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방행동

검색결과 767건 처리시간 0.024초

JSA 위험성평가 기법의 현장 적용성 강화 방안 연구 (Study on Ways to Strengthen Field Applicability of JSA Risk Assessment Techniques)

  • 조보현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152
    • /
    • 2023
  • 본 연구는 근로자의 행동을 현장 모니터링 즉 관찰을 통해 불안전한 행동 유발 요인들을 JSA 위험성평가를 실시하는 작업분석으로 올바른 안전작업절차서를 작성함으로써 이를 통한 불안전한 행동 요인을 제거하고 사고 및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 PDF

영유아 교사에 대한 한국어판 수정된 결핵예방 행동의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Tuberculosis Interview Instrument(K-TII)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손지희;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20-53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수정된 결핵예방 행동의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절차는 원도구를 번역,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조사를 통한 예비도구 확정,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한 최종도구 확정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원도구는 번역-역번역 과정을 거친 후 연구자 2인과 전문가 1인이 문헌고찰을 통해 52개 문항에서 37개 문항으로 수정하였고, 그 후 9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고, 32문항으로 수정 후 영유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예비도구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예비도구로 편의표집 한 영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에 적합한 289부의 설문지를 SPSS WIN 23.0과 AMOS 18.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7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총 설명변량은 71%로 최종도구는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도구의 신뢰도검증 결과 Cronbach's ${\alpha}$는 .88이다. 결론적으로 본 도구는 우리나라에서 영유아 교사의 결핵예방 행동의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로 볼 수 있다.

한국대학생의 살충제 오염 달걀에 대한 건강인식에 관한 연구: 지각한 민감성과 심각성, 정부에 대한 신뢰성, 정부 출처 정보에 대한 평가 및 주관적 지식이 예방행동의도를 예측하는가? (A study on Korean collegians' health perception toward Eggs contaminated with pesticide: Will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be predicted b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trust in government, evaluation of information from govern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 주지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55-363
    • /
    • 2018
  • 2017년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살충제 오염 달걀이 발견되어 큰 이슈가 되었다. 본 연구는 살충제 오염 달걀 사태의 맥락에서 건강 관련 연구에서 자주 인용되는 건강신념모형의 두 가지 변인인 지각한 민감성과 심각성, 정부에 대한 지각인 정부에 대한 신뢰성과 정부 출처 정보에 대한 평가, 및 관련 지식에 대한 개인의 확신을 의미하는 주관적 지식이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지각한 심각성(${\beta}=.262$, t=3.531, p<0.001), 정부에 대한 신뢰성(${\beta}=.252$, t=3.281, p<0.001), 정부 출처 정보에 대한 평가(${\beta}=.226$, t=2.936, p<0.01)가 예방적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때 정부가 신뢰성, 정확성, 일관성의 견지에서 정책을 시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a Drama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Skil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장연주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295-325
    • /
    • 2018
  • 이 연구는 교육연극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공감 및 친사회적 행동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45명의 중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공감척도와 친사회적 행동 척도를 통해 사전검사를 실행하였으며, 14주간의 프로그램이 완료된 후, 동일한 척도로 사후검사를 실행하였고,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가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본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능력을 함양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연문화예술교육에서 본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안전행동과 사고 예측을 위한 안전 성향 검사의 개발 및 현장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and Field Validation of Safety Personality Tests for Safe Behavior and Accident Prediction)

  • 이종현;김지민;문광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1-21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행동과 사고 발생을 예측하고 관리하기 위해 안전성향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안전 심리 분야에서 근로자의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안전 리더십과 안전 문화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다. Lewin에 따르면 Behavior = Person * Environment으로 환경은 물리적 환경(기계, 장비 등)과 심리-사회적(psyco-social) 환경(안전 리더십/문화)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근로자 개인 특성이 안전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개인 특성 중 일관되게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이 성격이고, Lee 등(2018)은 개인 성격이 안전/불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칠 확률은 35% 이상이며, 불안전 행동으로 한정해 보면 50% 이상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불안전한 행동으로 인한 사고는 비교적 소수의 직원에 의해 발생한다고 하였다(Clarke & Robertson 2008). 따라서 안전/불안전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성격 특성을 검증하여, 직원 선발이나 재직자 코칭에 활용한다면 산업 재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중소 물류기업의 안전 환경이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fety Environ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Logistics Companies on Safety Behavior)

  • 이성희;박진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35-146
    • /
    • 2022
  • 기업의 운영에서 안전한 생산 근로 환경은 중요한 요소이며, 공급 사슬 관리상의 물류기업에도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대형 물류기업과 계약을 체결하여 거래관계를 지속하고 있는 국내 중소 물류기업의 관점에서, 안전 분위기와 안전 예방 활동이 안전 행동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앞선 긍정적인 관계에 규제 불확실성과 경쟁 불확실성의 조절적인 역할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Adolescent Suicides in Korea: Predictors and Interventions

  • Choi, Jin-Young;Davis, Mary Ann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86
    • /
    • 2009
  • 본 연구는 영문으로 발표된 문헌고찰을 통해 한국의 청소년 자살행동의 예측요인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이과 관련된 정책과 중재프로그램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나아가 한국 청소년 자살을 감소시키고 억제하는데 필요한 효과적인 중재방안의 개발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제어 검색을 통해 4대 사회과학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문헌검색을 하였고 Citation Pearl Growing 기법을 적용하여 영문으로 발표된 학술지 게재 논문을 선별하였는데 추가적으로 국회도서관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최근 청소년 자살에 관한 대표적인 2개의 보고서를 찾아 고찰하였다. 본 문헌고찰은 청소년 자살예방 중재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청소년 자살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거시적, 미시적 차원으로 논하였다. 청소년 자살행동에 기여하는 거시적 또는 사회적 요인은 국가 경제수준, 대학입시에 대한 학업성취도 스트레스, 그리고 매체 및 인터넷 문화였다. 개인적 또는 미시적 위험요인은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되었다. 일반적 특성, 가족 특성, 학교 환경, 약물 사용, 정신적 장애, 성적 정체성이었다 이 6개 영역의 위험요인들이 서로 조합되면서 청소년에게 자살 의도나 시도가 일어나도록 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이중 청소년 자살 예방에 우선적인 3대 요소는 자아정체성 확립, 정신건강 중재서비스의 제공, 거시적 예방 정책의 구조화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학교는 정규학교교육과정과 학생 검사를 통해서 일반적인 정신건강교육을 실시하고 위험학생을 선별 하는데 핵심적인 장이다. 따라서 학교를 경유한 위험학생 선별사업과 이에 따른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의 지원이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