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방조치

Search Result 46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erformance Evaluation of Object Detection Deep Learning Model for Paralichthys olivaceus Disease Symptoms Classification (넙치 질병 증상 분류를 위한 객체 탐지 딥러닝 모델 성능 평가)

  • Kyung won Cho;Ran Baik;Jong Ho Jeong;Chan Jin Kim;Han Suk Choi;Seok Won Jung;Hvun Seung Son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10
    • /
    • pp.71-84
    • /
    • 2023
  • Paralichthys olivaceus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accounting for more than half of Korea's aquaculture industry. However, about 25-30% of the total breeding volume throughout the year occurs due to diseases, which has a very bad impact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fish farms. For the economic growth of Paralichthys olivaceus farms, it is necessary to quickly and accurately diagnose disease symptoms by automating the diagnosis of Paralichthys olivaceus diseases. In this study, we create training data using innov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refining data algorithms, and techniques for partitioning dataset, and compare the Paralichthys olivaceus disease symptom detection performance of four object detection deep learning models(such as YOLOv8, Swin, Vitdet, MvitV2). The experimental findings indicate that the YOLOv8 model demonstrates superiority in terms of average detection rate (mAP) and Estimated Time of Arrival (ETA). If the performance of the AI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verified, Paralichthys olivaceus farms can diagnose disease symptoms in real tim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farm will be greatly improved by rapid preventive measures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s.

Analysis of Changes in Restaurant Attributes According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pplication of Text Mining Techniques (감염병 확산에 따른 레스토랑 선택속성 변화 분석: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

  • Joonil Yoo;Eunji Lee;Chulmo Ko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5 no.4
    • /
    • pp.89-112
    • /
    • 2023
  • In March 2020, as it was declared a COVID-19 pandemic, various quarantine measures were taken. Accordingly,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tourism and hospitality industries. In particular, quarantine guidelin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non-face-to-face services and social distancing, were implemented in the restaurant industry. For decades, research on restaurant attributes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ree attributes: atmosphere, service quality, and food quality. Nevertheles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research on restaurant attributes considering the COVID-19 situation is insufficient. To respond to this call, this study attempted an exploratory approach to classify new restaurant attributes based on understanding environmental changes. This study considered 31,115 online reviews registered in Naverplace as an analysis unit, with 475 general restaurants located in Euljiro, Seoul. Further, we attempted to classify restaurant attributes by clustering words within online reviews through TF-IDF and LDA topic modeling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of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were derived as new attributes of restaura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situations, along with the atmosphere, service quality, and food quality.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by expanding the literature of existing restaurant attributes in that it categorized the three attributes presented by existing restaurant attributes and further presented new attributes. Moreover, the analysis results have led to the formulation of practical recommendations, considering both the operational aspects of restaurants and policy implications.

Study on Risk Priority for TBM Tunnel Collapse based on Bayes Theorem through Case Study (사례분석을 통한 베이즈 정리 기반 TBM 터널 붕괴 리스크 우선순위 도출 연구)

  • Kwon, Kibeom;Kang, Minkyu;Hwang, Byeonghyun;Choi, Hang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6
    • /
    • pp.785-791
    • /
    • 2023
  • Risk management is essential for preventing accidents arising from uncertainties in TBM tunnel projects, especially concerning managing the risk of TBM tunnel collapse, which can cause extensive damage from the tunnel face to the ground surface. In addition, prioritizing risks is necessary to allocate resources efficiently within time and cost constrai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TBM risk database through case studies of TBM accidents and determine a risk priority for TBM tunnel collapse using the Bayes theorem. The database consisted of 87 cases, dealing with three accidents and five geological sources. Applying the Bayes theorem to the database, it was found that fault zones and weak grou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tunnel collapse, while the other sources showed low correlations with collapse. Therefore, the risk priority for TBM tunnel collapse, considering geological sources, is as follows: 1) Fault zone, 2) Weak ground, 3) Mixed ground, 4) High in-situ stress, and 5) Expansive ground. In practice, the derived risk priority can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for risk management, enhanc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BM construction. It provides guidance for developing appropriate countermeasure plans and allocating resources effectively to mitigate the risk of TBM tunnel collapse.

