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비연구

Search Result 4,16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creativity according to major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designers and pre-engineers (대학생의 전공에 따른 창의성 비교 연구 : 예비유아교사, 예비디자이너, 예비공학자를 중심으로)

  • Kim, Hyoung Jai;Lee, Jun Yeon;Eom, Se 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6
    • /
    • pp.19-2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creativity according to major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designers and pre-engineers. The subjects were 132 four grade of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K and T university in Busan, Korea.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MANOVA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creativity according to their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overall crea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reliminary designers th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engineers. Second, the flu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design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e-service engineers. The abstr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an pre-engineers. The elaboration of pre-design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e-service teachers and pre-engineers. Open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re-designers than pre-engineers, and pre-engine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jor in creativity curriculum and program development f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of th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A Study of the Change of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ccording to TPACK Education (TPACK 교육에 따른 예비 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15-216
    • /
    • 2019
  •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교육에서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하였지만, 교사와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하여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통합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im과 Lee(2018)은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TPACK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예비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규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집단의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ICT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예비 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ICT 기반 TPACK 교육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는 자기효능감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예비 교사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the TPACK-P Education Program on TPACK of Pre-service teachers'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29-230
    • /
    • 2017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교사와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비 교사의 TPACK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을 접목한 TPACK-P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고,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관찰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K 대학의 2016년 2학기 강의의 일부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수업을 수강하는 예비 교사 19명이었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 교사의 TPACK을 측정하였고,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하여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TPACK-P 기반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PACK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영역에서는 PCK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towards Robots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167-169
    • /
    • 2017
  •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회, 경제, 산업에서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4차 산업 혁명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로 로봇이 주목받고 있다. 로봇은 다양한 연구에서 교육적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에 따라 로봇을 교육에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로봇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이 로봇 교육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었다. 특히, 다른 나라에 비해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었으며, 이러한 부정적인 태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로봇 교육의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와 다양한 요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K 대학에 다니고 있는 317명의 예비 교사이었으며,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활용한 Negative Attitude towards Robots Scale(NARS)를 사용하였다. NARS를 통하여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로봇을 조작한 경험과 로봇 관련 강의를 수강한 여부가 로봇에 대한 태도가 차이 나게 만드는 요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매체를 통한 로봇을 접촉한 경험은 로봇에 대한 태도에 관련이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Analysis of Difficulties of Pre-service Teachers in Process of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Programming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 과정에서 예비 교사의 어려움 분석)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09-210
    • /
    • 2019
  • 정보 교과가 아닌 타 교과에서 교육 도구로써 프로그래밍의 교육적 효과가 증명됨에 따라 프로그래밍을 수업에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TPACK 이론을 도입하여, 테크놀로지 도구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하고,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도입하였지만, 예비 교사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에게 선행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를 하는 과정에서 예비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는 예비 교사는 프로그래밍 학습,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교과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계로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진행하고, 개선한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equirement of Frequency Regulation Reserve in Electricity Market (전력시장에서 주파수조정예비력 요구에 관한 연구)

  • Oh, Chang-Soo;Lee, Kang-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298-300
    • /
    • 2005
  • 전력계통의 주파수조정예비력(Frequency Regulation Control)은 부하 변동에 대응하여 규정된 주파수를 유지하고 안정된 전력계통 운영이 가능하도록 단시간 내에 응동할 수 있는 예비력이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전력계통에 적합한 위와 같은 주파수조정예비력을 제시하고 전력산업 구조개편에 따라 분리된 발전사업자들이 전력시장에서 대부분의 주파수조정예비력을 담당하는 화력발전소 예비력 확보 방안을 연구 검토한 것이다.

  • PDF

Analyzing the chang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oticing occurr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actual class and learning community (실제 수업 및 학습공동체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변화 분석)

  • Jung, Hye-Yun;Seo, Yumin;Han, Jooho;Seo, Minju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5 no.3
    • /
    • pp.279-30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get an implication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by exploring how a pre-service teacher's noticing changes within a learning community. The pre-service teacher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mmunity with researchers. Data includes recordings and transcription of actual class and pre- and post discuss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 essays, field notes, and students' workshee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moved from the result of tasks to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interpretation changed from a lack of diversity and specificity of evidence to diversity and specificity.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decision-makings changed from unproductive deciding to productive deciding.

A Study on the leisure activities and the level of stress for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예비유아교사의 여가활동 실태와 스트레스 수준에 관한 연구)

  • Kang, Shin-Yo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7 no.4
    • /
    • pp.95-11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isure activities and the level of stress of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557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in Pusan, Daegu, Gangwon province. The contents of survey were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leisure activities, the level of stress. Analysis was done with SPSS statistics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of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didn't enjoy leisure activities. Second, they experienced much stress in Academic Achievement. Third, most leisure activities have no relations with the level of stress except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sleeping pattern and perception about wealth.

Examining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Mathematics Class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the Comments on the Mathematics Class -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 관점에 대한 연구 - 예비교사들의 수업 논평 비교를 중심으로 -)

  • Na, Gwi-Soo
    • School Mathematics
    • /
    • v.10 no.2
    • /
    • pp.279-296
    • /
    • 2008
  •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and identify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mathematics class. In this aim, we analyzed the comments on the mathematics class by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senior students and junior students) who are differ in the time of study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senior students commented the mathematics class by applying the theories in mathematics education, but the junior students did not. Furthermore, the senior students had the more rigid perspectives on mathematics class and commented in more depth on mathematics class in comparison with the junior students. While, the senior students showed a weak point that they overextended and over-applied the some mathematics education theories in the comments on mathematics class.

  • PDF

A Study on Possibility of Research Community for Mathematics Classroom of Expert-Inservice Teacher-Preservice Teacher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

  • Kang, Hyun Young;Tak, Byungjoo;Ko, Eun-Sung
    • School Mathematics
    • /
    • v.18 no.4
    • /
    • pp.857-880
    • /
    • 2016
  •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teacher education is a key element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th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Korea do not provide given enough opportunities for the classroom experience dur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eriod. For development of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develops a research community for mathematics classroom consisting of experts,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nd the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the model as an educational space for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y participating in a series of courses such as task development and revision, and observation and analysis of classes. As results,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enhance the practical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necessary for the class, and they were also positively influenced in teacher efficacy and view of teaching on the model. Based on this, we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model as a teacher edu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