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절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5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역량강화를 위한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Program for Strengthen of Employment Capabil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고창룡;배선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1-208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역량강화를 위하여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준비, 개발, 개선의 3가지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 단계에서는 학생, 교사, 산업체의 요구를 조사 분석하였고, 그에 맞는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직업과 예절', '직장 조직의 이해', '올바른 직장예절', '자기관리'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학습 내용 및 경험을 선정하여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학생들에 의한 현장시험을 실행하여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개발된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은 총 8차시로서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 가능하다. 둘째, 개발된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은 직장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올바른 직장예절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개발된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직업과 예절', '직장 조직의 이해', '올바른 직장예절', '자기관리'의 네 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개발된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은 교사용 자료와 학생용 자료로 구성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은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창의적 체험활동, 창의적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등의 진로교육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 및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 연구 (Knowledge, Compliance, and affecting factors of the Cough Etiquette to Prevent th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on Convergence Study)

  • 김옥선;윤성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389-398
    • /
    • 2018
  • 본 연구는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과 실행수준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2018년 8월 13일부터 9월 19일까지 19세 이상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213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은 100점으로 환산 시 평균 지식수준이 $70.99{\pm}19.92$점, 실행수준은 $70.63{\pm}10.25$점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다중회귀분석에서 기침예절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평소 손수건을 가지고 다님, 평소 휴지를 가지고 다님, 일평균 손씻기 횟수, 기침예절에 대해 알고 있음, 기침예절 지식 수준이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된 기침예절 실행 영향 요인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기침예절 실행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기침예절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ompliance of Cough Etiquette in Nursing Students)

  • 박경혜;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22-331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기침예절에 관한 지식과 이행 수준 간의 관계 및 기침예절에 관한 이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간호대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3일부터 14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은 손씻기 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침예절에 대한 이행수준은 평소 티슈를 가지고 다니는 경우, 평소 손수건을 가지고 다니는 경우, 손씻기 횟수, 기침예절에 대한 교육 필요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침예절에 관한 지식은 이행수준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침예절에 관한 이행 수준의 영향요인은 기침예절에 관한 지식, 평소 손수건을 가지고 다니는 경우, 기침예절에 대한 교육 필요성으로 총 변화량의 22%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기침예절에 대한 이행수준을 높이기 위해 평소 손수건을 휴대해야 하고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술과 예절(禮節)

  • 이동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81-285
    • /
    • 1989
  • 술의 기원을 보면, 술은 원시시대, 유목시대 그리고 농경시대를 거쳐 점차 발전하였으며 원시인들은 술의 발효현상을 풍요와 연결지어 생각하고 일부에서는 술에다 물을 섞어 신께 올리는 풍(風)도 있었으며 이 술은 현실 생활에서도 웃사람에서 공귀(供?)하는 가장 소중(所重)하고 존귀(尊貴)한 식품(食品)으로 꼽히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어른을 모시는 자리에서는 자연히 지체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석(酒席)에서의 예절을 되도록이면 좌석을 부드럽게 화기(和氣)넘치는 분위기(雰圍氣)로 이끌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술을 다시는 예절에서 더욱 조심을 하여야 한다. 연회석에서나 야외에서의 술에 대한 예절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실업계 여고생의 예절의식.수행에 관한 연구 (The Attitude and Performance for the Etiquet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irls)

  • 강선영;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3호
    • /
    • pp.89-10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ttitude and performance for the etiquet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irl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ffective factor of their attitude for the etiquette is the communication level among family members. 2) There is static correlations between their attitude and performance for the etiquette. 3)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their performance for the etiquette, we should raise the level of their attitude for the etiquette through harmonious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 PDF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바라본 공동주택예절에 대한 인식과 반성적 재고 (The Reflective Reconsider and Recognition of Apartment Housing Etiquette through Big Data)

  • 주영애;백주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6-37
    • /
    • 2020
  •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과 흡연문제를 중심으로 법과 제도, 법원판결 주요사례를 통해 그 실태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인식을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공동주택예절을 실천하기 위한 반성적 재고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층간소음, 층간흡연 문제 등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법과 제도가 마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자체와 공동주택에서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을 모색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언급한 문제들은 계속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빅데이터 분석결과에서는 층간소음과 흡연에 대한 인식이 각각 4개로 군집화되었다. 넷째, 이들 문제해결을 위한 공동주택예절은 인식개선과 실천성을 전제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그 문제해결을 위해 세 가지 범주를 제안하였다. 첫째, 생활환경 변화에 맞는 적합한 예절실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연구와 예절 책들이 집필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둘째, 상호존중과 배려정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공동주택 주민들의 자치적인 관심과 노력을 제안한다. 셋째, 공동주택예절교육이 아파트나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져 생활문화로 확산하기를 기대한다.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비말감염 예방 활동과 기침예절 지식 비교 (Comparison of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Activity and Knowledge of Cough Etiquette among Nursing Hospital Workers)

  • 박경혜;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60-369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비말감염 예방 활동과 기침예절 지식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A시의 3개 요양병원 종사자 177명이었다(의료인: 간호사 61명, 비의료인: 간호조무사와 요양보호사 116명). 자료는 2019년 3월 4일부터 29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자료분석방법은 x2-test, Fisher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OVA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과 연령에서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비말감염 예방 활동은 평상 시 티슈 휴대, 평상 시 손수건 휴대, 평상시 마스크 휴대, 호흡기 증상 시 손수건 휴대, 손씻기 횟수, 기침예절 준수에서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침예절 지식은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비의료인의 비말감염 예방 활동에 따른 기침 예절 지식 정도의 차이에서 평상 시 마스크 휴대, 기침예절 교육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종사자별로 기침예절에 관한 지식을 높이고 기침예절의 습관화를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조직 속 개인 위한 직장인 실용가이드

  • 이성수
    • 출판저널
    • /
    • 통권138호
    • /
    • pp.15-15
    • /
    • 1993
  • 명함은 오른손으로 주고 왼손으로 받으며 항시 두 손을 포개야 한다는 것이나, 업무전화는 건쪽에서 먼저 끊는다는 예의는 이제 상식이다. 그러나 상식을 자칫 모르고 있거나 알고 있다고 해도 가끔 잊는 직장인들을 위한 예절교양도서가 독자들의 손을 기다리고 있다. 신입사원, 여성사원을 위한 예절서의 대략을 살펴본다.

  • PDF

신세대 주부의 생활예절의식이 생활예절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w Generation Housewives′Etiquette Awareness on their Etiquette Implementation)

  • 김지영;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3호
    • /
    • pp.125-138
    • /
    • 2002
  •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effect of new generation housewives'etiquette awareness on their etiquette implement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search the levels of new generation housewives'etiquette awareness and etiquette implementation, how the etiquette awareness and etiquette implementation vary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effect of new generation housewives'etiquette awareness as well as the background variables on their etiquette implement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 level of etiquette awareness wa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etiquette implementation. Second, generally, their etiquette awareness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psychological variables including communication level and humanism/materialism value orientation. Third, new generation housewives'etiquette implement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y monthly income like etiquette awareness. Meanwhile, as the psychological variables, etiquette implement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ll Psychological variables except sex-role attitude. fourth, according to result of looking into relativ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etiquette awareness about etiquette implementation, etiquette awareness was a significant variable which affects etiquette 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