의 image texture feature를 모델의 생성에 사용하였다. 생성된 각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accuracy와 AUC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 random forest(RF) 모델의 예측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추출된 PET과 CT image texture feature를 함께 사용하여 모델을 훈련하였을 때가 각각 따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예측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추출된 영상인자가 림프절 전이를 나타내는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의료 영상을 기반으로 한 비소세포폐암의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game indicators and winning forecasting models with game data (게임 데이터를 이용한 지표 개발과 승패예측모형 설계)

  • Ku, Jimin;Kim, Jaehe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2
    • /
    • pp.237-250
    • /
    • 2017
  • A new field of e-sports gains the great popularity in Korea as well as abroad. AOS (aeon of strife) genre games are quickly gaining popularity with gamers from all over the world and the game companies hold game competitions. The e-sports broadcasting teams and webzines use a variety of statistical indicators. In this paper, as an AOS genre game, League of Legends game data i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indicators to predict the outcome. We develop new indicators with the factor analysis to improve existing indicators. Also we consider discriminant function, neural network model, and SVM (support vector machine) for make winning forecasting models. As a result, the new position indicators reflect the nature of the role in the game and winning forecasting models show more than 95 percent accuracy.

Development of the Surface Forest Fire Behavior Prediction Model Using GIS (GIS를 이용한 지표화 확산예측모델의 개발)

  • Lee, Byungdoo;Chung, Joosang;Lee, Myung-B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4 no.6
    • /
    • pp.481-487
    • /
    • 2005
  • In this study, a GIS model to simulate the behavior of surface forest fire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forest fire growth prediction algorithm. This model consists of three modules for data-handling, simulation and report writing. The data-handling module was designed to interpret such forest fire environment factors as terrain, fuel and weather and provide sets of data required in analyzing fire behavior. The simulation module simulates the fire and determines spread velocity, fire intensity and burnt area over time associated with terrain slope, wind, effective humidity and such fuel condition factors as fuel depth, fuel loading and moisture content for fire extinction. The module is equipped with the functions to infer the fuel condition factors from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digital vegetation map sand the fuel moisture from the weather conditions including effective humidity, max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hourly irradiation. The report writer has the function to provide results of a series of analyses for fire prediction. A performance test of the model with the 2002 Chungyang forest fire showed the predictive accuracy of 61% in spread rate.

Cubic Equation of State Analysis for the Prediction of Supercritical Thermodynamic Properties of Hydrocarbon Fuels with High Critical Compressibility Factor (고 임계 압축인자를 갖는 탄화수소 연료의 초임계 열역학적 물성 예측을 위한 상태방정식 분석)

  • Jae Seung Kim;Jiwan, Seo;Kyu Ho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6 no.5
    • /
    • pp.24-34
    • /
    • 2022
  • In order to predict the cooling performance of a regenerative cooling channel using hydrocarbon fuel operating in the supercritical region, it is essential to predict the thermodynamic properties.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wo-parameter equations of state (SRK(Soave-Redlich-Kwong), PR(Peng-Robinson) equations of state) and three-parameter equations of state (RK-PR equations of state) to appropriately predict density and specific heat according to the critical compressibility factor of polymer hydrocarbons. Representatively, n-dodecane fuel with low critical compressibility factor and JP-10 fuel with high critical compressibility factor were selected, and an appropriate equation of state was presented when predicting the thermodynamic properties of the two fuels. Finally, the prediction results of density and specific heat were compared and verified with NIST REFPROP data.

Future Drought Analysis using Non-homogeneous Hidden Markov Model in Gum River Basin (Non-homogeneous Hidden Markov Model을 이용한 금강유역의 미래 가뭄 분석)

  • Kim, Bo-Ran;Joo, Hong-Jun;Kim, Soo-Ju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88-39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의 가뭄과 한반도 주변 지역의 기후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의 가뭄을 예측하였다. 1974 - 2015년 동안 11 - 5월에 발생한 강우 자료와 NOAA에서 제공하는 NCEP-NCAR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 기후인자와 금강유역의 강우가 과거 발생한 가뭄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금강유역의 강우 패턴을 4개의 스테이지로 구분한 후 이를 상태층으로 참고하였으며, 관측 자료는 학습단계에 활용하였다. 이러한 기후인자와 강우 관계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고 미래의 기후요소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래 금강유역의 가뭄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금강권역 수자원 공급 계획 및 설계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뭄 대비 대책 사업의 우선순위 결정에 대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ediction of Soil Distribution Using Digital Terrain Indices (수치 지형인자를 활용한 토양수분분포 예측)

  • Lee, Hak-Su;Kim, Gyeong-Hyeon;Han, Ji-Yeong;Kim, Sang-Hy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4
    • /
    • pp.391-401
    • /
    • 2001
  • Several curvature parameters, solar radiation parameter and topographic flow generation parameters have been summarized and calculated to predi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conten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data can be obtained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and portable soil moisture monitoring equipment, Theta-Probe. Correlatio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between the parameters of soil moisture prediction and measured data of soil moistu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oil moisture prediction shows the potential capability and limitations of existing methods of digital terrain analysis.

  • PDF

Calculation of Poroelastic Parameters of Porous Composites by Using Micromechanical Finite Element Models (미시역학적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한 다공성 복합재료의 기공 탄성 인자 산출)

  • Kim, Sung-Jun;Han, Su-Yeon;Shin, Eui-Sup
    • Composites Research
    • /
    • v.25 no.1
    • /
    • pp.1-8
    • /
    • 2012
  • In order to predict the thermoelastic behavior of porous composites, poroelastic parameters are measured by using micromechanics-based finite element models. The expanding deformation caused by pore pressure, and the degradation of homogenized elastic moduli with pores are calculated for the assessment of the poroelastic parameters. Various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s considering the shape, size, and array pattern of pores are modeled and analyzed by a finite element method. The effects of porosity and material anisotropy, and the distribution of stain energy density are investigated carefully. In addition, the measured poroelastic parameters are verified by predicting the thermo-pore-elastic behavior of carbon/phenolic composites.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s for Pre-excavation (굴착 전 지반함몰 예측을 위한 위험등급 분류)

  • Ihm, Myeong-Hyek;Shin, Sang-Sik;Kim, Woo-Seok;Kim, Hak J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4
    • /
    • pp.553-563
    • /
    • 2018
  • The recent increase of ground subsidence in Korea require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ground subsidence. Eighteen parameters affecting the ground subsidence for pre-excavation ar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considering ground types, groundwater, and external factors. Eighteen parameters consists of a table which gives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s for pre-excavation(GSRp). Certain scores are given to these parameters after they are divided into several class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and the credibility of parameters and the engineering judgements of the author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ground subsidence factors depending on the ground and field conditions, weighting factors for the individual factor and for the each category are multiplied. Weighting factors are calculated from citation frequencies of influencing factors.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s for pre-excavation can be quantified by considering the individual score of each parameter and weighting factors for the individual factor and for the each category. The suggested GSRp table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by engineers for the estimation of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s for pre-excavation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