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측지도

Search Result 67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cience Technology - 빅데이터가 범죄 예방하는 세상

  • Kim, Hyeong-Ja
    • TTA Journal
    • /
    • s.173
    • /
    • pp.58-59
    • /
    • 2017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범죄 예측 지도가 만들어지고, 미국에서는 이를 활용한 '헌치램' 같은 범죄 예측 시스템이 이미 실용화되고 있다. 다음 범죄가 어디서 일어날지 예측해 영리하게 대처하는 빅데이터 세계를 들여다보자.

  • PDF

A Basic Study on Disaster Mapping Techniques in Mountainous Watershed (산지유역 재해지도 작성 기법에 관한 기초 연구)

  • Lee, Hyun Chae;Jun, Kye Won;Oh, Chae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9-179
    • /
    • 2017
  •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의 약 64%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고서저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강원도 영동지방의 경우는 고도가 높으며 경사가 급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지형적 특징으로 태풍 및 집중호우 시, 산지재해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에 의해 태풍 및 집중호우가 빈번해 산지재해의 발생빈도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대규모의 인적, 물적 등의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산지재해 같은 경우, 예측이 어려우나 그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산지재해의 발생예상 지역, 피해정도 및 규모에 대한 예측 자료가 필요하다. 재해지도는 그에 따른 예측 자료로써 대상 지역의 위험요인과 잠재적인 영향 등을 표시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재해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는 정량적 기법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결정론적 기법(SHALATAB, SINMAP, GEOtop-FS), 확률론적 기법(빈도비분석법, 우도비, 증거가중법 등), 통계적 기법(로지스틱 회귀분석, 인공신경망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기법 중 하나인 결정론적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 실제 위험지역과 비교하였다. 추후에 확률론적 기법과 통계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인과관계에 관한 구조추론과 강도추론의 관련성

  • 김동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3.02a
    • /
    • pp.57-64
    • /
    • 2003
  •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인과지도(Causal map)를 통한 시스템 이해를 그 출발점으로 한다. 특히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는 저량-유량 흐름도를 통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지 않고서 인과지도 분석만을 통한 시스템의 이해를 시도한다. 그러나 과연 인파지도만을 가지고 시스템을 동태적 변화를 이해/예측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는 낙관적 전망과 부정적 전망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과지도 구축을 통하여 시스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인지적 편향(bias)이 개입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만일 심리적 편향이 존재한다면. 시스템 사고는 오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오류의 존재를 탐색함으로써 시스템 사고의 제한정과 그 극복방안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중략)

  • PDF

Preliminary Study for Constructing Housing Demand and Supply Mapping Model (주택수급지도 구축 기초연구)

  • Choi, Jun-Young;Kim, Yeon-Sik;Yu, Cha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28-235
    • /
    • 2008
  • 새정부 들어 주택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으나, 주택 수요 공급과 관련된 통계 및 정보의 종합적 관리 체계 미흡으로 주택수급상황을 파악하여 주택수급에 대처하는 주택하위 시장별 대응정보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수급상황을 분석 및 제공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을 구축 "주택 수요"가 있는 곳에 "주택을 공급"하는 정책지원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행정생활권, 광역교통망, 주택사업위치, 공공 민간 사업지구 등의 GIS정보 기반에 주택 수요 공급 통계 및 정보를 분석하여 정책지원 및 대국민 서비스를 하는 정보체계인 주택수급지도(Housing Demand and Supply Mapping Model)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주택수급에 필요한 수요현황 및 예측 등 "주택수요정보"에 기초하여 주택건설, 공급, 재고 등의 "주택공급정보"를 분석하여 주택수급지도에 대한 기본설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향후 주택수급지도를 활용하여 주택수급상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주택수요를 고려한 수요자별 맞춤형 주택공급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별, 주택 규모별, 주택유형별, 인구계층별 주택수급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Selection of Flood Risk Area for Real-Time Flood Risk Mapping (실시간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홍수위험지역 선정)

  • Park, Jun Hyung;Keum, Ho Jun;Kim, Beom Ji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46-346
    • /
    • 2015
  • 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는 자연재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홍수의 심각성과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홍수 재해와 관련된 경제적 손실을 감소할 필요성에 대해 국제적인 우려가 늘어나고 있다. 홍수로 인해 야기되는 재해는 적절한 예방 대책을 통해 저감시킬 수 있는데 그 중 홍수위험지역을 예측하는 것은 홍수를 완화시킬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홍수위험지역을 예측하여 실시간으로 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해주어 위험성을 미리 인식시키고 대비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홍수통제소 등의 국가기관에서 주요 국가하천에서의 홍수위만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어 홍수위험지도의 제작 및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시간 홍수위험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되어 왔으나 범람구역의 설정 및 복잡한 수리해석 등의 어려움을 동반하여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모형인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실시간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으로 홍수위험지역을 선정해보았다. 국내 홍수예 경보시스템에서 사용하는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홍수위를 산정하여 홍수위험지역을 선정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도 홍수흔적도와 상당히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홍수위험지역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정확한 수리계산이 필요한 지역이나 홍수보험의 가입이 필요한 지역의 선정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Data Visualized Web System for Virtual Power Forecasting based on Open Sources based Location Services using Deep Learning (오픈소스 기반 지도 서비스를 이용한 딥러닝 실시간 가상 전력수요 예측 가시화 웹 시스템)

  • Lee, JeongHwi;Kim, Dong Ke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8
    • /
    • pp.1005-1012
    • /
    • 2021
  • Recently, the use of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based location information systems using maps on the web has been expanding, and there is a need for a monitoring system that can check power demand in real time as an alternative to energy sav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eep learning real-time virtual power demand prediction web system using open source-based mapping service to analyze and predict the characteristics of power demand data using deep learning. In particular, the proposed system uses the LSTM(Long Short-Term Memory) deep learning model to enable power demand and predictive analysis locally, and provides visualization of analyzed information. Future proposed systems will not only be utiliz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supply and demand and forecast status of energy by region, but also apply to other industrial energies.