Risk Assessment of Pine Tree Dieback in Uljin and Bonghwa (울진·봉화 일대 금강소나무 고사 피해 특성 분석)

  • Eun-Sook Kim;Kiwoong Lee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5 no.3
    • /
    • pp.117-128
    • /
    • 2023
  • Tree dieback in Geumgang pine forest has occurred in Uljin and Bonghwa since the 2010s. In order to identify status of tree dieback and prevent further damages, a monitoring project for tree dieback in Geumgang pine forest had been launched by Southern regional office of forest service in 202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ree dieback occurrence and assess the high risk areas using the occurrence data in the project. Pine tree dieback occurred frequently in areas with mountain ridges in high elevation, dry south-facing slopes, mature stands, and high temperature rise in winter. Furthermore, the result of risk assessment showed that 6.2 percent(5,294ha) of Geumgang pine forest(85,000 ha) in total study area are at high risk of tree dieback. As the pine trees in the high risk area are prone to experience the dieback due to temperature and drought-related extreme weather events, regular forest management activities are needed to reduce the drought stress of pine trees. Forest health management for the pine forest with high protection priority can be also useful strategy to counter the risk of decline. This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adaptive forest management to climate change.

Assessing the Impact of 'Marine Invasive and Harmful Species': A Semi-Quantitative Tool and Protocol for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Evaluation ('해양교란유해종'의 영향 평가: 환경 및 사회경제적 평가를 위한 준정량 도구 및 프로토콜)

  • KWANG YOUNG KIM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9 no.2
    • /
    • pp.116-138
    • /
    • 2024
  • This study presents a new tool and protocol to assess the impact of 'Marine Invasive and Harmful Species' (MIHS) on marine environments and socio-economic aspects. It addresses shortcomings in the Marine Ecosystem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ct in South Korea by proposing an impact assessment framework divided into marine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groups. Six distinct evaluation categories are included in each group, and a semi-quantitative five-step scale is utilized to provide a flexible approach, addressing a variety of issues from ecological disturbances to effects on health and property. The assessment tool is applied through a systematic five-stage process based on the Delphi method. This approach posters collaboration among a diverse sets of experts and stakeholders, enabl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that incorporates various perspectives. The study also examines strategies to effectively manage uncertainties and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outcomes. The application of this assessment protocol is expected to be crucial in quantifying the ecological damage caused by MIHS and in identifying management and prevention priorities. The ultimate aim of this evaluation process is to aid decision-makers in developing strategies to preserve the marine ecosystem and mitigate socio-economic impacts.

A Study on the Effect of Mobile CCTV Monitoring on Safety Risk Factors (안전 Risk 요인에 대한 이동형 CCTV 모니터링이 미치는 영향 연구)

  • Young Cheol Song;Tae-Gon Kim;Eunseok Lee;Tae-Hun Kim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9 no.1
    • /
    • pp.39-45
    • /
    • 2024
  • Dangerous tasks that occur every day at industrial site manufacturing plants, which have recently been making rapid change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the effect of mobile circuit television (CCTV) on safety accidents among daily safety management methods was analyze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bout 3,000 workers who manage the infrastructure facility sector to supply utilities such as gas, water, and electricity to the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 located in Asan Cit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ily dangerous work from 2019 to 2022, and during this study period, many construction works such as new investment and expansion of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es were occurring at the site. As a result, the rate of safety accidents and exposure to risks are expanding, and most of the safety accidents occurred because the sectors that did not follow the basics and the safety measures on the site were not implemented. In this pap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n accident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ngerous work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ork importance and the mobile CCTV shooting rat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ing plant site, it can be used to play the role of basic data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introduction of a new safety management culture in the future.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Epidemiologic Survey on Outbreak of Dermatosis Associated with Ants, Pachycondyla chinensis (왕침개미에 의한 피부질환 집단 발생에 관한 역학 조사)

  • Lim, Hyun-Sul;Kim, Byung-Jin;Bae, Geun-Rya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32 no.3
    • /
    • pp.421-426
    • /
    • 1999
  • Objectives: An outbreak of dermatosis occurred at a city gas manufacturing factory in Pohang in Aug, 1998. The authors conducted a study to find the cause and prevent the dermatosis, Method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73 workers in the factory twice, once or Aug. 14th and then Sept. 11th, 1998. Also, a dermatologist examined their skin lesions. We suspected ants as the cause, so we collected them for identification. Results: Twelve cases of dermatosis were identified with an attack rate of 16.4%. The attack rates were not different by age, educational level or tenures. The attack rates were 66.6% among production workers, 2.0% among clerical workers, 16.7% among tank trailer drivers and 0% among guards. The attack rate among production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0.01). There were no histories of the same dermatosis for the past one year. Histories of other skin diseases and allergies were very rare in both cases with skin diseases and control. Multiple, pruritic, rice-grained to bean sized erythemafous macules or papules with a central biting point could be found after initial severe itching occurred, Three cases showed signs of dermatosis with an allergic nature. The onset of dermatosis was between July 30 and Aug 12 and the durations varied from 5 days to over a month. The most frequent sites of stir lesions were the chest and abdomen (60.6%), and they were also observed on the neck (33.3%), arms (33.3%), shoulders (16.7%) and back (16.7%). Over 10 ants with their wings were collected in the work place and identified as Pachycondyla chinensis, subfamily Ponerinae. Conclusions : We thought that the outbreak of dermatosis was brought about by the ants flying into the work place through the open windows. Further studies o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sperity of the ants in this area are needed.

  • PDF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Risk Factor Analysis for Spinal Cord and Brain Damage after Surgery of Descending Thoracic and Thoracoabdominal Aorta (하행 흉부 및 흉복부 대동맥 수술 후 척수 손상과 뇌손상 위험인자 분석)

  • Kim Jae-Hyun;Oh Sam-Sae;Baek Man-Jong;Jung Sung-Cheol;Kim Chong-Whan;Na Chan-Yo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9 no.6 s.263
    • /
    • pp.440-448
    • /
    • 2006
  • Background: Surgery of descending thoracic or thoracoabdominal aorta has the potential risk of causing neurological injury including spinal cord damage.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risk factors leading to spinal cord and brain damage after surgery of descending thoracic and thoracoabdominal aorta. Material and Method: Between October 1995 and July 2005, thirty three patients with descending thoracic or thoracoabdominal aortic disease underwent resection and graft replacement of the involved aortic segments. We reviewed these patients retrospectively. There were 23 descending thoracic aortic diseases and 10 thoracoabdominal aortic diseases. As an etiology, there were 23 aortic dissections and 10 aortic aneurysms. Preoperative and perioperative variables were analyzed univariately and multivariately to identify risk factors of neurological injury. Result: Paraplegia occurred in 2 (6.1%) patients and permanent in one. There were 7 brain damages (21%), among them, 4 were permanent damages. As risk factors of spinal cord damage, Crawford type II III(p=0.011) and intercostal artery anastomosis (p=0.040)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ardiopulmonary bypass time more than 200 minutes (p=0.023), left atrial vent catheter insertion (p=0.0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risk factors of brain damage. Left heart partial bypass (LHPB)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protecting factor of brain (p=0.032). Conclusion: The incidence of brain damage was higher than that of spinal cord damage after surgery of descending thoracic and thoracoabdominal aorta. There was no brain damage in LHPB group. LHPB was advantageous in protecting brain from postoperative brain injury. Adjunctive procedures to protect spinal cord is needed and vigilant attention should be paid in patients with Crawford type II III and patients who have patent intercostal arteries.