Application of IDL for Establishing the Database and Visualization System of National Wind Map (국가바람지도 데이터베이스화 및 가시화를 위한 IDL 활용)

  • Kim, Hyun-Goo;Lee, Soon-Hwan;Lee, Sang-Woo;Lee, Jong-Hy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85.2-185.2
    • /
    • 2010
  • 한반도 국가바람지도(김현구, 2009)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지식경제부의 부처임무사업으로 구축되었으며 현재 웹서비스(http://www.kier-wind.org)를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국가바람지도는 수치기상예측(NWP;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모델을 이용하여 영토, 영해에 대해 $1km{\times}1km$의 고해상도로 작성한 뒤(이순환 등, 2009) 풍력자원 정보로 재가공되었다. 한반도 국가바람지도는 5년의 장기간에 대한 시계열 수치기상예측에 의하여 구축되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의 효율적 관리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MM5 또는 WRF 모델의 고유 출력포맷의 자료구조는 풍력자원분석에 필요한 기상요소 외에도 대기과학자에게 필요한 수많은 기상인자를 종합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2차원 층(layer) 또는 3차원 공간분포 분석 및 계산격자인 셀(cell)에서의 1차원 시계열 분석 등 다양한 자료축출에는 비효율적인 자료구조가 된다. 이러한 자료구조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상요소별로 독립적이고 빈번한 시계열 자료 추출에 효율성을 가지며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든지 직관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재구성이 요구된다. 이에 대용량 수치자료의 처리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는 과학기술 프로그래밍 언어인 IDL을 기반으로 국가바람지도의 자료구조를 효율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였으며 IDL에 내재된 그래픽 기능을 활용하여 가시화를 구현함으로써 연구개발자의 입장에서 국가바람지도의 활용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PDF

A Prediction Model and Mapping for Forest-Dwelling Birds Habitat Using GIS (GIS를 이용한 산림성 조류의 서식지 예측 모형 및 지도구축)

  • Lee, Seul-Gi;Jung, Sung-Gwan;Park, Kyung-Hun;Kim, Kyung-Tae;Lee, Woo-S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1
    • /
    • pp.62-73
    • /
    • 2010
  • A bird is needed efficient conservation through habitat management, as the representative of an organism to evaluate the steady of complex ecosystem. So, this study will offer the useful basic data for preserving habitat from now on, as presenting a estimating model with the GIS program which selected factors effecting the habitat of a forest-dwelling bird in Changwon. As the resort of the survey, the number of forest-dwelling birds living in the 135 survey sites were 5 order, 15 family, 26 species and 922 individual. Also, as the result of making habitat analysis into a predict model, 'NDVI', 'Distance to valley', 'Distance to mixed forest' and 'Area of field' were significant and they had R-squares of 51.3%. Next, as the resort of researching the accuracy of Model, it was a reasonable prediction, 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0.735 and MAPE is 20.7%, and a predict map of habitat was made with the model. This map could predict species diversity of no investigated areas and could be an useful basic data for preserving habitat, as an on-the-spot survey.

The Study on the Mapping of Wind Resource using Moving Filter Technique at Udo, Jeju Island (무빙필터 기법을 적용한 제주 우도지역의 풍력자원지도 작성에 대한 연구)

  • Moon, Seo Jeong;Ko, Jung Woo;Lee, Byung G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4
    • /
    • pp.29-36
    • /
    • 2012
  • In order to create a wind resource map, we need wind data, contour map and roughness map. Moving Filter technique was applied to Udo of Jeju Island to improv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creating roughness map based on the Land Cover Map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Land Cover Map was simplified using moving filtering, and the roughness map was created with this Land Cover Map. The wind resource map was created using this roughness map. Finally, we verified the validity and application of moving filter technique for wind resource map. As a result, the wind map which was created using the roughness map with moving filtering showed bias values which were all negative. It means the wind map is underestimated to values of wind energy and RMSE values were also from 0.0237m/s to 0.0253m/s at 50m height. In other words, estimation of wind resource using image filtering provides reliable results at 80m height typically when the wind turbine is installed. Finally, we found that image filtering technique is very useful tool to make wind resource map.

Standard Metadata Design for Linkage and Utilization of Damage Prediction Maps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연계·활용을 위한 표준 메타데이터 설계)

  • SEO, Kang-Hyeon;HWANG, Eui-Ho;BAECK, Seung-Hyub;LIM, So-Mang;CHAE, Hyo-S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3
    • /
    • pp.52-66
    • /
    • 2017
  • This study aims at designing standard metadata that can be incorporated for advanced utilization of damage prediction maps, and thereby constructing the standard meta-information management prototype system on the basis of the proposed design. Based on the ISO/TC 211 19115 international standard,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widely used standard (as per the results of a domestic and foreign metadata standard survey), the designing process for the standard metadata was established and the metadata was categorized into nine classes. Additionally, based on the output of the standard metadata design process, a standard meta-information management prototype system, capable of checking and downloading meta-property information, was constructed using the JAVASCRIPT language. By incorporating the obtained result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constructed damage prediction map by establishing a standardized damage prediction map database. Furthermore, disaster response can be actuated through the provision and management of data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proposed damage predic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